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2 Download: 0

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 조건에 따른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정서 인식 비교

Title
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 조건에 따른 학령기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과 일반 아동의 정서 인식 비교
Other Titles
Emotion Recognition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Depending on Cue Type in Comparison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uthors
윤예은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가을
Abstract
본 연구는 국내 자폐스펙트럼장애 아동(Autism Spectrum Disorder, 이하 ASD)과 정상 발달 아동(Typically developing, 이하 TD)의 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 조건에 따른 4가지 기본정서(행복, 슬픔, 분노, 두려움) 인식 정확도를 평가하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음악 단서는 기본정서의 정서적인 음악 요소를 표현한 음악을 연구자가 작곡하여 전문가에게 2차례의 타당도를 검증받은 후 예비 연구를 진행하여 최종 음원을 제작하였다. 시각 단서는 Pen Emotion Recognition(컴퓨터 기반 신경인지검사)으로 4가지 기본정서를 표현한 얼굴표정 사진 중 정서의 강도가 분명하게 나타났고, 표정에서 눈과 입 모양 패턴이 비슷한 사진을 연구자가 선정하였다. 연구 참가자는 ASD 진단 기준을 충족한 만 7세~13세 아동 9명과 일반 아동 14명으로, 모든 참가자를 대상으로 4가지 기본정서 인식 능력을 평가하는 음악 과제와 시각 과제를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 방법은 이원분산분석(two-way-ANOVA)과 혼합모형 반복측정분산분석(A mixed model of repeated measures 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ASD 아동과 TD 아동이 단서 조건, 즉 음악 단서와 시각 단서에 따라 정서를 인식하는 정확도에 차이가 있는지, 정서 유형에 따른 차이가 있는지 비교 분석한 결과, ASD 아동이 TD 아동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은 정서 인식 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시각 단서보다 음악 단서에서 정서 인식 정확도가 높은 경향으로 나왔다. 마지막으로, 정서 유형에 따른 차이는 ASD 아동과 TD 아동 두 그룹 모두 음악 단서에서 행복이 정서 인식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고, 시각 단서에서 ASD 아동은 행복이 TD 아동은 분노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이 결과를 바탕으로 ASD 아동은 음악 매체가 시각 매체보다 정서를 보다 잘 인식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국내에서 ASD 아동을 대상 정서와 관련된 후속 연구들이 다양하게 이루어져야 하는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는 시점에서 첫 시도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ccuracy of recognition of four basic emotions (happiness, sadness, anger, and fear) according to musical cues and visual cues conditions of children with autism spectrum disorder (ASD) and children with normal development (TD). Music clues were composed by a researcher who expressed the emotional music elements of basic emotions, verified by experts twice, and then preliminary research was conducted to produce the final sound source. The visual clue was Pen Emotion Recognition, which clearly showed the intensity of emotions among the four basic emotions, and the researcher selected photos with similar eye and mouth patterns in facial expressions. The study participants were 9 children aged 7 to 13 and 14 general children who met the ASD diagnostic criteria, and music and visual tasks were conducted to evaluate all participants' four basic emotional recognition abilities. As for th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two-way-ANOVA and mixed model of repeated measurements ANOVA were performed. In this study, ASD children and TD children showed significantly lower emotional recognition accuracy than TD children, that is, differences in emotional recognition accuracy according to music and visual cues. In addition, the accuracy of emotional recognition tended to be higher in music clues than in visual clues. Finally, in both groups of ASD children and TD children, happiness showed high emotional recognition accuracy in music cues, and ASD children showed the highest anger in visual cues. Based on these results, it is meaningful that it is the first attempt for ASD children at a time when music media can better recognize emotions than visual media, and the need for various follow-up studies related to ASD children in Korea is emphasiz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