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72 Download: 0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미디어아트 영역의 개선 방안 제안

Title
고등학교 미술교과서 미디어아트 영역의 개선 방안 제안
Other Titles
Proposal of improvement the media art unit of high school art textbooks : Focusing o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uthors
송민경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The spread of COVID-19 continues around the world, and this pandemic phenomenon has accelerated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even faster. This industrial paradigm shift not only created a new educational environment but also changed the learning contents to deal with various technologies and media in connection with teaching tools used in the classes. In this regard, Eun-joo Song (2011) said that media has developed with technology, and the evolution of media in art subjects is related to media directly used in media art. Furthermore, since new media art combines computer technology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with existing media art media to interact with works through a convergent network in the form of new media based on digital compression, transmission, and storage technology (A-young Kim, 2019), teachers should attempt education that actively uses technology and media to modern learners can experience diversity and create works. In addition, as media culture spread with rapid development of technology and media, the need to develop learners' ability to accept video culture naturally and correctly in the social and cultural environment where they live was raised, this study attempted to reflect new changes and demands for education to cultivate critical media literacy (Dong-yeon Ko, 2019).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only the media art area of the 2015 revised high school art textbook independently and to propose measures to improve the next curriculum revised in 2022. As a research procedure, first, to understand media art, this study examined the concept definition based on theory, the background of media art development, and the concept necessary for the educational use of media art in high school curriculum. Second, this study reconstucted by referring to the analysis criteria by Joo-ryeong Kim (2019) as a research tool, in order to independently analyze and compare only the media art area in the art textbook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ird,,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with incumbent art teachers were conducted to deal with the direction of media art education in more depth, synthesized with textbook analysis, and derived measures to improve the media art area. The research tool for interviewing art teachers was reconstructed by referring to Hye-won Kim's (2015) in-depth interview guide. By synthesizing the results through the above research procedure, this study considered the improvement measures of next curriculum, and in conclusion, the measures to be proposed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and expand the content and volume of media art units, which account for a relatively low percentage in the 2015 revised art textbook, and reorganize the distribution of art subject areas. Looking at the changes in the art curriculum, there are the curriculums from the 1st to the 7th, and the revisions of curriculum in 2007, 2009, and 2015, with a total of 10 curriculums. From the 5th curriculum period, education to response to the information society began due to the universalization of digital media, and in the 7th curriculum, there was an emphasis on use of various media for effective learning. Despite these changes, in view of the current society where technology and media have developed, the contents and number of drawings are still signficantly insufficient to learn media art with the 2015 revised highschool art textbook,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oward further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media art area in the next curriculum. Not ony that, although media art is a subject matter that enables an integrated composition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it is currently concentrated only in the area of expression, so media art should be presented by redistributing the art subject area so that learners can broadly learn art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 of media art. Second, in terms of contemporary art, various prints that expanded and subdivided the sub-areas of media art should be added. As visual information on video media overflows due to the spread of media culture, various literacy capabilities will become more commonly required in the future, so learners who will live in the future society should enhance their artistic sense and literacy capabilities together. Now that media has become inseparable from learners’ real life, media art prints should now be composed of matters that deal with big issues such as not only virtual reality (VR) and augmented reality (AR) but also digital signage and artificial intelligence (AI) so that learners can have classes with interesting things on the sense of finding art in their lives. In addition, since media art is judged irrelevent to technological progress, so metaverse and blockchain, which are difficult to see in currunt textbooks, are considered one of the media used art, and should also be dealt with in the media art unit. Third, since art now plays a role as a practical study, modern culture and technology should be applied to teaching tools to cultivate media usage skills. It should lead to production, experience, and appreciation activities through the media as well as learning content because the expression material of media art has perculiar characteristics as one of the media. As a future society human's attitude responding to technological advances, it is necessary to remind learners through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at our lives are located in the digital environment, and should naturally be transformed into the digital era. As an example to reflect this, even in the media art area, the QR code should be presented so that it can be connected to the media, which is the intermediate medium of the work. Since media art has temporality and movement, learners can appreciate the work along with the experience of using the media by checking the QR code and looking at how the work is composed through the educational media of the tablet PC provided by schools. Since the usage of such media leads to daily life, it is possible to dailyize art education through media use and access to art works is also increased. Regarding the advent of the new paradigm through technological and media progress, this study selected media art as an appropriate learning content that can be conducted in art education and analyzed media art units in high school art textbooks to identify overall trends and characteristics. Media art is most closely linked to life among many topics, materials, and various contents of the art subject, so it is necessary not only to expand the media art area in the curriculum from the perspective of art in daily life, but also to teach the area more systematically, and for this purpose, it is considered necessary to redistribute the art subjuct area, add various drawings, and use teaching tools applied with modern culture and technology. Therefore, this study is valuable in that it can seek improvement directions for better media art education and provide basic data for the development of the 2022 revised art curriculum.;COVID-19의 확산이 전 세계적으로 지속하고 있으며, 이러한 펜데믹 현상은 4차 산업혁명을 더욱더 빠르게 앞당기게 하였다. 이러한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로 새로운 교육환경이 조성되었을 뿐만 아니라 학습 내용 또한 수업에서 사용되는 수업 도구와 연결 지어 다양한 기술·매체를 다루는 방향으로 변화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송은주(2011)는 매체란 기술과 함께 발전되어 왔는데, 미술 교과에서 매체의 진화는 미디어아트에서 직접 사용하는 매체들과 관련되어 있다고 하였다. 더 나아가 뉴 미디어아트는 기존 미디어아트 매체에 컴퓨터 기술 및 통신 기술을 결합하여, 디지털 압축, 전송 및 저장 기술에 기반한 새로운 매체의 형식으로 융·복합적 네트워크를 통해 작품과의 상호작용이 가능한 것(김아영, 2019)들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교사들은 현시대의 학습자들이 미디어아트를 통해 주도적으로 다양함을 경험하고 작품을 창조할 수 있도록 기술·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한 교육을 시도하여야 한다. 또한 기술·매체의 급격한 발달과 함께 미디어 문화가 확산하고 있어 영상매체에 의한 시각 정보의 홍수 가운데 학습자들이 생활하는 사회·문화적 환경에서 영상문화를 자연스럽고 올바르게 받아들이는 능력을 길러줄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으므로, 본 연구에서는 비평적 미디어 리터러시(고동연, 2019)를 함양할 수 있도록 하는 교육에 대한 새로운 변화와 요구를 반영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미디어아트 영역만을 독립적으로 분석하고 이를 바탕으로 차기 교육과정인 2022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안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연구 절차로 첫째, 미디어아트를 이해하기 위해 이론에 기초한 개념 정의와 미디어아트의 발전 배경, 미디어아트의 교육적 활용에 필요한 개념을 살펴보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의 미디어아트 교육에 대해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의 이해와 교과역량 증진을 위한 미디어아트 교육에 대해 고찰하였다. 둘째,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술 교과서에서 미디어아트 영역만을 독립적으로 분석하고 비교한 내용을 서술하기 위해 연구 도구로 김주령(2019)에 의한 분석 기준을 참고하여 재구성하였다. 셋째, 미디어아트 교육의 방향을 보다 심도 있게 다루기 위해서 현직 미술 교사의 심층 인터뷰를 시행하고 교과서 분석 내용과 함께 종합하여 미디어아트 영역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미술 교사 인터뷰를 위한 연구 도구는 김혜원(2015)의 심층 면담 지침서를 참고하여 재구성하였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은 연구 절차를 통하여 도출한 결과를 종합하여 차기 교육과정의 개선방안을 고찰해 보았으며, 결론적으로 제안하고자 하는 방안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미술 교과서에서 상대적으로 낮은 비율을 차지하는 미디어아트 단원에 대한 내용 보강과 분량을 확대하고, 미술 교과 영역의 분배를 재구성해야 한다. 미술과 교육과정의 변천을 살펴보면 제1차 교육과정부터 제7차까지 있고, 개정은 2007 개정, 2009 개정, 2015 개정 교육과정으로 총 10차례에 걸친 교육과정이 있다. 제5차 교육과정 시기부터 디지털 매체 보편화로 정보화 사회 대응 교육이 시작되었고,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효과적인 학습을 위해 다양한 매체의 활용에 대한 강조점이 있었다. 이와 같은 변천에도 불구하고, 기술·매체가 발전된 현재의 사회를 견주어 보았을 때, 2015 개정 미술 교과서로 미디어아트를 학습하기에는 여전히 내용 및 도판 수가 현저히 부족하기 때문에 차기 교육과정에서는 미디어아트 영역의 비중을 더욱 높이는 방향으로 개선될 필요가 있다. 그뿐만 아니라 미디어아트는 체험, 표현, 감상의 통합적 구성이 가능한 소재인데도 불구하고 현재 표현 영역에만 편중되어있기 때문에 학습자들이 미디어아트 특성에 따른 예술을 폭넓게 학습할 수 있도록 미술 교과 영역을 재분배해서 미디어아트를 제시하여야 한다. 둘째, 동시대 미술 측면에서 미디어아트의 하위 영역을 확대 및 세분시킨 다양한 도판이 추가되어야 한다. 현재 미디어 문화 확산으로 영상매체를 통한 시각 정보가 범람함에 따라 다가올 미래에는 각종 리터러시 역량이 더욱 보편적으로 요구될 것이기 때문에 미래사회를 살아갈 학습자들에게 예술적 감각과 함께 리터러시 역량이 제고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이제 학습자들의 삶에서 미디어는 실생활과 불가분의 관계가 되어버렸으므로, 그 삶 속에 예술을 찾아준다는 의미에서 학습자들이 흥미로워할 만한 것들로 수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가상현실(VR)이나 증강현실(AR)뿐만 아니라 디지털 사이니지나 인공지능(AI)과 같은 큰 쟁점을 다루는 것들로 미디어아트 도판이 다양하게 구성돼야 한다. 또한 동시대 미술에 있어서 미디어아트는 기술 진보와 무관하지 않다고 판단되기에 현재 교과서에서 보기 힘든 메타버스(metaverse), 블록체인(block chain) 등이 예술에서도 활용되는 매체의 하나로 보고 이 또한 미디어아트 단원에서 다루어져야 한다. 셋째, 미술이 이제는 실용 학문으로도 역할을 하므로 매체 활용 능력을 함양하기 위하여 수업 도구에서도 현대의 문화·기술을 적용되어야 한다. 미디어아트의 표현 재료가 매체의 하나로서 색다른 특성이 있기에 단순한 학습 내용뿐만 아니라 매체를 통한 제작이나 체험, 작품 감상 등의 활동으로 이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발전적인 기술에 대응하는 미래사회 인간의 자세로서, 우리 삶이 디지털 환경 속에 자리 잡고 있고, 그에 따라 자연스럽게 디지털 시대에 맞게 변모해야 한다는 것을 교육환경을 통하여 학습자들에게 일깨워줘야 한다. 이를 반영하기 위한 방안으로 예시를 들자면, 미디어아트 단원에서라도 QR코드가 제시되어 작품의 중간 매개인 미디어와 연결될 수 있어야 한다고 본다. 미디어아트는 시간성과 움직임을 갖고 있기 때문에, 학교에서 제공되는 태블릿PC의 교육 매체를 통해 QR코드를 확인함으로써 작품이 어떻게 이루어지는지를 본다면 학습자들이 매체 활용에 대한 체험과 더불어서 작품을 감상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매체 활용은 일상생활까지 이어지므로, 이를 통하여 미술교육의 일상화가 가능해지고 미술 작품에 대한 접근성 또한 높아지게 된다. 본 연구는 기술·매체 진보를 통한 새로운 패러다임의 도래와 관련하여 미술교육에서 실시할 수 있는 적합한 학습 내용으로 미디어아트를 선정하고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내의 미디어아트 단원을 분석하여 전반적인 경향성과 특성을 파악하였다. 미디어아트는 미술 교과의 많은 주제나 재료, 다양한 콘텐츠 중에서 가장 삶과 밀접하게 연계되어 있으므로, 일상 속으로 들어와 있는 예술이란 관점에서 교육 과정 내의 미디어아트 영역을 확장하는 것은 물론이고 해당 영역을 더욱 체계적으로 가르칠 필요가 있다고 보았고, 이를 위하여 미술 교과 영역의 재분배와 다양한 도판 추가 및 현대의 문화·기술이 적용된 수업 도구의 활용이 필요하다고 보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더욱 나은 미디어아트 교육을 위한 개선 방향성을 모색하고, 2022 개정 미술과 교육 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수 있다는 데 가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