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45 Download: 0

조선시대 직물의 함조문(銜鳥紋) 연구

Title
조선시대 직물의 함조문(銜鳥紋)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Hamjomun on Textiles of the Joseon Dynasty
Authors
유지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나영
Abstract
본 연구는 문헌 및 유물 조사를 통해 조선시대 직물에 표현된 함조문(銜鳥紋)의 개념과 유형, 상징성과 조형성을 분석하여 정리한 것이다. 함조문에 대한 이론적 고찰과 실증적 분석 자료를 제시하고자 하는 목적이 있으며, 조선시대 함조문의 변천 양상과 경향을 분석하여 시대별 문양 전개 및 인식 변화를 파악하는 것에 의의가 있다. 함조문은 새가 어떠한 물체를 물고 있는 문양을 일컫는다. 함조문으로 표현된 새는 천상(天上)과 지상(地上), 현세(現世)와 후세(後世), 신과 인간을 맺어주는 매개체(媒介體)의 역할이 강조되어 더욱 신성시 여겨진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함조문 유형은 아시아 문화권에서 공통적으로 찾아볼 수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직물 문화 교류가 활발하였던 삼국시대 무렵부터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새가 물고 있는 함조의 대상은 시대의 흐름에 따라 ‘수대(綬帶)⋅연주(連珠)⋅유소(流蘇)⋅보배[寶貝]⋅초화(草花)⋅과실(果實)⋅영지(靈芝)’ 등으로 변화되어 나타난다. 직물에 표현된 함조문의 유형은 끈이나 장식을 물고 있는 함수조문(銜綬鳥紋)과 꽃이나 나뭇가지를 물고 있는 화식조문(花喰鳥紋)으로 구분할 수 있다. 함수조문에서 함조의 대상은 수대와 연주를 시작으로, 유소와 보배 형태로 변화한 것으로 가늠된다. 초화를 문 화식조문은 당대(唐代)에 장식화되어 점차 화려하게 표현되었으며 함조 대상이 포도⋅석류⋅복숭아 등 과실로 변용되어 구체적인 길상 의미가 강조되었다. 조선시대 직물에서 함조문은 직문(織紋) 혹은 수문(繡紋)의 모습으로 나타난다. 연구 대상으로 한 유물은 직조 25점, 자수 30점이다. 직조로 표현된 함조문 직물은 ‘단령(團領)⋅도포(道袍)⋅철릭[天翼]⋅장옷[長衣]⋅당의(唐衣)⋅저고리⋅치마⋅이불[衾]⋅보자기[褓]⋅초상화의 장황(裝潢)’ 10종 25점에서 확인된다. 자수 유물 중 흉배(胸背)의 경우, 대체로 유사한 양식의 문양이 나타나 대표적으로 함조문 도안의 경향을 살펴볼 수 있는 유물 7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어린이 복식에서는 ‘전복(戰服)⋅배자(褙子)⋅굴레’ 3종 5점, 생활용품에서는 ‘주머니⋅베갯모⋅보자기⋅혼선(婚扇)⋅인두판⋅병풍(屛風)’ 6종 18점을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직조로 표현된 함조문은 출토품과 전세품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함조문이 사용된 직물은 남녀 복식을 가리지 않고 나타나며, 이외에 이불과 보자기에서도 확인되어 용도를 크게 가리지 않고 널리 사용되었던 것으로 생각된다. 출토품에서 함조문은 16~17세기에 사양화(四樣花)와 함께 다수 확인된다. 17세기 이후 함조문 직물은 이전보다 다채로운 종류로 나타나며, 이중길상(二重吉祥)의 구성 양식으로 표현되었다. 특히 학이나 봉황이 주 소재로 사용되며, 다양한 형태의 구름⋅꽃⋅복숭아 등과 함께 배치되어 문양 소재로써 존재감이 더욱 강조되었다. 출토품에서 함조문은 18세기로 접어들면서 찾아보기 어려워지나, 전세품을 통해 19세기 중반까지 함조문 직물이 꾸준히 사용되었음을 알 수 있다. 자수 유물에 나타나는 함조문은 흉배와 어린이 복식, 생활용품에서 확인된다. 흉배에 표현된 함조문은 18세기 후반부터 나타나며 당상관(堂上官) 쌍학흉배, 당하관(堂下官) 단학흉배에서 모두 학이 영지를 문 모습으로 도안되었다. 어린이 복식과 생활용품에서는 십장생(十長生)⋅연꽃⋅모란과 함께 함조문을 조형하여 현실에서 갖는 이상적 삶의 대한 염원을 담았으며, 특히 혼수품(婚需品)에서 함조문이 자주 나타난다. 함조문의 조형적 특성은 구성요소로 나타나는 새 종류에 따라 ‘학⋅제비⋅까치⋅봉황⋅기타’로, 새가 물고 있는 함조의 대상에 따라 ‘초화 및 과실⋅영지⋅보배⋅기타’로 분류하여 살펴보았다. 또한 문양 배치는 새의 자세와 구도에 따라 ‘입상(立像)⋅비상(飛翔)’과 ‘상하(上下)⋅좌우(左右)⋅상하좌우(上下左右)’로, 새와 함조 대상의 구도에 따라 ‘새 한 마리가 하나의 함조 대상을 문 경우, 새 두 마리가 각각 함조 대상을 하나씩 문 경우, 새 두 마리가 하나의 함조 대상을 함께 문 경우’로 유형을 구분하고 특징을 파악하였다. 함조문은 새의 종류와 물고 있는 물체에 따라 상징적 의미가 다르게 해석된다. 새와 함조 대상의 조합을 빈도수에 따라 나열하면 ‘학과 영지, 학과 초화 및 과실, 제비와 초화, 까치와 보배, 봉황과 초화, 학과 보배, 제비와 보배, 봉황과 영지‘ 순이다. 이들은 각각 ‘장수(長壽)와 벽사(辟邪), 부귀(富貴)와 공명(功名), 기복(祈福)과 경축(慶祝)’ 등의 의미를 상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크게 조명 받지 못한 함조문 직물에 주목하여, 조선시대 함조문 직물의 전개와 유형, 조형적 특성과 상징적 의미 등을 다각적으로 살펴보았다. 조선시대 함조문 직물에서 확인되는 문양 구성요소와 배치 방법 등을 분석하여 조형성과 상징성을 고찰하였으며 이를 통해 함조문의 사회적 반향(反響)과 영향력을 확인하였다. 그동안 실증적이고 구체적으로 연구되지 않았던 함조문 구성요소 간의 관계성 및 상징체계를 규명하였다는 데에 의미를 둔다. 본 연구가 앞으로 직물 문양의 해석 및 동서 문화 교류 양상과 유물 연대 감정 등의 연구에 기초 자료로써 도움이 되길 바란다. ;This study analyzed and sorted out the concept, type, symbolism, and formativeness of Hamjomun(銜鳥紋, a bird pattern holding something in its mouth) expressed on textiles in the Joseon Dynasty through literature and relic research.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oretical considerations and empirical analysis materials of Hamjomun and understand the development of patterns by period changes in the perceptions, analyzing the aspects of changes and trends of the Joseon Hamjomun. Hamjomun refers to a pattern in which a bird is holding something in its mouth. The birds expressed in Hamjomun seem that they were considered more sacred as the role of a medium that would connect between heaven and ground, this life and life after death, God and man. This Hamjomun type can commonly be found in the Asian cultural area, and it is assumed that in Korea, it began to be used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when there was active cultural exchange of textiles. Hamjo subjects held by the bird in its mouth were changed into ‘ribbon(綬帶), string of pearl-beads(連珠), Yuso(流蘇), treasure(寶貝), floral twig(草花), fruit(果實), and ganoderma lucidum(靈芝)’ with the flow of the times. The types of Hamjomun expressed on textiles can be classified into Hamsujomun(銜綬鳥紋), in which the bird is holding a string or ornament and Hwasikjomun(花喰鳥紋), in which it is holding a flower or branch. It is assumed that, in Hamsujomun, the Hamjo object was changed from ribbon and string of pearl-beads to Yuso and treasure. Hwasikjomun holding a floral twig in its mouth became decoration during the Tang age and gradually was expressed splendidly, and as fruits, such as grapes, pomegranates, and peaches became the Hamjo subjects, concrete auspicious meanings were emphasized. On textiles of the Joseon Dynasty, Hamjomun appears in weaving or embroidery images. The textiles in this study are 25 pieces made with weaving techniques and 30 with embroidery techniques. The Joseon Hamjomun textiles produced with weaving techniques are identified in 25 pieces in ten types, including ‘Dallyeong(團領), Dopo(道袍), Cheollik(天翼), Jangot(長衣), Dangui(唐衣), Jeogori(赤古里), skirt(赤亇), blanket(衾), Bojagi(褓), and decorating of portrait(裝潢)’. Embroidered Hyungbae (胸背, chest insignia), as similar patterns appeared in most relics, seven relics were chosen as subjects for a study, through which it would be possible to examine the trend of the Hamjomun designs. Costumes for children, five pieces in three kinds, including ‘Jeonbok(戰服), Baeja(褙子), and Gulle’ were chosen, and for daily supplies, 18 pieces in six kinds, including ‘pockets, pillowcases, Bojagi, Honseon(婚扇), ironing board, and folding screen(屛風).’ Hamjomun textiles expressed with weaving techniques were divided into excavated articles and transmitted articles for a discussion. Textiles that used Hamjomun appear regardless of clothes for both sexes, and it is found also in blankets and cloth wrappers (blanket and Bojagi), which shows that it has widely been used for almost all purposes. In the excavated articles, Hamjomun are found in numbers with Sayanghwa(四樣花) in the 16th-17th century. After the 17th century, Hamjomun textiles appeared in more diverse types and was expressed in the constructional pattern of double good signs (double auspiciousness). Especially, cranes and phoenixes are used as main subject matters, along with the various forms of clouds, flowers, and peaches. Their presences as the materials of patterns are further emphasized. In the excavated articles, it came to be harder to see Hamjomun, entering the 18th century; however, through the transmitted articles, until the mid-19th century, Hamjomun textiles have continuously been used. Hamjomun textiles expressed with embroidery techniques appear in Hyungbae, costumes for children, and daily supplies. Hamjomun expressed in Hyungbae has appeared since the late-18th century, and both twin-crane Hyungbae of Dangsangkwan(堂上官) and single-crane Hyungbae of Danghakwan(堂下官) were designed as the crane holding ganoderma lucidum in its mouth. Textiles of costume for children and daily supplies, along with ten longevity symbols(十長生), lotus and peony, Hamjomun was modeled to include aspirations for an ideal life in reality. Especially, Hamjomun often appears in a hope chest. Formative characteristics of Hamjomun were classified into ‘crane, swallow, magpie, phoenix, and others’ by the species of the bird appearing as components and ‘floral twig, fruit, ganoderma lucidum, treasure, and others’ by the object of Hamjo held by the bird. In addition, as for the distribution of patterns, the types were classified into ‘standing statue(立像)/soaring statue(飛翔)’ and ‘up and down(上下)/left and right(左右)/up, down, left and right(上下左右)’ according to the bird’s pose and composition ‘a single bird holding one Hamjo subject, two birds holding one Hamjo object each, and two birds holding one Hamjo object’ according to the composition of the bird and the object of Hamjo. The symbolic meaning of Hamjomun is interpreted differently according to the species of the bird and the object it is holding. The combination of the bird and the object of Hamjo is listed according to the frequency as follows, ‘crane and ganoderma lucidum, crane and floral twig and fruit, swallow and floral twig, magpie and treasure, phoenix and floral twig, crane and treasure, swallow and treasure, phoenix and ganoderma lucidum, and others’. These symbolized respectively ‘longevity, the expulsion of evil, wealth, rank and fame, prayer for good fortune, and celebration.’ This study discussed the development, type, formative characteristics, and symbolic meaning of the Joseon Hamjomun textiles, focusing on Hamjomun, which has not come to the fore until now from various angles. This study discussed formativeness and symbolism, analyzing the pattern components and distribution methods identified in the Joseon Hamjomun textiles and noted the social repercussions and impacts of Hamjomun through that. This study has great significance in that it investigated relationality, historicity and symbolism among the Hamjomun elements researched empirically and specifically. Hopefully, this study would be helpful as the baseline data for the studies of the interpretation of patterns of textiles, the aspects of East-West cultural exchange, and the identification of the chronology of relic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