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5 Download: 0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학습부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Title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학습부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Effect of Art education program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on changes in Self-esteem of underachiever adolescents
Authors
변서하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This study phenomenologically examined the effect of a positive psychology-based art education program on the changes in the self-esteem of underachiever adolescents. Further, it clarified the necessity of the art education program. To this end, two underachiever adolescents were recruited as participants, and an art education program (comprising 24 sessions)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was conducted from October to November 2021. The researcher conducted one-to-one classes for all sessions, and each participant participated in semi-structured in-depth interviews at the end of each session. The class lectures and the in-depth interview data were recorded and transcribed. In addition, the data from class observation journals and work photos were collected. Then, the changes in participants’ emotions were analyzed according to H. Wolcott’s qualitative analysis method, which involves three steps:“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Finally, the data were interpreted and classified into categories: three upper categories, five middle categories, and 11 lower categories. In particular, the upper categories or the subcategories according to personal self-esteem were “self-understanding”, “positive self-expression”,“ self-reflection and recognition”, and “trust in oneself”. The middle categories or the subcategories according to social self-esteem were “affinity with friends”, “love and trust in family”, and “interest in a sustainable world”. Finally, the lower categories or the subcategories according to total self-esteem were “purpose consciousness”,“positive confidence in the future”,“leadership”, and “competence”. Several conclusions were drawn based on th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participants’ self-esteem improved, and they felt a sense of “achievement” and “happiness” after their interaction with the researcher and due to their exploration of themselves. They learned to explore their inner selves in various ways and expressed themselves in artwork. By so doing, they actively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by accepting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propensity, values, and special abilities. In addition,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themselves, they learned to think and express themselves about their friends, family, and a sustainable world. Second, the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self-acceptance, independence, and self-esteem through a self-exploration process based on positive emotions, engagement, relationships, meanings, and accomplishments, which are important factors in positive psychology. Significantly, the participants could observe themselves happily immersed in their activities during the study. Third, the program using smartphones served as a factor that positively changed their self-esteem by ensuring a sense of enjoyment and making them feel a sense of accomplishment. They experienced joy and a sense of achievement when they completed their tasks using a smartphone, which is a device familiar to them. This increased the research expectations. In other words, the selection of materials to help the participants express themselves by considering adolescents’ characteristics positively affected the participants’ attitude in class. Fourth, positive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with oneself, friends, family, and the world were important in changing their sense of self-esteem. During the study, the participants recognized their intimacy with friends, their bond with family members, their interest in a sustainable world, and the researcher's sincere attitude toward them. Based on this recognition, they demonstrated a positive attitude by expressing themselves and respecting who they were, as well as respecting others and the world at large. In other words, the harmonious relationship between others and the world positively affected individual self-esteem and helped form a sense of respect for others. In summary, the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 utilized in this study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underachiever adolescents in that they learned to explore and accepted themselves. Through this experience, they felt a sense of achievement and happiness, thereby demonstrating improved self-esteem. The program allowed underachiever adolescents to express themselves naturally. It gave them an opportunity to love and embrace themselves as they are—something they had not received before. The study is novel in that it deviated from the traditional method of pathologically observing underachiever adolescents and taking a therapeutic approach. Based on the participants’ experience and positive expressions of themselves and others following their participation in the art education program conducted in this study, this study suggested the need for an art education program based on positive psychology.;본 연구는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학습부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질적 연구 방법으로 접근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부진 청소년이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자아존중감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현상학적으로 탐색함으로써 학습부진 청소년에게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밝히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학습부진 청소년 2명으로, 2021년 10월부터 11월까지 총 24차시의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연구자가 직접 수업을 진행하였다. 매회 수업을 진행한 후 개인별 심층 면담이 이뤄졌으며, 면담 방법은 반 구조화된 면담 방식을 적용하여 시행되었다. 수업과 심층 면담 자료는 녹음 후 전사하였고, 이 외에도 수업 관찰일지, 작품 사진, 심층 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결과를 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질적 분석방법 중에서도 월코트(H. Wolcott)가 질적 분석 방법으로 제시한 해석적 접근 구조에 따라 ‘기술’, ‘분석’, ‘해석’의 단계로 진행하였다. 이 단계에 따라 주제와 관련된 연구 대상자의 변화, 감정, 해석 등을 분석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총 3개의 상위 범주와 5개의 중범주, 11개의 하위 범주로 나뉘어 도출하였다. 학습부진 청소년이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했을 때 나타나는 각 범주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위 범주인 개인적 자아존중감에 따른 하위 범주로는 ‘자기이해’, ‘긍정적 자기표현’, ‘자아 성찰 및 인정’, ‘스스로에 대한 신뢰’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자아존중감에 따른 하위 범주는 ‘친구와의 친밀함’,‘가족에 대한 사랑과 신뢰’,‘지속 가능한 세상에 대한 관심’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총체적 자아존중감에 따른 하위 범주는 ‘목적의식’, ‘미래에 대한 긍정적 확신’, ‘주도성’, ‘유능감’으로 도출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학습부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자들은 자신에 대한 탐색과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성취감’ 및 ‘행복감’을 느끼며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 연구 대상자들은 총 24차시 동안 차시의 흐름에 따라 자신의 내면을 다방면으로 탐색 및 이해하고 이를 미술작품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연구 대상자들은 자신의 장·단점, 성향, 가치관, 특기 등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보였다. 또한, 연구 대상자들이 스스로에 대한 존중과 이해를 바탕으로 친구와 가족, 그리고 지속 가능한 세상에 대해 생각하며 표현하는 모습을 통해 자신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고 있음을 관찰할 수 있었다. 둘째, 긍정심리학에서 중요시하는 행복의 주요요소인 긍정적인 정서, 몰입, 관계, 의미, 성취를 바탕으로 충분한 자기 탐색 과정을 통한 자기 수용적 태도 및 주체성과 자아존중감의 관계성에 대해 고찰할 수 있었다. 연구 대상자들은 연구가 진행되는 동안 즐겁게 활동에 몰입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연구자와의 친밀한 관계를 유지하며 의미 있는 작품을 완성하는 경험을 통해 자신의 성취를 타인과 함께 공유하는 행복을 경험했다. 셋째, 스마트폰을 활용한 프로그램은 연구 대상자들의 표현에 대한 즐거움을 증진시키고 성취감을 느끼게 하여 자아존중감을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요인으로 작용했다. 연구 대상자들은 자신들에게 친숙한 스마트폰을 활용하여 작품을 완성해 봄으로써 표현에 대한 즐거움과 성취감을 경험하였고, 이는 연구에 대한 기대감을 증진시켰다. 즉, 청소년기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미술 표현 매체의 선정은 학습자의 수업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이다. 넷째, 학습부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변화를 위해서는 자신, 친구, 가족, 세상과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과 상호작용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수업을 진행하며 연구 대상자들은 자신과 친구와의 친밀감, 가족 구성원들 간의 유대감, 지속 가능한 세상에 대한 관심, 자신을 대하는 연구자의 진정성 있는 태도와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피드백 등을 인식하며 점차 자신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적극성과 자신과 타인, 세상을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다. 즉, 타인과 세상과의 조화로운 관계는 개인의 자아존중감 향상은 물론 타인에 대한 존중감을 형성하는 데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해보면, 학습부진 청소년은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바탕으로 자신에 대한 탐구와 온전한 수용을 경험했으며, 이 경험을 통해 성취감과 행복감을 느끼게 되어 자아존중감이 향상된 모습을 보였다. 더불어 타인과 세상을 존중하고 이해하며 조화롭게 상호작용함으로써 자아존중감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를 통해 학습부진 청소년은 자신을 자연스럽게 표출함으로써 그동안 알아차리지 못했던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사랑하고 포용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학습부진 청소년을 병리적으로 바라보고 치료적인 접근을 취해왔던 기존의 방식에서 벗어나 교육적인 접근을 통해 학습부진 청소년의 자아존중감을 향상시키는 미술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함을 깨달았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부진 청소년이 자신, 친구, 가족, 세상, 연구자와의 조화로운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성취감과 행복감을 경험하도록 하여 자신감을 가지고 긍정적인 표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긍정심리학에 근거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