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3 Download: 0

지체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이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참여 경험과 교사효능감 및 지체장애 관련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Title
지체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이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의 참여 경험과 교사효능감 및 지체장애 관련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
Authors
주수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통합교육의 중요성과 효과에 대한 인식이 변화함에 따라 일반학교에서 교육받는 지체장애학생이 증가하고 있다. 최근에는 통합교육을 받고있는 지체장애학생들이 진정한 의미에서 사회적, 교육적으로 통합되어 질적으로 우수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하는 데 관심의 초점이 모이고 있다. 지체장애는 신체적, 운동 상의 문제뿐 아니라 인지, 정서적으로도 개인차가 매우 큰 장애 영역이며 물리적 접근성, 보조 인력 제공, 보조공학기기에 대한 이해, 이동성의 확보와 같이 다른 장애 영역의 학생들과 구분되는 독특한 지원 요구를 갖는다. 이와 같은 지원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일반학교에서 지체장애학생들을 지원하는 특수교사들의 교사효능감과 전문성 향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하지만 통합 환경에서 지체장애학생을 가르치는 특수학급 교사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전문성을 향상하기 위한 지원을 제공하고 효과를 살펴본 연구는 현저히 부족한 상황이다. 교사학습공동체는 과거 연수 형식에서 나아가 교사들이 협력을 통해 지식과 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방법으로 최근 주목받고 있다. 특수교육에서도 정책적으로 교사학습공동체를 교육 현장에 적용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으며,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 특수교사의 전문성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도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을 대상으로 지체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진행하고, 이를 통해 교사효능감과 지체장애 관련 전문성 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지체장애학생들을 가르치는 초등 특수학급 교사들을 지원하고 활동의 효과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에서 진행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참여자는 전국에서 모인 교사 13명이다. 이들은 연구의 목적과 활동 내용에 대한 온라인 홍보자료를 보고 자발적으로 참여 의사를 밝혔다.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은 실시간 화상 회의 프로그램을 통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모임, 온라인 카페 참여,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의사소통의 세 가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의 활동 주제는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지체장애학생 교육을 위해 기본적으로 요구되는 지식과 기술을 10개의 주제로 묶어 구성하였고, 전문가 검토 및 수정을 거쳐 교사학습공동체 구성원들의 의견을 반영하여 최종적으로 확정하였다. 지체장애의 전반적 특성, 통합지원 및 장애이해교육, 의사소통, 보조공학기기, 재활 및 신체 다루기, 교육 과정과 교과지도, 응급상황 대처 및 가족지원이 활동의 대주제로 선정되었으며 소집단 토의나 전문가 초청 연수 등 각 주제에 적합한 방법으로 운영되었다. 지체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의 효과를 측정하기 위해 교사효능감과 지체장애 관련 전문성 인식을 양적으로 측정하고, 포커스집단면담을 통해 참여자들의 경험을 질적으로 탐구하였다. 교사효능감 측정을 위해 김주혜 (2002)가 활용한 교사효능감 측정을 위한 체크리스트를 본 연구에 적합하게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지체장애 관련 전문성 인식을 측정하기 위해 초안 개발, 내용타당도 검증, 최종 문항 구성 및 개발의 절차를 통해 지체장애 관련 전문성 인식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검사설계로 진행되었고 수집된 자료는 종속표본 t 검정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교사학습공동체 활동 종료 후 희망자들을 대상으로 포커스집단면담을 실시하여 참여 경험을 보다 구체적으로 탐색하였고 전사자료를 질적연구 수행 경험이 있는 특수교육학 석사 1인과 함께 지속적 비교분석방법을 통해 분석하였다. 이를 통해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이 지체장애학생을 가르치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에게 미친 영향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체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은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의 교사효능감 총점과 개인적 교수효능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일반적 교수효능감에는 사전, 사후 검사 결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밝혀졌다. 둘째, 지체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을 통해 참여자들의 지체장애 관련 전문성 인식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되었다. 활동 전에 비해 활동 후 모든 지체장애 관련 전문성의 하위 영역에서 유의미한 향상이 보고되었 으며 총점 또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증가하였다. 셋째, 지체장애학생 교육을 위한 온라인 교사학습공동체 활동에 참여한 교사들은 공동체 활동을 통해 역량이 강화되고 자신감이 향상되었다고 보고하였으며 질적 자료 분석 결과 ‘내겐 너무 어려운 지체장애’, ‘함께 나누며 성장하는 교사 학습공동체 활동’, ‘더 나은 활동을 위한 평가’라는 3가지 주제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지체장애학생을 가르치는 초등학교 특수학급 교사들이라는 특정 대상을 참여자로 하여 이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고 지원을 제공하여 지체장애학생이 받는 통합교육의 질을 높이고자 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 또한, 시간과 공간의 제약을 넘어 특수학급의 교사들을 대상으로 온라인을 통한 교사학습공동체를 운영하고 다양한 경로를 활용한 효과적인 운영 방법을 제시했다는 의의를 가진다. 그뿐만 아니라 양적인 효과를 탐색하는 데 그치지 않고 질적인 경험을 탐구하여 프로 그램이 가지는 장점과 보완사항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보았으며 향후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 있다.;With the growing trend toward inclusion, more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re choosing inclusive settings for their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educate these students are required to have specialized knowledge and skills to provide an adequate education. However, current data suggest that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re often lacking these skills and face difficulties providing quality education. There is a growing need to appropriately train and support teachers to enhance the knowledge and skills specific to the physical disability area.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online teacher learning community which focuses on teaching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inclusive elementary schools. The aim is to increase teacher efficacy and the perceived level of competencies on physical disabilities. In this study, one-group pretest-posttest control design for the same group was used. 13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in inclusive elementary schools participated in the 10-week onlin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Teachers were assessed at pretest, posttest using the teacher efficacy scale and the checklist for the perceived level of competencies on physical disabilities. Follow-up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further explore the experience of the participants. The online teacher learning community activities included online weekly seminars by Zoom meeting, sharing and collecting data using internet café and communication through mobile messenger. Essential knowledge and skills for teaching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such as Augmentative Alternative Communication, positioning and assistive technology were selected as the main topic for the weekly seminar.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showed an increase in teacher efficacy after participating in the online teacher learning activities. Second, the perceived level of competencies on physical disability of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increased as a result of the program. Third, qualitative analysis for the focus group interview revealed 3 main themes. These main themes included (1) difficulties in teaching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2) teacher learning community: sharing and growing together, (3) program evaluation for better results.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highlight the value of providing proper support to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order to ensure quality education for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The study suggests online learning community for teaching students with physical disabilities as an effective method for supporting special educators who are responsible for teaching those students in inclusive settings. The present study provides a practical foundat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eacher learning communities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in inclusive school setting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