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41 Download: 0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인지적 대응전략 강화를 위한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 개발

Title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인지적 대응전략 강화를 위한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Development of therapeutic song writing program to strengthen the cognitive response of adolescent victims of school violence
Authors
김경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들이 자신의 역기능적 사고 및 시각을 탐색하고 재구성한 뒤 자신의 강점과 자원을 활용하여 직면하는 문제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인지적 대응전략을 강화하는 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먼저, 기존의 문헌 연구를 통해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음악 중재 프로그램과 관련한 선행연구를 파악한 후 인지적 대응전략과 노래심리치료 기법을 활용하여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에게 적용할 수 있는 인지적 대응전략 강화를 위한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을 개발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징은 첫째, 인지적 전략을 활용하는 단계별, 중재 절차와 유형으로 구성된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한 점이다. 둘째, 인지적 전략과 노래심리치료의 활동과 음악 논거가 타당화된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셋째,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심리 정서적 특성을 고려하여 난이도 조절과 세부적인 구조화 전략을 통해 현장적용 가능성을 높인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타당성 확보를 위해 청소년 음악심리치료전문가 자격증을 소지한 박사학력 이상의 음악치료사 3인에게 두 차례 검증을 받다. 프로그램 1차 타당도 검증 시 평균 3.4점이였지만 2차 검증 사 평균 4.2점으로 향상된 타당도 점수를 확보하였다. 두 차례 검증에서 전문가들은 프로그램의 회기별 목표와 이론적 틀에 대한 명확성과 프로그램에서 사용된 활동과 목표에 대한 논거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였고, 본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에서 개발된 인지적 대응전략 강화를 위한 노래 만들기 프로그램은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인지적 대응전략 강화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herapeutic song writing that strengthens the cognitive response of adolescent victims that experienced school violence in order to explore and reconstruct their dysfunctional thoughts and perspectives – then to use their strengths and resources to cope with the problematic situations they encounter. First, in aid of developing this program, we must study and utilize the existing literature researches related to music intervention programs targeting school violence victims – and then determine if cognitive response strategies and song psychotherapy techniques could be used to apply on school violence victims. We developed a song-making program to strengthen cognitive response strategies. The first characteristic of the developed program is that it presents a musical psychotherapy program consisting of stages, intervention procedures, and types using cognitive strategies. Second, it presents a song psychotherapy program in which cognitive strategies, activities of song psychotherapy, and music rationale were validated. Third, it heavily considered the psycho-emotional characteristics of adolescent victims of school violence to develop this program which helped in increasing the possibility of real-life application utilizing difficulty-level adjustments and detailed structuring strategies. The validity of this program was verified twice by three music therapists with a doctoral degree or above in music psychotherapist for adolescents. The very first time, the validity score that measures the effectiveness of this program was 3.4, but at the second trial it received an average of score of 4.2. In the two rounds of verification, experts presented their opinions on the purpose, the theoretical framework, and the rationale of activities and goals used in the program – in which was used to revise and refine the program, leading to the completion of this program. The expectation is that this musical therapy program will help adolescent school violence victims face and overcome real-life situations with better cognitive responses and application of strategies developed during the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