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389 Download: 0

진로 준비를 위한 통합 동아리 활동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장애학생의 진로계획 능력 및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Title
진로 준비를 위한 통합 동아리 활동이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장애학생의 진로계획 능력 및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Inclusive Club Activity for Career Preparation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lanning Capac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Distanc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Authors
이서림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통합교육의 확산에 따라 최근 일반학교 특수학급에 배치된 학생 수는 매년 증가하고 있지만, 고등학교는 성인기를 준비하는 시기로서 다른 학년 군에 비해 통합교육 시 고려해야 할 요소가 다양해짐에 따라 통합교육 지원의 어려움이 존재한다. 따라서, 효과적인 통합교육을 위해 학교 현장에서 일반학급 교과 수업뿐 아니라 교과 수업 외 시간을 활용하여 통합된 환경을 조성할 필요가 있으며, 특히 교과 수업 외 시간을 통해 보다 자율적인 활동을 계획하여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고등학교는 성인기 직전의 마지막 학령기로서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를 준비하고 결정할 수 있는 기회가 필요한 시기이기 때문에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의 요구를 고려한 진로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는 창의적 체험활동의 동아리 활동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통합 동아리 활동을 통해 통합교육 환경 안에서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은 사회적 상호작용의 증진 및 또래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되며, 통합 진로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학생의 여러 영역에서의 긍정적인 변화를 도출할 수 있다는 연구가 발표되고 있으므로 통합 동아리 활동과 진로교육을 접목한 프로그램의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고등학교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을 대상으로 고등학생에게 자신의 특성과 요구에 맞는 진로를 탐색하고 준비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상호작용하며 소통하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지원하고자 진로 준비를 위한 통합 동아리 활동을 실시하여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계획 능력 및 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고등학교 장애학생 7명, 비장애학생 9명으로 총 16명이다. 본 연구의 독립변인인 진로 준비를 위한 통합 동아리 활동은 총 10회기로 구성되었다. 1회기의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고, 매회기 2015 학교 진로교육 목표 및 성취기준의 대영역을 반영한 활동 목표에 따른 진로교육 활동을 실시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1회기 시작 전 비장애학생 대상 오리엔테이션을 실시하고, 매회기 시작 전과 회기 중에 장애학생을 위한 지원을 제공하였다. 진로 준비를 위한 통합 동아리 활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를 사용하였으며, 중재 전과 후에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진로계획 능력, 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비모수 검정 방법인 윌콕슨부호 순위검정(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 준비를 위한 통합 동아리 활동 참여에 따라 비장애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 총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하위영역 중 직업정보 수집, 목표설정, 문제해결, 자기평가 영역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장애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검사 총점에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하위영역인 직업정보 수집, 목표설정, 계획수립, 문제해결, 자기평가 영역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진로 준비를 위한 통합 동아리 활동은 비장애학생과 장애학생 모두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진로 준비를 위한 통합 동아리 활동 참여에 따라 장애학생의 진로계획 능력 검사 총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하위영역 중 의사결정과정 이해, 진로계획과정 이해 영역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진로 준비를 위한 통합 동아리 활동은 장애학생의 진로계획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진로 준비를 위한 통합 동아리 활동 참여에 따라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검사 총점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하위영역 중 사회적 의지, 지식, 접촉 영역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따라서 진로 준비를 위한 통합 동아리 활동은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진로 준비를 위한 통합 동아리 활동은 고등학생의 진로결정 자기효능감 및 장애학생의 진로계획 능력의 향상, 비장애학생의 장애학생에 대한 사회적 거리감 감소에 효과적이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장애학생과 비장애학생이 함께 참여할 수 있는 진로 프로그램을 고등학교 현장에 제시하였고, 체계적인 통합 동아리 활동을 제공하여 효과를 검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비장애학생이 장애학생을 이해하는 데 의미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With the spread of inclusive education, the number of students assigned to special education classes in general schools is increasing every year. However,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high schools where students should prepare for adulthood, there are more factors to handle which lead to difficulties in supporting inclusive education compared to other grade groups. Therefore, for effective inclusive education, it is necessary to create settings in which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can interact by utilizing time outside of subject classes. In addition, as high school is the last school age just before adulthood, a career education program that considers the needs of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is required, which can be provided through club activity of creative activities. Through inclusive club activity,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have opportunities to improve social interactions and peer relationships, and given that there are many research saying that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inclusive career education program showed positive changes in many areas, it is possible to expect that there would be positive effect of the program combining inclusive club activity and career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inclusive club activity for career preparation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in high school students, career planning capac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social distanc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by providing high school students with opportunities to explore and prepare for careers that meet their characteristics and needs.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7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9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a total of 16. The inclusive club activity for career preparation, an in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as implemented through a total of 10 sessions. After the first session, students took part in career education activities according to the activity goals of inclusive club activity reflecting 2015 school career education goals and achievement standards. Prior to the start of the first session,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ok part in orientation, 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ook part in prior activities before each session. In order to find out the effectiveness of inclusive club activity for career preparation, the study used one-group pretest-posttest design, and a Wilcoxon signed rank test, a nonparametric test,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lanning capacity, and social distance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for student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ests as for whethe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inclusive club activity for career preparation or not. Among the sub-areas, collection of job information, goal setting, problem solving, and self-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otal score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tests for students with disabilities. Among the sub-areas, collection of job information, goal setting, planning, problem solving, and self-evaluation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as well. Therefore, the result showed that participating in inclusive club activity for career preparation led to positive changes of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for both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Secondly, in terms of whether they participated in inclusive club activity for career preparation or not, the total score of career planning capac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mong the sub-areas, understanding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career planning proce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Thus, the result showed that participating in inclusive club activity for career preparation led to positive changes career planning capac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rd, as for whether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inclusive club activity or not, the total score of social distanc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was significantly improved. Among the sub-areas, social willingness, knowledge, and contac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Therefore, the result showed that participating in inclusive club activity for career preparation positively changed social distanc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had toward ones with disabilities. In sum, it can be confirmed that the inclusive club activity for career preparation was effective in improving high school students' career decision-making self-efficacy, career planning capacity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reducing social distance of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to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ed a career program in which students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can participate together in high school and verified its effectiveness by providing systematic career inclusive club activity. Finally, it is also meaningful in that students without disabilities have a chance to understand students with disabilities through this meaningful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