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66 Download: 0

무용전공 기혼 중년 여성의 재사회화 과정 연구

Title
무용전공 기혼 중년 여성의 재사회화 과정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rocess of Re-socialization of Married Middle-Aged Women Majoring in Dance : A Narrative Inquiry
Authors
이서윤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원형중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대학에서 무용을 전공한 기혼 중년 여성의 탈사회화, 재사회화 과정을 조명하고 재사회화 과정을 시기별로 탐색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기혼여성들이 대학 졸업 후 직업적인 무용 활동을 위해 시도한 경험 과정은 어떠한지, 무용전공 여성이 결혼 후 탈사회화되는 과정은 어떠한지, 재사회화되는 과정은 어떠한지 구체적으로 탐색하였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무용전공 여성의 탈사회화, 재사회화에 관련된 선행연구를 검토하고, 연구자와 지속적인 교류가 있었던 연구 참여 대상자 3명을 선정하여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자료 수집은 개인 면담, 면담 일지 및 비디오 촬영을 통해 이루어졌고 수시로 전화 인터뷰와 이메일, 줌 화상 미팅으로 자료를 보완하였다. 자료분석은 인터뷰 녹음에 대한 전사자료, 전자메일 내용, 전화통화 내용에 대한 연구자의 연구 노트 기록 등을 기초로 이루어졌다. 그리고 이야기 안에 포함된 사건의 의미를 이해하기 위해 세 사람의 이야기를 비교하여 분석하면서 이야기 줄거리를 구성하였다. 다시 말해 내러티브적 해석을 위해 연구참여자들의 이야기와 문맥을 살펴보고, 상호작용과 해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의 진실성 확보를 위해 삼각검증법(triangulation)과 구성원 간 검토를 통해 검증했고, 이상의 연구 절차와 방법을 통해 도출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전문 무용수가 되기 위한 과정에서 긴 시간 동안 다양한 개인·내적, 외부·환경적 어려움이 있었다. 하지만 뚜렷한 목표의식과 그에 따른 인내, 무용 자체에 대한 높은 애정, 그리고 우수한 신체 기능 및 조건으로 인한 높은 자존감 덕분에 전문 무용수로 성장하기 위해 포기하지 않고 도전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무용전공자의 탈사회화의 개인·내적 요인으로는 오디션 결과에 따른 심리적 어려움, 체력의 한계, 외부·환경적 요인은 지도자 또는 단체 내에서의 대인관계 문제 등이 있었다. 세 명의 연구참여자에게 공통적으로 나타난 탈사회화 요인으로는 결혼과 육아를 병행해야 하는 무용전공자로 사는 삶과 어머니, 또는 아내로 사는 삶을 양립하는데 불가능함에 있었다. 세 번째, 무용전공자가 재사회화 시도를 결심하게 된 요인은 무용전공자로서의 정체성을 되찾고자 하는 내적 동기에 의해 발생하였다. 무용 재사회화를 통해 수익 발생이 보장되지 않고 오히려 지출을 통해 무용 활동을 지속해야 했다. 또한, 임신과 출산, 자녀 양육, 전업주부로서의 삶, 경제적 어려움 등 무용 활동 지속에 있어서 어려움은 계속 있었으나 연구참여자들은 각자 자신의 상황에 맞게 어려움을 이겨내며 무용 활동을 지속했다. 네 번째, 세 명의 연구참여자들은 재사회를 통해 긍정적인 삶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그들의 셋의 공통적 특징은 순수 여가로서의 무용 활동을 통해 재사회화에 성공했다는 것이다. 순수 여가로서의 무용 활동은 참여자들로 하여금 가정환경의 어려움을 극복하게 했으며, 교육자로서 전문 지식을 갖추게 해주며, 삶의 기쁨과 활력을 얻게 해주었다. 이들이 순수 여가로서의 무용 활동 외에 긍정적인 삶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도록 한 또 다른 요인은 유사한 환경과 상황에 놓여있는 선, 후배들과 함께 무용 활동을 하면서 공동체성을 느꼈다는 점이다. 이들은 서로 의지하고 힘이 되어주며 순수 여가적 개념의 무용 활동을 지속하고 삶의 긍정적인 변화를 경험할 수 있었다. 다섯 번째, 연구참여자들이 계획하는 미래는 무용전공자로서 거창한 포부가 아닌 무용을 사랑하는 이들과 함께 순수 여가로서의 무용 활동을 지속하고자 한다는 것이었다. 또한, 그들은 직업 무용수로서의 삶의 어려움, 탈사회화를 통해 겪었던 어려움 등이 대물림되지 않기 위해서 타 장르와의 융합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특히 체육학을 기반으로 한 신체단련과 교육과정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것을 강조하는 공통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본 연구가 제공하는 시사점은 무용전공자가 탈사회화를 경험하는 과정은 개인의 노력만으로 해결하기 어렵다는 점이며, 재사회화를 경험하는 과정에서도 분명한 장애물과 한계가 존재함에 따라서 무용 사회의 고착화된 근본적인 문제에 대한 교육과정의 개편, 교육자들의 지도 방식 개선, 그리고 범정부적인 지원 프로그램 개발 및 지원이 요구된다는 점이다. ;This study aims at figuring out the processes of de-socialization and re-socialization of married middle-aged women who majored in dance in college and exploring the re-socialization process by time. For this, these married women’s experiences that they tried dance activities as careers after their graduation from college, their de-socialization after marriage, and the process of re-socialization and future perspectives were specifically explored. In order to achieve these goals, the previous literature about de-socialization and re-socialization of women who majored in dance were reviewed, and three research participants who have communicated with the researcher were selected for in-depth interviews. Collecting the data for this study was made by individual interviews, interview diary and video recording and the data were regularly supplemented through telephone interviews, e-mails, and zoom video meetings. The data analysis was done based on the transcription of the interview recordings, and the contents of the e-mails, and conversations by telephone. A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meaning of the events in the narratives, three people’s stories were compared, analyzed, and converted into the plots of narratives. That is, for narrative interpretation, the stories and context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viewed and the data were analyzed through interactions and interpretations. To secure validity of the research, it was verified by triangulation and peer-review. The research results with these research processes and method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ere various personal/internal and external/environmental difficulties in the process for becoming professional dancers. However, they could challenge to become professional dancers without giving up their dreams because of clear sense of their goal, patience according to it, huge affection for dance, and higher self-esteem from excellent physical functions and conditions. Second, for personal/internal factors of who majored in dance, there were psychological difficulties according to audition results, limits of physical abilities, and for external/environmental factors, there were interpersonal problems with leaders or within group, etc., respectively. All three research participants had common de-socialization factor that they could not live both as dancers and as mothers or wives as they are married and have children. Third, the reason that who majored in dance decided to try re-socialization was from their internal motive to recover their identities as who majored in dance. Through dance re-socialization, they had no money but spent money to continue dance activities. And, there have been continuous difficulties including pregnancies and childbirths, raising children, and lives as housewives, and economic difficulties against continuing dance activities and yet, the research participants have continued their dance activities, overcoming ordeals through compromises with their respective situations. Fourth, three research participants could experience the changes of positive lives through re-socialization. A common characteristic of all three is the success of re-socialization through dance activities as pure leisure. Dance activities as pure leisure enabled them to overcome difficulties from home environments, to have professional knowledge as educators, and to get joy and invigorating force of life. Another factor to make them experience positive changes of life in addition to dance activities as pure leisure is that they felt the sense of community from the dance activities with their school friends who shared the similar environments and situations. They are co-dependent and help each other, continue to dance as pure leisure, and experience positive changes of life. Fifth, the future planned by the research participants is that they try to continue dance activities as pure leisure with the people who love dance, not a great dream as they majored in dance. In addition, they feel that the fusion with other genres should be done in order not to repeat their difficulties in life as professional dancers and through de-socialization. Especially, they have the similarity to emphasize to use positively physical training and curriculum, etc. based on physical education.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cess of de-socialization experiences of who majored dance is difficult to solve through an individual’s effort, and that it is necessary to revise the curriculum about the old basic problems of dance society, improve the teaching methods of educators, and develop and support pan-governmental subsidizing programs as there are profound obstacles in the process of experiences of re-socializ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