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5 Download: 0

COVID-19 팬데믹이 수학과 과정 중심 평가에 미친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Title
COVID-19 팬데믹이 수학과 과정 중심 평가에 미친 영향에 대한 사례 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the Effect of COVID-19 Pandemic on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Mathematics.
Authors
박나영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수학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래영
Abstract
평가는 평가 주체, 평가 방법, 기존의 평가 경험에 따라 강조되는 기능이나 인식이 다르게 나타날 수 있으며, 이는 학습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학습의 방법에도 영향을 받는다(양연동, 2020). 하지만 그동안의 평가는 학생 분류, 배치, 선발을 위한 서열화의 기능에만 관심이 집중되어 있어(성태제, 임현영, 2014) 교수·학습을 개선하여 교육의 질을 높이는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지 못하였다. 교육부(2015a)는 2015년 교육과정을 개정하면서 학생이 미래 사회를 살아가는 데에 필요한 능력을 핵심역량으로 제시하였으며, 핵심역량의 함양을 위해 학생 중심의 교수·학습 방법과 함께 다양한 평가 방법을 활용하여 학생의 ‘학습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고 하였다. 과정을 중시하는 평가, 즉 과정 중심 평가는 ‘성취 기준을 기반으로 설계된 교수·학습에서 다양한 방법을 통해 학생의 학습에 대한 정보를 다각도로 수집하고, 피드백을 적절히 제공하여 학습에 도움을 주는 평가’로 정의할 수 있으며, 기존의 평가가 가진 한계를 극복하고자 도입된 정책적 용어이다(신혜원 외, 2017). 그러나 학교 현장의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실태 연구에 따르면, 교사들은 과정 중심 평가의 모호한 개념, 평가의 객관성과 공정성 확보 전략 등에서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김유정, 이경건, 홍훈기, 2019; 이현주 외, 2020; 오서영 외, 2020; 오중근, 2021). 그러다 COVID-19(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의 갑작스러운 발생으로 인해 학교 현장은 큰 변화를 겪게 되었는데, 2020년에는 온라인 개학이 이루어졌으며 2021년까지도 밀집도 조정을 위해 원격 수업과 등교 수업을 병행하고 있다(교육부, 2021b). 이렇듯 팬데믹으로 인한 수업 방식의 변화는 과정 중심 평가가 추구하는 평가 패러다임의 변화가 아직 학교 현장에 정착되지 못한 상황에서 수업과 연계된 과정 중심 평가의 시행에도 영향을 줄 수밖에 없다. 따라서 수학 교사가 팬데믹 전후에 과정 중심 평가를 어떻게 이해하고 시행하고 있는지에 대해서 분석하여 팬데믹이라는 특수한 상황이 교육 현장에 미친 영향을 파악하고자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문제 1. 중등 수학 교사들이 COVID-19 팬데믹 이전에는 과정 중심 평가를 어떻게 인식하고 시행하고 있었는가? 연구 문제 2. COVID-19 팬데믹 상황은 과정 중심 평가의 인식과 시행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 2-1. 과정 중심 평가를 시행하면서 겪은 어려움은 무엇인가? 2-2. 팬데믹 이전과 비교하여 과정 중심 평가의 시행에서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심층 면담을 통해 수학 교사의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경험을 깊이 있게 파악하고자 하였다. 학교급, 교육 경력 등을 고려하여 3명의 수학 교사를 유목적 표집하였으며 선행 연구 고찰을 바탕으로 구성한 공통 질문을 제시하고 연구 참여자의 반응에 따라 추가 질문을 제시하는 반구조화된 면담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학 교사들은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었으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의 시행은 평가 결과 활용의 목적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둘째, COVID-19 팬데믹 상황에서 수학 교사는 한정된 평가 시기를 활용하여 평가를 시행하고 있었으며, 학생과의 상호작용에서의 제한으로 인해 지연된 피드백의 비효율성을 경험하였다. 원격 수업 방식에는 적응하였더라도 원격 수업에서 다양한 평가 방법을 적용하거나 피드백을 즉각적으로 제공하는 것에 대한 어려움이 여전히 극복되지 못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원격 수업과 등교 수업이 병행되는 상황에서 평가에 관해 유사한 어려움을 경험한 교사들의 대응 전략은 서로 다르게 나타났는데, 각 교사가 추구하는 평가의 목적과 관련이 있었다. 또한 상호 작용 문제에 대해서는 교사들이 각자의 학교 상황에 따라 교수·학습 상황에 적절한 플랫폼 및 테크놀로지를 선택하여 활용하고 있었다.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원격 수업에서의 과정 중심 평가를 포함하여 과정 중심 평가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을 발휘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가 과정 중심 평가의 의미를 내면화할 수 있는 기회가 충분히 제공되어야 한다. 셋째, 포스트 코로나 시대의 수업과 평가는 학생의 자기성찰 능력을 길러줄 수 있는 방향으로 시행되어야 하며, 과정 중심 평가를 통해 학생의 자기관리 역량 함양을 기대할 수 있다. 넷째, 학교 현장에서 지필 평가, 수행 평가 등의 평가 방법을 다룬 용어의 쓰임에 대한 고찰 및 재정립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3명의 수학 교사를 연구 참여자로 선정하였으므로 연구 결과의 일반화에 제한이 있다. 교사가 재직 중인 학교나 학생의 특성, 평가의 자율성 등의 여러 요소에 따라 연구 결과가 달라질 수 있으나 팬데믹으로 인한 원격 수업의 도입과 과정 중심 평가의 시행 간 관계를 교사의 실제적인 경험을 통해 파악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팬데믹에서 과정 중심 평가의 전반적인 실태 파악을 위해 학생 평가의 다른 주체인 학생의 관점에서 과정 중심 평가 경험을 탐색하는 후속 연구를 제안하였다. 본 연구가 미래에 또다시 발생할 수 있는 위기 상황에서 학생 평가의 극복 방안에 대한 기초 자료가 되기를 기대한다.;Assessment may have different perceptions that are emphasized depending on the assessment subject, method, and previous experience, which will also be affected by the learning method to achieve the learning goal(Yang Yeon-dong, 2020). However, the assessment so far has focused only on the function of ranking for classification, placement, and selection of students(Sung Tae-je, Lim Hyun-young, 2014) and has not achieved its original purpose of improving the quality of education by improving teaching and learning. When revising the curriculum in 2015, the Ministry of Education(2015a; MoE) suggested the ability necessary for students to live in the future society as a core competency and said that to cultivate core competencies, various assessment methods should be used to emphasize the learning process of students. process-focused assessment can be defined as "assessment that helps students learn from various angles through various methods in teaching and learning designed based on achievement standards," and is a policy term introduc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existing assessment(Shin Hye-won et al., 2017). However, according to a study on the actual condition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at school, teachers were having difficulties in ambiguous concepts of course-based assessment, strategies to secure objectivity and fairness in assessment(Kim Yoo-jung, Lee Kyung-gun, Hong Hoon-ki, 2019; Lee Hyun-joo, 2020; Oh Seo-young, 2021). Then, due to the sudden occurrence of COVID-19(Coronavirus Infection Disease-19), the school experienced a major change, and distance school opened in 2020, and distance learning and off-line learning are being conducted at the same time until 2021 (MoE, 2021b). As such, changes in teaching methods due to Pandemic will inevitably affect the implementation of process-focused assessments linked to learning at a time when changes in the assessment paradigm pursued by process-focused assessments have not yet been established in the school field. Therefor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to analyze how mathematics teachers understand and implement process-focused assessment before and after the pandemic to understand the impact of the special situation of the pandemic on the educational field. Research Question 1. How did secondary mathematics teachers recognize and implement process-focused assessment before the COVID-19 pandemic? Research Question 2. How did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affect the perception and implementation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2-1. What are the difficulties experienced while conducting a process-focused assessment? 2-2. What changes have been made in the implementation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compared to before the pandemic? To solve the research question, through in-depth interviews, we tried to deeply grasp the experience of math teachers' process-focused assessment. Three math teachers were sampled purposefully in consideration of school level and educational experience, and data were collected us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that presents common questions based on previous research considerations and presents additional questions according to the reaction of study participants.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ath teachers recognized the importance and necessity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but the actual implementation in the school differ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using the assessment results. Second,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math teachers were conducting assessments using limited assessment periods and experienced the inefficiency of delayed feedback due to restrictions on interaction with students. Even if they adapted to distance learning, it was found that the difficulty of applying various assessment strategies or providing feedback immediately in distance learning was still not overcome. Third, the strategies of teachers who experienced similar difficulties in assessing in the context of distance learning and off-line learning were different, which was related to the purpose of the assessment pursued by each teacher. In addition, as for the interaction problem, teachers selected and used platforms and technologies appropriate for learning situations according to their respective school situations.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e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a need for a plan to demonstrate the teacher's expertise in process-focused assessment, including process-focused assessment in distance learning. Second, there should be sufficient opportunities for teachers to internalize the meaning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Third, learning and assessment should be conducted in a direction that can develop students' self-reflection ability, and students' self-management ability can be expected to be cultivated through process-focused assessment. Fourth, it is necessary to consider and re-establish the use of terms dealing with assessment methods such as paper and pencil tests,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school. Since this study selected three math teachers as research participants, there is a limit to the generalization of research results. Research results may vary depending on various factors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or student in charge, and the autonomy of assessment, but it is meaningful tha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introduction of distance learning and the implementation of process-focused assessment was grasped through the teacher's practical experience. In particular, if additional research on assessment implementation in distance learning is conducted from a student's point of view, it is expected that it will be possible to grasp the overall operation status of the process-focused assessment of the pandemic situation.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serve as basic data on how to overcome student assessment in a crisis that may occur again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수학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