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93 Download: 0

근대 옥양목에 관한 연구

Title
근대 옥양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Modern Ogyangmok
Authors
김나윤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의류산업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홍나영
Abstract
This study discussed the use and aspect of importation of Ogyangmok, which took the most of imports in the early period after the opening of Korean ports, referring to literature, photo, and printed materials. In addition, this study observe yarn and fabric characteristics of modern Ogyangmok passed down and the related relics of cotton fabrics based on that. The records of the use of Ogyangmok in the Royal Court appear in 「Balgui」 and 『Euigwe(Royal Protocol)』. In a total of 65 「Balgui」 materials since 1881 , 149 related records could be found, and it also had various names, including Boeksyeoyangmok, Syeoyangmok, Ogyangmok, and Yangmok. Ogyangmok was widely utilized for articles of Royal family members, and in particular, as materials for underwear and bedding. It is also found through 『Euigwe』 that imported cotton fabrics were used as cover of folding screens, materials for the kiln roof, and cloths. The private use of Ogyangmok appeared in a list of articles for wedding ceremonies, letters, and news articles. In the list of articles for wedding ceremonies, Ogyangmok was used as cloth for outer clothing, which is a distinctive feature from its use in the Royal Court. In particular, men’s Ogyangmok Jueui(overcoat) appears in all letters to the house of the fiancee, and there were various types as well. Thus, it is judged that this was considered formal dress or celebratory dress at the time. Ogyangmok appearing in modern newspapers appeared as stolen items along with properties and possessions. In the articles related to the rich class, the frugality of Ogyangmok came to the fore, and the popularity of Ogyangmok itself was addressed as well. As Ogyangmok was used in various classes, there were differences in the use and perception accordingly. However, the practical characteristic and sophisticated look of Ogyangmok were recognized as positive images to the people at the time. Various imported fabrics were introduced in the early period after the opening of ports, and Ogyangmok took most of them. Japan occupied the Korean trade market after the Korea-Japan Treaty of 1876 (Ganghwado Treaty), but as competition with Chinese traders with superior capital power and sales ability began, the amount of the two countries’ trade became similar. However, as Japan that won the Sino-Japanese War of 1894-5 took the initiative for Korean trade, the amount of its trade overwhelmed that of China’s. There was also a change in the form of the textile trade, the trade of Japan and China, which was mainly developed in the form of intermediary trade of English Ogyangmok began to include Japanese products. Especially, Japan made ‘Sogeonbaengmongmyeon’ which imitated Korean Mumyeong and won popularity among the labor class that preferred durable fabrics. Later, Japan’s textile industry rapidly grew up, and Japanese Ogyangmok, ‘Geumgeon’ was popular in Korea, and the amount of trade of unbleached Ogyangmok in 1906 and that of bleached Ogyangmok in 1916 exceeded that of the U.K. Moreover, policy factors like the Korea-Japan Treaty of 1905 (Eulsa Treaty) and the Korea-Japan Annexation Treaty and the revisions of taxation beneficial to Japan affected Korean trade, resulting in Japanese cotton fabrics’ monopoly of the Korean market, pushing out English ones completely. For an empirical survey of modern Ogyangmok and the related cotton fabrics, along with three Ogyangmok pieces, one Gwangmok piece, and two Mumyeong pieces, which were held in the National Folk Museum of Korea, one Geumgeon and one Calico(キャリコ), which were included in the Book of Textile Samples, 『Jingmuldaegye』 published in 1930 in Japan were selected as the subjects of the survey. The investigation items included the thickness and twist of thread and the density, thickness, and width of textile, and this study would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extile through them. As for the thickness of thread, that of Ogyangmok ranged between 0.26 mm and 0.3 mm while that of Mumyeong ranged between 0.40 mm and 0.48 mm, and they were woven with relatively thicker thread. That of Gwangmok was 0.36 mm, which was similar to that of Ogyangmok. The density was similarly high in Ogyangmok and Gwangmok while that of Mumyeong was relatively lower. The trademark of Gwangmok was checked, and it was found that this was woven with Semok, a textile finer than Gwangmok in the place of production, and accordingly, it is judged that some numerical values were similar to those for Ogyangmok. The thickness of textile was the thinnest in Ogyangmok at 0.18㎜on average while there was a big difference between the two Mumyeong pieces respectively at 0.31㎜ and 0.52㎜. The Mumyeong piece that turned out to be the thinnest had numerical values close to those of Gwangmok with a thickness of 0.25㎜. Since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width of textile or twist of thread from that of Mumyeong, it was assumed that the Mumyeong piece might be an imported textile or a product made at a factory. Through the above basic survey, it was found that Ogyangmok is a textile with a smooth surface, woven with thin thread. However, this survey had various limitations because the subject was a relic, and there was also a limitation that there was a distortion in the item like the thickness of the thread. Hopefully, a subsequent study would investigate and reveal the clear characteristics of modern cotton fabrics, supplementing this.;본 연구는 개항 초기 수입품 중 가장 비중이 컸던 옥양목의 사용 및 수입 양상을 고찰한 것으로 문헌 자료와 사진 자료, 인쇄 매체 등을 참고하였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현전하는 근대 옥양목과 관련 면직물 유물의 기초조사를 실시하였다. 왕실에서 옥양목을 사용한 기록은 「발기」와 『의궤』에 나타난다. 1881년 이후 총 65개의 「발기」자료에서 149건의 연관 기록을 찾을 수 있으며 명칭 또한 백셔양목ㆍ셔양목ㆍ옥양목ㆍ양목 등으로 다채롭다. 옥양목은 다양한 국가 행사에서 왕실 식구들의 물품에 두루 활용되었으며 특히 속옷과 금침의 소재로 많이 사용되었다. 『의궤』에서도 수입 면직물이 병풍의 의차(衣次), 채여(彩輿) 지붕의 재료, 옷감 등에 다양하게 소용(所用)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민간의 옥양목 사용은 혼례용 단자(單子), 편지, 신문 기사 등에서 나타났다. 혼례용 단자에서는 옥양목이 겉옷의 옷감으로 쓰인 것이 왕실과 구분되는 점이다. 그중에서도 남성의 옥양목 주의[周衣, 두루마기]는 모든 단자에 나타나며 그 종류 또한 다양해 이것이 당시 정장이나 예복으로 여겨졌음을 짐작할 수 있었다. 근대 신문에 보이는 옥양목은 재산이나 재물과 함께 절도 피해 품목으로 나타나기도 했으며 부유층과 관련한 기사에서는 옥양목의 검소함이 부각되고 옥양목 자체의 유행이 다루어지기도 했다. 옥양목은 다양한 계층에서 사용된 만큼 그에 따른 용도와 인식에도 차이가 존재했다. 그러나 옥양목의 실용적인 특성과 세련된 외형은 당시 사람들에게 긍정적인 이미지로 인식되었다. 개항 초 다양한 수입 직물들이 국내로 유입되었지만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던 직물은 옥양목이었다. 일본은 강화도 조약 이후 조선 무역 시장을 선점했지만 자본력과 판매 수완이 우월했던 중국 상인들과 경쟁이 시작되자 양국의 교역량은 비등해졌다. 그러나 청일전쟁에서 승리한 일본이 조선 무역에 대한 주도권을 찾으면서 일본의 교역량이 중국을 압도했다. 직물 무역의 형태에도 변화가 나타나 주로 영국산 옥양목의 중개무역 형태로 전개되었던 일본과 중국의 무역에 일본산 상품이 포함되기 시작했다. 특히 일본은 조선의 무명을 모방한 ‘소건백목면’을 만들어 질긴 옷감을 선호했던 노동자 계층에게 인기를 끌었다. 이후 일본의 직물 산업은 급속도로 성장해 일본산 옥양목인 ‘금건’이 국내에서 유행하였으며 1906년에는 미표백 옥양목, 1916년에는 표백 옥양목의 교역량에서 영국을 앞섰다. 여기에 을사늑약ㆍ한일병합조약 등 정책적 요인과 일본에 유리한 관세 개정까지 더해져 한국 무역에 영향 준 결과 일본산 면직물은 영국산을 완전히 밀어내고 국내 시장을 독점하였다. 근대 옥양목과 연관 면직물에 대한 실증적 조사를 위하여 국립민속박물관 소장의 옥양목 3점ㆍ광목 1점ㆍ무명 2점과 함께 1930년 일본에서 발간된 직물 표본서인 『직물대계』수록 금건 1점ㆍ캬리코 1점을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조사 항목은 실의 굵기와 꼬임, 직물의 밀도ㆍ두께ㆍ폭이며 이를 통해 직물의 특성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실의 굵기는 옥양목이 0.26~0.36 ㎜의 분포를 보이며 무명은 0.40~0.48 ㎜로 나타나 비교적 굵은 실로 제직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광목의 경우는 0.36 ㎜로 나타나 옥양목과 유사했다. 밀도는 옥양목과 광목이 비슷한 수준으로 높은 값을 보였으며 무명의 밀도는 비교적 낮았다. 광목의 상표를 확인한 결과 생산처에서는 이것을 광목보다 섬세한 직물인 세포(細布)로서 생산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에 따라 일부 수치가 옥양목과 유사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직물 두께는 옥양목이 평균 0.18 ㎜로 가장 얇았으며, 무명 2점은 각각 0.31 ㎜, 0.52 ㎜로 큰 차이가 있었다. 특히 얇은 두께로 나타난 무명은 두께 0.25 ㎜의 광목의 수치에 가까웠는데, 직물의 폭이나 실의 꼬임에서도 전통 무명과는 차이가 있어 이것이 수입된 직물이거나 공장 생산 상품일 가능성도 제기되었다. 이상의 기초조사를 통해 옥양목이 가는 실로 치밀하게 짜여 표면이 매끄러운 직물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본 조사는 대상이 유물이라는 특성상 실의 단면 측정을 비롯한 여러 가지 제약이 있었다. 특히 실의 굵기는 유물에서 실을 채취해 측정한 것이 아니어서 굵기를 평면으로 측정하였기 때문에 발생하는 한계점이 있다. 후속 연구에서는 이러한 점을 보완하여 보다 명확한 근대 면직물의 특성이 규명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의류산업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