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38 Download: 0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Title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ivenes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Authors
최현정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수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출판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관련 학위논문과 학술논문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 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오늘날 다문화 미술교육 분야 학계의 연구 동향과 실질적 효과 크기를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교육 현장에서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성 있는 실제적인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방향성을 제안하여 다문화 사회로 급격한 변화를 겪고 있는 대한민국 학령기 학습자들의 잠재적 편견과 선입견을 해소하고 미래 다변화된 사회에 적응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이룩하고자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오늘날 대한민국은 내·외부적인 다양한 요인으로 인하여 외국인 이민자의 유입이 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다문화 학생의 수 또한 꾸준히 늘고 있다. 전체 학생 대비 다문화 학생의 비율이 2021년 기준 약 3%에 이르고 있으며, 이는 지속적으로 상승할 것으로 보이고 있다. 대한민국은 오랜 시간 단일민족이라는 정체성을 유지해오며 뿌리 깊은 민족주의와 배타적 태도를 가져왔으며, 더욱이 2019년 발생한 COVID-19 펜데믹 상황은 많은 사회적 혼란을 야기하며 이는 사회적 분열을 더욱 심화시키는 결과를 낳았다. 이러한 사회적 배경을 토대로 교육에 있어서 올바른 다문화 교육을 통해 사회 통합을 도모하여야 한다는 사회적 필요와 요구가 생겨났다. 특히 미술은 사회와 문화의 가치를 반영한다는 점에서 다양성을 다룰 수 있는 핵심 교과이다. 미술을 통해 학생들은 타인과 자신의 다름을 직접 체험하며 자신의 정체성에 대하여 성찰하고 확립할 수 있다. 또한 자신의 생각과 감정을 표현하고 타인의 그것 또한 함께 감상하는 과정을 통해 다름과 차이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당위성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오늘날 다문화 미술교육의 연구 동향과 더불어 그 효과크기를 분석하여 올바른 다문화 미술교육의 방향성을 제언하고자한다. 그 연구의 세부 단계는 첫째, 본 연구의 목적에 따라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를 조사한 후,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 분석이라는 주제를 중심으로 연구 문제를 제기한다. 둘째, PICOS 기준에 따라 국내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를 검색 및 수집하여 최종 연구 대상 문헌을 선정한다. 셋째, 최종 선정 문헌을 대상으로 조절 변수들을 추출하여 코딩데이터를 작성한다. 넷째, 코딩 데이터를 바탕으로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진행하여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 연구의 동향을 살펴본 이후,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 크기를 도출한다. 다섯째, 전체 효과 크기를 토대로 하위 그룹들을 대상으로 메타ANOVA와 메타회귀분석을 진행하여 각 세부 변인별 효과 크기를 도출하고 결과에 따른 해석과 의의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연구 과정을 토대로 24편의 문헌을 대상으로 체계적 문헌고찰을 진행한 후 22편의 문헌의 140개 효과 크기의 수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전체 효과 크기는 0.819로 높은 수준의 효과 크기를 보이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 대상별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효과 크기가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다음으로 유아, 초등이 뒤를 이었다. 우리나라는 입시 위주의 지식 중심의 교육에 치중되어 있어 중등교육의 주요 교과에서는 실천적 목표를 포함하고 있는 다문화 교육을 현장에서 실질적으로 진행하는 데에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청소년기는 성인 시기를 준비함에 있어 다문화 교육을 실시하는 데에 중요한 시기이다. 이에 학생 참여적이고 실천적인 미술교과에서 다문화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시하여 타인을 이해하고 수용할 수 있는 다문화 교육을 실행 하는 것이 중요하다. 따라서 중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중등 교육에서의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후속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질 필요가 있다. 둘째,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특성별 하위그룹 효과 크기를 분석한 결과 교과 통합 프로그램은 1.045, 참여자 중심 프로그램은 0.881로 가장 효과 크기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미술교육은 학생들의 실제적 삶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주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교과 통합의 방식으로 운영하였을 때 효과적인 학습이 가능하다. 하지만 여전히 다문화 미술교육에서의 교과 통합 프로그램은 전통적으로 다문화교육을 많이 다루어온 사회과 및 도덕과와의 통합 및 융합이 대부분인 것을 볼 수 있었다. 교과 통합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들은 실제 자신의 삶과 관련 있는 학습을 하며, 실제적인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다. 따라서 더욱 다양한 교과와의 통합 및 융합 수업을 통한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또한 협동 학습과 같은 참여자 중심 프로그램을 활용함으로써 학생들은 인지적 측면뿐만 아니라 정의적 측면을 고루 함양할 수 있어 다문화 미술교육 내에서 다양한 교수·학습 방안을 적용한 후속 연구를 제언한다. 셋째,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은 종속변인의 하위 그룹 중 친사회적 행동은 1,249, 상호문화감수성 변인은 1.137로 가장 높은 효과 크기를 보였다. 이에 오늘날 거론되고 있는 다문화주의를 기반으로 한 다문화교육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는 대안으로 상호문화교육에 관한 연구를 제언하는 바이다. 상호문화교육은 문화에 있어 중심과 주변을 해체하고 모든 다양성을 동등한 입장으로 간주하며 그 사이에서의 상호작용을 통한 긍정적 변화를 도모한다. 향후 더 나은 다원화 사회의 발전에 대한민국 학생들이 적응하고 참여할 수 있도록 미술교육 내에서 다양한 상호문화 교육에 대한 후속 연구에 대한 필요성이 증대되는 시점이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연구자가 제언하는 실제적인 다문화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연구 방향성을 토대로 미래 다원화되는 사회에 대한민국 학령기 학습자들의 정체성을 확립하고, 타인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사회 구성원으로서 사회 발전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을 이룩하는 데에 일조할 수 있기를 기대하는 바이다.;The purpose of the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and practical effect size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For the study,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conducted for degree papers and academic papers related to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published in Korea. Through this study, we propose a research direction for effectiv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that can be used in classrooms to resolve the potential prejudice and preconceived notions of school-age learners in Korea, which is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we aim to achieve education that allows for adaption and participation in a diversfied society in the future. Today, in Korea, the inflow of foreign immigrants is increasing due to various internal and external factors, and the number of multicultural students is also steadily increasing. In addition, the Republic of Korea has long-established nationalism and exclusivity under the identity of a single ethnicity, and furthermore, social cohesion is further hindered due to the Coronavirus outbreak in 2019. Based on this social background, the demand for social integration through multicultural education has increased. In particular, the art subject can be said to be a core subject that can deal with diversity in that it reflects the values ​​of society and culture as it is. Through art, students can directly experience diversity in society, examine and establish their identity, express their thoughts and feelings, and understand and respect others through the process of appreciating others' things together. Based on such justification, this study intends to analyze the effect size along with the trend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being studied in academia. The detailed process of the study is as follows. First, after examin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evious research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earch topic is selected focusing on the theme of this study, the effect size analysis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Second, according to the PICOS standard, research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is searched and collected from the domestic database to select the final research target literature. Third, coding data are produced by extracting control variables from the final selected literature. Fourt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are conducted based on coding data to examine the trend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and then the overall effect siz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is derived. Fifth, based on the overall effect size, meta-ANOVA and meta-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on subgroups to derive the effect size for each detailed variable, and the interpretation and significance according to the results were derived. Based on this research process, the results of analyzing the number of 140 effect sizes of 22 documents after a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was conducted on 24 document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the overall effect size of th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was 0.81, showing a high level of effect size. In addition, by study subject, the effect siz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for middle school students was the largest, followed by infants and elementary schools. Since Korea has focused on knowledge-oriented education centered on entrance exams, there are many difficulties in implementing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includes practical goals in the main subjects of secondary education in practice. In addition, adolescence is an important period for conducting multicultural education in preparation for adulthoo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actively implement multicultural education in art subjects that are participatory and practical for students to understand and accept other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actively conduct follow-up studies o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in secondary educ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subgroup effect size of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the integrated curriculum program was 1.045 and the participant-centered program was 0.881, indicating that the effect size was larg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is effective when operated as an integrated subject in that it deals with topics closely related to students' actual lives. However, it can be seen that most of the curriculum integration programs i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are integrated with social studies and moral studies that have traditionally dealt with multicultural education a lot. In an integrated curriculum program, students can learn related to their real lives and develop the ability to solve real problems. Therefore, it is suggested to study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s through integration and convergence classes with more diverse subjects. In addition, by using the cooperative learning model, students can cultivate not only cognitive but also affective aspects, suggesting follow-up studies applying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within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ird, the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showed the highest effect size among the subgroups of the dependent variable, 'pro-social behavior' was 1,249 and 'intercultural sensitivity' variable was 1.137. Therefore, research on intercultural education is suggested as an alternative that can supplement the limitations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multiculturalism that is occurring today. Intercultural education deconstructs the center and periphery of culture, regards all diversity as an equal position, and promotes positive change through interaction between them. It is a time when the need for follow-up research on various intercultural education within art education is increasing so that Korean students can adapt and participate in the development of a better diversified society in the future. Based on the research direction of the actual multicultural art education program suggested by the researcher, it is expected to help establish the identity of Korean school-age learners in the future and actively participate in social development as members based on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oth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