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5 Download: 0

온라인 미술관 연계 감상교육의 현황 및 개선 방향 연구

Title
온라인 미술관 연계 감상교육의 현황 및 개선 방향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urrent Status and Improvement Direction of Online Art Museum-linked Appreciation Education : based on the survey of art teachers
Authors
이유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본 연구는 미술 감상교육의 다각적 학습 공간 중 하나인 온라인 미술관을 연계하여 감상교육을 활발히 실행하고자 미술교사들을 대상으로 감상교육과 온라인 미술관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고 그 현황과 개선 방향을 제언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재 전 세계적 감염 바이러스 확산 상황으로 우리 사회의 교육 방향은 실제 학습 공간을 통한 대면 교육으로 다수 진행되었던 것들이 비대면 방식과 온라인 플랫폼을 활용하는 방식으로 확대되어 시도되었다. 이러한 시도에 앞서 디지털 테크놀로지의 발전과 함께 거듭된 진화를 거친 미술관은 직접적인 방문이 어려운 관람객들을 고려하여 문화예술양성기관으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기 위해 이전부터 온라인 미술관을 운영해왔다. 온라인 미술관의 초기 형태는 디지털 아카이브 형식으로 다년간 큰 변화를 찾기 힘들었다. 하지만 최근의 사회적 상황과 더불어 온라인 미술관은 설립 취지에 부합하도록 더욱 활성화되어 다양한 기술적 접목과 함께 서비스 제공을 목적으로 발전해나가고 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한 집단 감염 확산의 우려를 논외하고도 감상교육을 위한 미술관과 박물관의 방문은 학교 현장의 많은 제약으로 인해 교사들이 수업과 연계하기 쉽지 않으므로 온라인 미술관의 활용은 이러한 체험학습을 보완할 수 있다. 비대면 교육의 확산은 다음 세대의 교육을 위한 혁신으로 작용할 것이므로 이와 맞물려 감상교육을 위한 이색적 방안으로 온라인 미술관의 적극적인 활용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앞으로의 사회를 이끌어나갈 미래 인재인 청소년들을 이전 세대와 비교하였을 때 가장 대비되는 점은 바로 디지털 네이티브적 특성으로 보인다. 이들에게 다양한 문화들을 이해하고, 상호 소통하며, 감수성을 키우고, 범람하는 시각적 요소들을 비판적으로 해석·판단할 수 있는 능력을 길러주는 것이 앞으로의 교육에서는 더욱 중요하게 작용할 것이다. 따라서 미술 교과는 학습자들에게 여러 맥락을 반영하는 예술작품과의 만남을 통해 학습자의 경험을 직간접적으로 확장하는 감상교육을 실행하여 삶 속의 문화를 향유하게 하고 미적인 감수성을 함양시킬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측면에서 온라인 미술관이라는 접근이 자유롭고 다양한 콘텐츠를 가진 교육 공간을 통해 학습자들은 시공간의 제약을 벗어나 다양한 학습을 위한 내용과 자료 등의 정보를 활용할 수 있으며 교사들은 수업 계획에도 참고가 가능하다(양지연, 손차혜, 2019). 온라인 미술관은 학습자의 동기와 흥미를 자극하여 자율적이고 주도적인 탐구 학습이 가능하며, 감상을 통해 비평적이고 논리적인 사고 형성에 긍정적인 역할을 하는 교육적 성과에도 불구하고, 이를 연계한 선행 연구들의 사례는 아직 부족하다. 또한 온라인 미술관과 연계한 감상교육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입장인 미술 교사들을 대상으로 연구된 사례가 없기 때문에 온라인 미술관 연계 감상교육에 대한 이들의 인식을 파악하고 의견을 수렴하여야 한다. 이에 본 연구는 다양한 문헌과 선행 연구들을 통해 미술 감상교육에 대한 개념과 방법, 교육적 의의, 교육과정과의 상관성을 파악하고자 하였고 온라인 미술관에 대한 개념과 교육적 의의, 현황을 알기 위한 사례 분석 등 이론적 고찰을 바탕으로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실시하는 혼합연구 방법을 통해 온라인 미술관 연계 감상교육에 대한 현황과 개선 방향에 대한 현직 미술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였다. 연구 도구인 설문 문항은‘미술관 학교연계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연구’(주보영, 2017)의 교사용 설문지와 조설희(2007)의‘인터넷 미술관을 활용한 미술 감상교육’연구의 학생용 설문지와 분석 자료를 참고하여 감상교육과 온라인 미술관에 대한 인식과 실천 현황을 묻는 문항들을 교사 대상의 인식조사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연구 문제에 맞게 재구성하였다. 감상교육에 대한 인식을 묻는 문항들은 선행 연구 및 이론적 배경을 참조하였으며, 온라인 미술관 영역 관련 문항 구성은 온라인 미술관의 개념과 기능, 운영 현황에 대한 자료 조사를 토대로 하여 구성하였다. 더불어 온라인 미술관 연계 감상교육의 지속적 활용을 위한 개선 방향을 도출하기 위해 수업을 통한 교육적 효과 및 의의를 묻는 문항도 추가하여 설문 문항을 구성하였다. 그 외에도 수업 실행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강숙희(2001)의 온라인 활용 교수·학습유형을 참조하며, 감상 영역과 연계한 온라인 미술관 활용 수업의 개선 방안을 제안하기 위하여 교육부의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교육부, 2015)의 중등 미술 교과의 성격, 학습 목표, 내용 체계 및 교과 목표를 참고하여 설문 문항을 제작하였다. 그 외에 연구자가 온라인 미술관 연계 감상교육의 지속적 활용에 대한 인식과 개선 방향을 묻는 영역을 추가하여 미술 교육 전문가 2인의 검토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받았다. 반구조화된 인터뷰 가이드의 경우 설문 문항보다 구체적인 답변이 나올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을 통해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미술관 연계 감상교육은 현재 교육 현장에서 전시 해설 콘텐츠와 디지털 아카이빙 자료들을 중심으로 활용되고 있으며 수업 설계 시 탐구학습 형태를 가장 적절한 것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또한 온라인 미술관의 콘텐츠 활용 수월성은 높게 인식되고 있지 않으며 온라인 미술관 활용 시 문제점으로 수업 연계 시 부담감과 웹 활용 어려움이 언급되고 있음을 통해 교사들을 위한 활용 가이드나 연수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활성화 방안이 필요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온라인 미술관 연계 감상교육의 진행 시 개선 방향으로 응답된 가장 주요한 안건은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보급인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미술관을 지속적으로 활용하려는 미술 교사들의 의사는 높으나 우선 구성적 측면에서 활성화되어 유의미한 교육적 지원을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온라인 미술관의 활용이 특정 콘텐츠로 편중되어 있기 때문에 여러 프로그램의 홍보도 활성화되어야 할 것으로 보인다. 그 외에 실시간 화상 만남을 통한 온라인 교육 프로그램의 운영 등이 제안되었는데 이를 통해 직접 방문이 어려운 학생들에게 더 실재감을 살린 미술관 교육이 제공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제언하자면 온라인 미술관 연계 감상교육은 교육과정과 적절한 연계성을 가진 교육으로 인식되어 선행 연구들을 통해 교육적 성과를 증명하고 있지만 아직 학교 현장에서 활용되는 사례는 많지 않다. 따라서 특정 유형 콘텐츠와 일부 미술관 활용에 편중되는 현상을 극복하기 위해 콘텐츠의 다양화와 홍보가 지속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교사들의 온라인 미술관 활용을 높이기 위해 관련 연수의 지원이 요구되는 것으로 보인다. 그 외 학생들의 집중도와 학습 효과를 높이기 위한 미술관 자체 실시간 프로그램의 제공을 위한 협력적 커뮤니케이션과 끊임없는 연구가 필요하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art teachers' perceptions of appreciation education and online art museums and suggest the current status with direction of improvement in order to actively implement appreciation education in connection with online art museums, one of the multifaceted learning spaces for art appreciation education. Due to the current global spread of infectious viruses, the direction of education in our society has also been expanded to non-face-to-face methods and online platforms. Prior to these attempts, the art museum, which has evolved repeatedly with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has previously operated an online art museum to play a role as a cultural and artistic training institution in consideration of visitors who are unable to visit directly. The early form of online art museums was a digital archive format, and it was hard to find significant changes over the years. However, along with the recent social situation, online art museums have become more active to meet the needs of establishment, resulting in various technical integrations and developing for the purpose of providing services. In fact, visiting art museums and museums for appreciation education are not easy for teachers to link with classes because there are many restrictions on school sites, even if discussions on the spread of collective infection caused by the Covid-19 virus are excluded. The spread of non-face-to-face education will serve as a leap forward for the next generation of education, so it is necessary to actively utilize and research online art museums as an exotic way for appreciation education. Compared to the previous generation, teenagers who are future talents who will lead society in the future are more contrasted with digital native characteristics. It will be more important in future education to develop the ability to acquire an understanding of culture, communicate, feel sensitivity, and interpret and judge a variety of visual elements. In addition, the online art museums have a free accessibility and diverse contents, allowing learners to utilize information such as contents and materials for various learning beyond space-time constraints, and teachers can refer to class plans (Yang Ji-yeon, Son Cha-hye, 2019). Despite online art museums can stimulate learner's motivations and interests to enable autonomous and proactive exploratory learning, and educational achievements that play a positive role in the formation of critical and logical thinking through appreciation, there are still insufficient examples of prior studies linked to this. In addition, since there have been no cases studied on art teachers who are in a position to plan and implement appreciation education linked to online art museums, it is necessary to identify their perceptions and gather opinions on online art museum-linked appreciation education. Therefore, this study sought to identify concepts, methods,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correlation with the curriculum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various literature and prior studies, and based on theoretical considerations such as concepts, educational significance, and case analysis of online art museums, mixed study methods were conducted a survey and interview to investigate art teachers' perceptions of current status and direction of improvement about online art museums. The conclusions drew from the collected data are as follows. First, online art museum-linked appreciation education is currently being used mainly for exhibition commentary content and digital archiving materials at the educational site, and it is shown that the form of exploratory learning was perceived as most appropriate in the design of classes. In addition, the ease of using contents in online art museums is not highly recognized, and the burden of linking classes and difficulty of using the web sites are mentioned as problems when using online art museums, indicating the need for vitalization measures to provide utilization guides or training programs for teachers. Second, the most important agenda responding to improvement in the progress of online museum-linked appreciation education was the development and dissemination of educational programs. Art teachers who want to continue to use online art museums are highly willing, but first of all, they need to be activated in terms of composition and provide meaningful educational support. And the use of online art museums is biased toward specific contents, so the promotion of various programs will need to be activated. In addition, the operation of online education programs through real-time video meetings has been proposed, it confirms the need to provide more vivid art museum education to students who have difficulty visiting in person. In conclusion, online at museum-linked appreciation education is recognized as an education with appropriate connection to the curriculum, proving educational achievement through prior studies, but not many cases are used in school sites yet. So through the development and promotion of education-related contents will need to continue to overcome the phenomenon of biased specific types of contents and specific art museums. And support for related training seems to be required to increase teacher's use of online art museums. In addition, cooperative communication and constant studies are needed to provide art museum's own real-time programs to increase concentration and learning effectiveness of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