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3 Download: 0

사회문화예술교육 학습자의 미적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Title
사회문화예술교육 학습자의 미적경험에 대한 내러티브 탐구
Other Titles
A Narrative Research o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the Learner of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uthors
김태연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 사회에서 사회문화예술교육이 갖는 의의가 무엇이며, 사회문화예술교육에서의 미적경험이 학습자의 일상적 삶과 자신에 대한 이해에 어떠한 변화를 가져오는지 밝히는 데에 있다. 이를 위해 본 연구자는 서울의 한 공방에서 진행된 정규 클래스를 1년 이상 수강한 학습자 2명을 대상으로 참여관찰과 내러티브 탐구를 진행하고, 그 결과 수집된 자료들을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였다. 사회문화예술교육은 학교문화예술교육 이외의 모든 문화예술교육을 포괄하며 어린이, 청소년 뿐 만 아니라 모든 시민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의 한 종류이다. 요즘 크게 유행하고 있는 공방 클래스는 사회문화예술교육의 일환으로서 특히 생활문화예술을 실천한다. 본 연구자는 공방에서의 경험과 미적경험에 대한 개념을 결합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분석하였다. 미적경험은 교육학자이자 철학자인 존 듀이(John Dewey)의 핵심적인 개념으로, 심미적 질성과 반성적 사고를 통한 일상과 예술의 비경계에 대한 논의점이다. 분석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두 명의 연구 참여자를 선정하여 참여자의 이야기와 경험을 중점으로 연구문제를 탐구하는 내러티브 탐구를 진행하였다. 참여관찰과 심층면담으로 수집된 자료를 1차적으로 진행한 결과는 자료를 시간 순으로 분석하여 이야기 형태로 서술하였고, 이후 이것을 토대로 주제가 되는 내용들을 선별하여 최종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진행하면서 오늘날 취미 미술로 생각되는 공방에서의 클래스 수강 활동이 하나의 미술교육으로서 학습자에게 유의미한 미적경험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심층면담 과정에서 두 연구 참여자 모두 공방 클래스를 꾸준히 참여하면서 본인 스스로의 취향이나 성향에 대해 알아가는 자아 탐구의 미적경험을 했다고 이야기하였다. 미적경험과 미술 활동은 학교 교육 뿐만 아니라 전 연령기에 모두 필수적이며, 특히 사회문화예술교육으로서 공방 클래스는 미술을 전공하지 않은 일반인이 쉽게 접근하고 지속적으로 참여할 수 있다는 장점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학교에서 주어진 교과과정을 수동적으로 따라가는 것이 아니라, 수강생 스스로가 의지를 가지고 클래스를 선택하고 참여하는 만큼, 인간의 배우고자 하는 욕구 또한 충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공방에서 제작한 결과물은 일상에서 사용할 수 있는 공예품으로, 클래스 수강생이 직접 작업에 참여하고 결과물을 사용함으로써 일상과 예술을 분리하는 것이 아니라 삶 속에 예술을 투영하는 효과를 가져왔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오늘날 사회문화예술교육 학습자들이 미적경험의 특징으로 나타나는 심미적 질성과 반성적 사고를 통해 일상적 삶에서의 경험을 재구성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문화예술교육에의 지속적인 참여는 예술에 대한 관심 증대 뿐 만 아니라 학습자의 삶의 질 향상과 함께 자아를 성장시키고 타인을 이해하며 공동체 안에서 소통하는 것으로 궁극적으로 세계와의 상호작용을 이끌어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how the significance of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what kind of changes does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s aesthetic experience make in learner’s daily life and self-understanding. This researcher conducted participant observation and narrative research on two learners who took the regular class held at a workshop in Seoul for more than a year, and analyzed the collected data to draw conclusions.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covers all culture and arts education other than school culture and arts education and is a type of lifelong education for all citizens as well as children and adolescents. The workshop class, which is very popular these days, practices living culture and arts as part of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concept of experience and aesthetic experience in the workshop as a theoretical background. Aesthetic experience is a key concept of educator and philosopher John Dewey, and is a discussion of the non-border of daily life and art through aesthetic quality and reflective thinking. Based on the analyzed theoretical background, two research participants were selected and narrative exploration was conducted to explore research problems focusing on the stories and experiences of the participants. The results of the first round of data collected through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were analyzed in chronological order and described in the form of a story, and then the contents of the topic were selected and finally analyzed. While conducting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class-taking activities in workshops, which are considered as hobby art today, act as a meaningful aesthetic experience for learners as an art education. During the in-depth interview process, both study participants steadily participated in the workshop class and said that they had an aesthetic experience of self-exploration to learn about their own tastes or tendencies. Aesthetic experience and art activities are essential not only for school education but also for all ages, especially as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the workshop class has a great advantage that ordinary people who do not major in art can easily access and continue to participate. It was found that instead of manually following the curriculum given at school, the students themselves chose and participated in the class with their own will, which also satisfied human desire to learn. In addition, the results produced in the workshop are artifacts that can be used in everyday life, and by participating in the work and using the results, the class students did not separate daily life from art, but projected art into lif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learners of social culture and arts education today reconstruct their experiences in everyday life through aesthetic quality and reflective thinking that appear as characteristics of aesthetic experience. Continuous participation in culture and arts education ultimately leads to interaction with the world by not only increasing interest in art but also improving the learner's quality of life, growing self, understanding others, and communicating within the commun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