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1 Download: 0

상황 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성폭력 예방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Title
상황 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성폭력 예방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Situation-Base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on the Performance of Sexual Abuse Prevention Skill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박초엽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승희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성범죄가 발생하는 비율이 증가하고 있다. 장애인 성폭력 피해자와 가해자와의 관계를 살펴보면 성폭력 사건 발생 이전부터 피해자와 친밀한 관계의 가해자는 전체의 93%를 차지한다(장애여성공감, 2020). 지적장애 아동은 타인에 대해 낮은 경계심을 가지는 경향이 있으며, 잠재적 위험상황에 대해 낮은 인지능력과 방어능력으로 인해 자신에게 일어난 성폭력 상황을 제대로 판단하고 빠른 대처를 하는데 큰 한계가 있다. 지적장애 초등학생은 성폭력의 위험에 노출될 확률이 높고 학업적·사회적·정서적으로 심각한 어려움을 겪을 수 있기 때문에 발생 전에 이를 예방하는 것이 무엇보다 결정적으로 중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초등학생 대상의 상황 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개발 및 실시하여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성폭력 예방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밝히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서울 소재 D특수학교 지적장애 5, 6학년 학생 20명이며, 이 중 10명은 상황 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는 실험집단, 나머지 10명은 통제집단이다. 실험과 통제집단의 연구참여자들은 성폭력 예방기술 사전 평가점수와 성별을 고려하여 1:1로 짝을 지어 배치하였고, 실험집단 학생들에게는 13회기의 상황 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Lumely et al.(1998)이 개발한 후 최근까지 지적장애인을 위한 성폭력 예방교육 관련 연구들(김유리, 2013; 박용숙, 박승희, 2002; Egemo-Helm et al., 2007)에서 사용된 기록 방법을 토대로 연구자가 수정한‘성폭력 예방기술 평가점수체계’를 사용하여 두 집단의 성폭력 예방기술 수행을 평가하였다. 성폭력 예방기술 수행은 12가지 성폭력 위험 상황에 대한 거절기술과 신고기술 수행을 역할극을 통해 평가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두 집단의 성폭력 예방 기술의 수행 수준이 중재 전과 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성폭력 예방기술 수행 사전·사후 평가점수에 대해 Mann-Whitney U 검정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상황 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성폭력 예방 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본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의 거절기술 수행점수와 신고기술 수행점수를 합산한 성폭력 예방기술 수행점수가 통제집단 학생들에 비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즉, 상황 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은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성폭력 예방기술 수행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상황 중심 성폭력 예방교육 프로그램이 성폭력 위험 상황의 3가지 하위영역(언어적 유인의 상황, 신체적 접촉을 당하는 상황, 성적인 유인을 당하는 상황)에서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거절기술과 신고기술 수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실험집단 학생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성폭력 위험 상황의 3가지 하위영역 모두에서 거절기술 수행이 유의하게 향상되었다. 그러나 신고기술 수행의 경우, 실험집단 학생들은 통제집단에 비해 성폭력 위험 상황의 3가지 하위영역 중 언어적 유인의 상황에서는 유의한 향상을 보였으나, 신체적 접촉을 당하는 상황과 성적인 접촉을 당하는 상황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향상을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의의를 논의하면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기존에 주로 지적장애 중·고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던 성폭력 예방교육을 지적장애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제공하였다. 또한, 성폭력 예방기술 수행을 거절기술과 신고기술 수행으로 나누어 측정하였고, 연구참여자의 학부모를 대상으로 프로그램의 만족도 및 부정적 영향을 알아보는 사회적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프로그램의 내용 및 관련 정보에 대한 가정통신문을 발송해 가정과의 연계를 모색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The rate of sexual crimes against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increasing worldwide. Looking at the relationship between victims of sexual abuse with the disabled and the perpetrators, 93% of the total perpetrators had close relationships with the victim or had known them before the sexual abuse incident occurred.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have low alertness to compared to neurotypical children and have great limitations in properly judging and responding quickly to sexual abuse situations due to their limited cognitive and defensive capabilities.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more likely to be exposed to the risk of sexual abuse when compared to their neurotypical peers, which can lead to additional serious academic, social, and emotional difficulties. There is also a need for countermeasures and support for trauma after sexual abuse, but preventing it before it occurs to begin with is of paramount importance. Therefore, this study attempts to clarify the effect on the performance of sexual abuse prevention skills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y developing and implementing a situation-base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20 fifth and sixth grader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t D Special School in Seoul, of which 10 were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ng in situation-base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and the remaining 10 were control groups.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placed in pairs on a 1:1 basis, taking into account the prevaluation scores of gender and sexual abuse prevention skills. In this study, the ‘sexual abuse prevention skills evaluation score system' was modified by the researcher based on the recording methodology used in studies related to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for the intellectual disabled. Through this methodology, the performance of sexual abuse prevention skills by the two groups was evaluated. The performance of sexual abuse prevention skills was configured so that the refusal skills and reporting skills for 12 sexual abuse risk situations could be evaluated through role play. The Mann-Whitney U test was used to determine the difference in the performance level of the initial sexual abuse prevention skills between the two groups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effect of the situation-based sexual abuse prevention program on the performance of overall skills for preventing sexual abuse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examined. As a result, the performance scores of the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for preventing sexual abuse were significantly improved compared to the students in the control group.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situation-base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overall performance of sexual abuse prevention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Second, the effect of the situation-base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program on the refusal and reporting skill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three sub-areas of sexual abuse risk situations was examined. This study found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significantly improved their refusal skills in all three sub-areas (verbal seduction / physical contact / sexual contact) of sexual abuse risk situations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In the case of reporting skills,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demonstrated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experimental situation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ituations of physical or sexual conta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is study provided sexual abuse prevention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ich has been mainly conducted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ddition, the performance of sexual abuse prevention skills was measured by dividing it into rejection skills and reporting skills. Finally, it is important that a correspondence with the child’s parents on the contents of the program and related information was sent to seek a stronger connection with the ho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