View : 470 Download: 0

비대면 전공·부전공 무용실기수업의 만족도 차이

Title
비대면 전공·부전공 무용실기수업의 만족도 차이
Other Titles
The difference in satisfaction of non-face-to-face dance classes to minor dance classes
Authors
양인화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형중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in untact dancing classes as major and minor classes, driven by social distancing policies. For the subject of the study,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to extract a total of 212 samples from students majoring in dance at middle and high schools for the Arts, located in Seoul, Busan, Gyeonggi, and Jeonju. Of these, 147 valid samples were used for research analysis, excluding responses from 65 samples, as they had no experience in untact dance classes.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seven general characteristics questions, thirteen questions regarding one's satisfaction of untact dance classes as major and minor classes, and a question requiring a descriptive response. Exploratory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one way ANOVA, and t-test were conducted using the SPSS 25.0 statistics program.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atisfaction for classes as majors and minors were found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grade, major, experience). Secondly, for additional improvements for untact dance classes, 'improvements in the sound and video quality of the class' recorded the highest level of response at 62.3%, followed by 'use of various learning materials' at 26.9%, and 'sufficient time for Q&A' at 20.8%. Third, taking a look at the satisfaction rate of dance classes as major and minor classes,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ce differences in responses of 'trust in the professor, interactive communication, and convenience and interest' Fourth, taking a look at the descriptive responses for untact dance classes, the most common problems identified were 'interruption due to delays and lags', 'difficulties in questioning and communication', 'necessity to improve video and sound quality', 'lack of, or inappropriate physical place to practice', and other problems such as 'securing device and internet required for class' and 'problems regarding recognition of position'. Through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t can be confirmed that academic exchange through smooth Q&A affects class satisfaction, and that the platform currently primarily used by learners satisfies this part. However, because it is a system that teaches by using the Internet, it can be seen that sound quality problems such as discrepancy between music and video, which change depending on Internet speed, have the greatest effect on learning satisfaction.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first, the government or schools support and expand the distribution of educational smart terminals and data. In addition, a service that can minimize the impact of data when using the platform is established. Therefore, it should be improved so that learning can be done anytime, anywhere. Second, clear learning goals should be presented before class, and dance details that are difficult to grasp through non-face-to-face classes should be sufficiently explained by using diverse learning materials such as photos, videos, and textbooks. Lastly, it is thought that a better learning environment can be built if individual chat windows are opened so that teachers and students can fully feedback and learn.;본 연구의 목적은 사회적 거리두기로 인해 발생된 비대면 전공·부전공 무용실기수업에 대한 만족도 차이를 규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두고 있다. 연구 대상은 편의표본추출법(Convenience sampling method)을 이용하여 서울, 부산, 경기, 전주 등의 지역에 위치한 예술 중·고등학교 무용과에 재학 중인 학생들을 대상으로 총 212명의 표본을 추출하였다. 이중 비대면 무용실기수업 경험이 없는 응답을 제외한 설문 65부를 제외한 유효표본 147부를 연구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지는 일반적 특성 7문항, 비대면 전공·부전공 실기수업 만족도 각각 13문항, 자유 서술 의견 1문항으로 구성되었다. SPSS 25.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탐색적 요인분석(Exploratory factor analysis)과 신뢰도 분석(Reliability analysis), 빈도 분석(frequency analysis),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 t-test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일반적 특성(학년, 전공, 경력)에 따른 전공, 부전공 수업 만족도에서 유의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둘째,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 대한 전공, 부전공 만족도 확인 결과 ‘선생님에 대한 신뢰, 쌍방향 의사소통, 편리함과 흥미유발’ 요인 중 일부 문항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비대면 무용 실기수업의 추가적인 개선 사항 설문 결과 ‘영상의 음질 및 화질 개선’이 62.3%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뒤이어 ‘다양한 학습자료 및 콘텐츠 이용’ 26.9%, ‘충분한 질문과 답변 시간 확보’ 20.8% 순으로 개선이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 추가적으로 자유 서술 문항을 통해 비대면 무용실기수업에 대한 세부 의견을 종합해 본 결과 중다 의견인 ‘딜레이와 렉으로 인한 끊김 현상’, ‘질문과 소통의 어려움’, ‘화질 및 음질 개선의 필요성’, ‘장소 부족 및 환경의 부적합’ 등의 문제와 이외  ‘기기 및 데이터 확보’와  ‘포지션 인지 문제’ 등의 개선 필요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원활한 질의응답을 통한 학문적 교류가 수업 만족감에 영향을 미치고, 현재 학습자들이 주로 이용하고 있는 플랫폼이 이런 부분을 충족시켜주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인터넷을 이용하여 수업하는 시스템인 만큼 인터넷 속도에 따라 변하는 음악과 영상의 불일치와 같은 음화질 문제가 학습 만족에 가장 큰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첫째, 정부나 학교에서 교육용 스마트 단말기와 데이터 보급 지원 및 확대와 플랫폼 이용 시 데이터의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서비스를 구축하여 언제 어디서든 학습이 가능하도록 개선해야 한다. 둘째, 수업 전 명확한 학습 목표를 제시하고, 비대면 수업으로 파악하기 힘든 춤 디테일을 사진, 영상, 교과서 등의 다양한 학습자료를 이용해 충분한 설명을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사와 학생이 온전한 피드백과 학습이 가능하도록 개별 채팅창을 개설한다면 더 좋은 학습환경을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