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16 Download: 0

비판적 다문화교육 관점에 기반한 중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및 개선방향 모색

Title
비판적 다문화교육 관점에 기반한 중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및 개선방향 모색
Other Titles
Analysis of the Middle School Art Textbooks in terms of Critical Muticultural Education
Authors
임자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윤순란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s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to examine overall trends, and to seek improvement measures to vitalize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As a research procedure for this purpose, the theoretical contents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were identified through literature review and analysis of previous studies. While investigating the link between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and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criteria and detailed frameworks were selected to analyze the contents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in art textbooks. Analysis criteria were referred to the claims of Park Hyu-yong (2012), and the conclusions derived from using the research methods of composition analysis and content analysis are as follows. According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was applied to middle school art textbooks, but the content elements are unevenly reflected in each textbook in detail. In order to improve this, the contents of the textbook should be structured consistently and intensively. Also, the composition of the learning activity and the images should be closely related to each other. In this process, it was necessary to diversify learning activities that cross the areas of experience, expression, and appreciation. The part containing visual images that are limited in the mainstream group and can cause stereotypes about a particular group should be carefully supplemented. Therefore,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more systematically reflected in the future curriculum. In addition, in order to conduct classes related to multicultural education in depth, an integrated approach between subjects and practical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From a critical point of view, multicultural education not only defines multiculturalism as cultural differences but also engages in social justice and equity issues, so it can help learners recognize the unequal social structure that causes various conflict problems in modern society. Through this perspective, students can ultimately learn with others, accept each other's differences, and gain insight into social issues from multiple perspectives. This is related to the 2015 revised art curriculum emphasizing and presenting core competencies to nurture talented people with multicultural sensibility. The goal of the middle school art curriculum focuses on fostering an attitude that actively participates and cooperates in solving social problems through art activities based on flexible awarenes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oneself and the surrounding environment. Through this,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and art education are consistent in that they seek democratic educational equality based on a sense of community that starts from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their relationship with the world, and pursue to raise awareness of participation in solving social problems. However, due to the ambiguity of the difference in concepts between multicultural education and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 is a concern that the research perspective through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may cause confusion in the analysis. Therefore, this study will proceed with the analysi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by clearly establishing the concept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Accordingly, this paper intends to analyze 14 types of art textbooks for middle school revised in 2015 from the perspective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Since textbooks are the medium that has the most direct influence on students by revealing educational content, so it should be prioritized to analyze how much the current art textbooks contain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The research results derived by analyzing the text and images of middle school art textbooks and synthesizing them with teacher interviews are as follows. First, each textbook shows a large deviation in the composition ratio reflecting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Besides, textbooks also have deviations for each content element, which is expected to have a different effect on students'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related learning and multicultural capabilities. Content elements should be uniformly reflected in all textbooks to prevent biased thinking. Second, from the contents of art textbooks, learning activities are limited to recognizing concepts or confined to expression activities for expression. In order for learners to deeply embody this, it is necessary to connect it to the composition of various learning activities that could be practiced in detail by utilizing the knowledge obtained through critical thinking. Moreover, figures in the textbook should be connected to learning activities. Alternatively, contextual explanations that help understand the subject and illustrations should be supplemented. Third, when organizing the content in the next curriculum, it should be attempted to escape from the fixed and immutable knowledge of mainstream culture. In other words, it requires to be corrected with a curriculum that leads to genuine critical discussion and to question how to control inequality. Furthermore, education for teacher and pre-teacher should be executed, and education authorities should cooperate for fundamental chang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searches for identifying the actual reflection degree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urrent middle school art textbook in detail and improving problems.;본 연구는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관점에서 2015 개정 중학교 미술교과서를 분석하여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고 비판적 다문화교육 활성화를 위한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삼는다. 이러한 목적을 위한 연구절차로 문헌 조사와 선행연구의 분석을 통해 비판적 다문화교육에 대한 이론적 내용을 파악하였다. 또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비판적 다문화교육과의 연계성을 탐색하며, 현행 미술교과서에 나타나는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내용의 분석기준과 세부 틀을 선정하였다. 최종적으로 선정된 분석기준은 박휴용(2012)의 기준을 참고하였고, 구성분석과 내용분석의 연구방법을 병행하여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중학교 미술교과서에 비판적 다문화교육이 적용되었으나, 세부적으로 교과서별로 내용요소가 불균등하게 반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교과서의 내용이 주제집약적으로 일정하게 구성되어야 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학습활동과 도판의 구성은 상호 간 밀접하게 연관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체험‧표현‧감상 영역을 넘나드는 학습활동의 다양화가 필요했다. 도판은 주류집단에 제한적일 뿐 아니라 특정집단에 대한 고정관념을 유발할 수 있는 시각적 이미지가 수록된 부분이 세심하게 보완되어야 한다. 따라서 향후 교육과정에서 비판적 다문화교육을 더욱 체계적으로 반영하고, 다문화 관련 수업을 심도 깊게 진행하기 위한 교과 간 통합적 접근과 실제적인 교수-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에 노력을 병행해야 할 것으로 파악하였다. 비판적 관점에서의 다문화교육은 다문화주의를 문화적 차이만으로 규정하는 것에서 발전하여 사회적 정의와 형평성의 문제에도 관여하므로 현대사회의 다양한 갈등 문제를 야기하는 불평등한 사회구조에 대해 인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관점을 통해 궁극적으로 학생들은 타자와 함께 배우며 서로의 차이를 수용하며 다방면적 측면에서 사회문제를 바라보는 통찰력을 갖출 수 있다. 이는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서 다문화적 감성을 지닌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핵심역량을 강조하여 제시하고 있는 것과 관련있다. 중학교 미술과 교육과정 목표는 자신과 주변 환경의 관계에 대한 유연한 인식을 바탕으로 미술활동을 통해 사회문제 해결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고 협력하는 태도를 기르는 것에 초점을 둔다. 이를 통해 비판적 다문화교육과 미술교육은 자신과 세계와의 관계에 대한 이해와 존중으로부터 출발한 공동체 의식을 토대로 민주주의적 교육적 평등을 추구하며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참여의식을 고양하고자 하는 점에서 일맥상통함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다문화교육과 비판적 다문화교육 간의 개념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에 대한 모호성으로 인해, 비판적 다문화 교육을 통한 연구관점이 분석에 혼란을 초래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개념을 명확하게 정립하여 14종의 중학교 미술 교과서 분석 연구를 진행할 것이다. 교과서는 교육내용을 드러냄으로써 학생들에게 가장 직접적인 영향력을 끼치는 매개체이므로, 현행 미술 교과서가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내용을 얼마나 담고 있는지 분석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이다. 중학교 미술교과서의 텍스트와 이미지를 분석하고 교사 인터뷰와 종합하여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마다 비판적 다문화교육가 반영된 구성비에 큰 편차를 보인다. 더불어 교과서 내에서도 내용요소별로 비중의 차이가 있어 학생의 비판적 다문화교육 관련 학습과 다문화적 역량에 상이하게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교과서 모두에 내용요소가 균일하게 반영되어 편향적 사고를 방지해야 할 것이다. 둘째, 미술교과서의 내용에서 학습활동은 개념을 인식하는데 머물거나 표현을 위한 표현활동에 국한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학습자가 이를 깊게 체화하기 위해서는 비판적 사고를 통해 얻은 지식을 활용하여 구체적 실천으로 연결할 수 있는 다양한 학습활동 구성으로 변화해야 한다. 또한 교과서 내의 도판들은 학습활동과 연계성을 높이거나, 주제와의 도판 이해를 돕는 맥락적 설명이 보완되어야 한다. 셋째, 차기 교육과정에서 내용을 조직할 때, 주류문화의 고정불변적 지식에서 벗어나려고 시도되어야 한다. 즉, 진정한 비판적 논의가 이루어지고 불평등의 통제방식에 대해 의문점을 던질 수 있도록 이끄는 교육과정으로 바로잡아야 한다. 추가적으로 교사‧예비교사 교육이 병행되고, 학교 밖에서도 근본적인 변화를 위한 협조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는 현행 중학교 미술교과서에서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실질적인 반영 정도를 세부적으로 파악하고 문제점을 개선하고자 하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