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26 Download: 0

초·중·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에 대한 다층 잠재프로파일 및 영향 요인 분석

Title
초·중·고등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에 대한 다층 잠재프로파일 및 영향 요인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Using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Authors
추지윤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유경
Abstract
학교는 학생들이 가정을 벗어나 맞이하게 되는 전문적인 사회화 기관으로 다양한 지식을 제공하는 한편, 친구, 교사와의 상호작용 속에서 사회적 관계 맺음을 경험하게하고 이를 바탕으로 바람직한 사회 구성원으로서 성장할 수 있게 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잘 적응한다는 것은 개인이 환경과 원활한 상호작용을 한다는 것을 의미하며 학교에서의 적응 또한 학교 환경과의 상호작용 속에서 균형을 이루어나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러나 여전히 학생들이 학교에서 부적응을 경험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례적인 코로나19 팬데믹 속에서 기초학력 저하와 학교적응에의 어려움들이 제기되고 있다. 학교에서의 적응은 개인의 삶의 질과 연결되어 있고 학교에서 제대로 적응을 하지 못하는 경우 인지적 성취와 심리·정서적인 문제로 이어질 수 있기에 학생들의 건강하고 바람직한 성장을 위해서 학업성취와 학교적응이 함께 연구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향상시키기 위한 교육 지원 방안 마련이 요구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중·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 수준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을 분류하고, 각 분류된 잠재프로파일의 특징이 무엇인지를 살펴보았으며,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수준 및 학교 수준의 요인이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 향상을 위한 교육 정책 수립의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자료는 경기도교육연구원의 경기교육종단연구(GEPS) 3차, 6차, 8차년도의 학생, 학부모, 학교(학교DB 포함) 응답을 활용하였고 분석 방법은 다층 잠재프로파일 분석(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MLPA)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중·고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에 대한 다층 잠재프로파일을 분석한 결과 초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은 ‘학업우수-적응부진’ 집단(25.4%), ‘학업부진-적응우수’ 집단(22.8%), ‘최저 성취·적응부진’ 집단(30.1%), ‘최고 성취·적응’ 집단(21.8%)인 4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다. 중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은 ‘최저 성취·적응부진’ 집단(29.4%), ‘학업우수-적응부진’ 집단(30.0%), ‘학업부진-적응우수’ 집단(19.8%), ‘최고 성취·적응’ 집단(20.8%)의 4개의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다. 고등학교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에 대한 잠재프로파일은 초·중학교와는 다른 양상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 학생들의 잠재프로파일은 ‘보통 성취·적응’ 집단(47.3%), ‘최저 성취·적응부진’ 집단(17.1%), ‘최고 성취·적응’ 집단(35.6%)의 3개 잠재프로파일로 분류되었다. 둘째, 잠재프로파일 분류에 따라 최저 성취·적응부진 집단을 준거집단으로 하여 학생 및 학교 수준의 영향 요인을 학교급별로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초등학교급에서 ‘성별’, ‘자기효능감’, ‘학교 만족도’, ‘월 평균 교육비’ 변인이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공통 변인으로 나타났고, 중학교급에서는 ‘성별’, ‘자기효능감’, ‘자기주도성’, ‘스스로 학습시간’, ‘학업스트레스’, ‘학교 만족도’, ‘사교육 경험’ 변수가 공통적으로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 수준이 높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었다. 고등학교급에서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이 높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증가시키는 공통적인 요인으로는 ‘성별’, ‘자기효능감’, ‘독서활동’, ‘스스로 학습시간’, ‘학업스트레스’, ‘사교육 경험’, ‘부 학력’, ‘부모의 학교 참여’, ‘학술동아리 수’ 변수로 나타났다. 이 밖에도 ‘공동체의식’, ‘스마트폰 사용시간’, ‘자치활동 경험’, ‘합리적 양육태도’, ‘학교 소재지’, ‘혁신학교 여부’, ‘교사의 사기 및 열의’ 등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이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자기효능감과 같은 동기요인을 높일 수 있는 교육지원 프로그램들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자기효능감은 초·중·고등학교 모든 학교급에서 공통으로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이 높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을 높이는 변인으로 나타났는데, 자기효능감이 새로운 환경에 적응해야 하는 상황에서 학생들에게 외적으로 작용하는 부정적인 영향을 감소시키고 스스로 극복해 낼 수 있는 능력이라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 따라서 모든 학교급에 아울러 자기효능감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심리상담 지원, 정서조절 및 교육 프로그램들이 제공될 필요가 있으며 이를 통해 원활한 학교적응과 학업성취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둘째, 학생들을 위한 다양한 독서교육 프로그램들을 구축하고 활발히 참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 미래사회에서 필요한 역량으로 문해력이 중요하게 다루어지고 있다. 독서활동으로 습득하는 읽기기술은 학습에서 뿐만 아니라 타인과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에 학교에 적응하고 학업을 증진하기 위하여 독서활동이 적극 장려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학교는 다양한 독서활동 프로그램들을 제공하여 올바른 독서습관을 함양과 지속적인 독서활동을 지원하고 자신의 관점과 생각을 다른 학생들과 공유하는 것을 통해 인지적, 정의적으로 성장할 수 있는 기회를 확대해야 할 것이다. 셋째, 디지털 매체 활용 및 정보 교육을 강화하여 디지털 매체 활용의 올바른 문화를 정착할 수 있도록 지원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는 학생들이 많아지면서 학습과 학교적응을 저해한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미래사회에서는 디지털 매체를 올바르게 사용하여 많은 정보들 중에 학습에 필요한 정보를 받아들이고 재구조화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춰야 하며 매체를 통한 건강한 사회적 관계를 형성할 수 있어야 한다. 학생들의 디지털 기기 활용 빈도가 높아지고 저연령화 되는 것에 비해 디지털 매체 활용 교육을 제공받을 기회가 적었기 때문에 학교에서는 학습에 도움이 되고 교사 및 친구들과 바람직한 관계를 형성할 수 있는 디지털 매체 사용을 위한 다양한 교육 자료들을 만들어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학생들이 스스로 학습을 통해 능동적인 학습주체로 성장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미래사회에서 빠르게 변화하는 학습 환경에 적응을 하기 위해서는 학생들이 자신의 학습 전략을 구상하고 주도성을 갖고 자율적으로 학습 할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다. 최근 코로나19 팬데믹으로 온라인 학습환경이 조성되면서 학습자들의 자발적인 참여와 스스로 학습이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다. 하지만 교사 혹은 교우간의 상호작용이 부재한 일방향의 학습이 오히려 자발적인 학습참여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점에서 교사 및 다른 학생들과 함께 문제를 해결하는 협력 활동 경험들을 기반으로 스스로의 학습을 수행하고 성찰하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교육적 지원이 마련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다섯째, 사교육 경험으로 인한 학습격차를 완화하기 위하여 교육적 지원들이 제공될 필요가 있다. 학생들의 사교육 경험은 가정 내 사회경제적 지위와도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여전히 높은 수준의 사교육 참여율을 나타내고 있는 상황에서 사교육으로 인한 교육 불평등에 대한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또한, 코로나19 팬데믹 상황에서 사교육비 지출의 양극화 및 학습격차 심화로 인한 문제들이 나타나고 있는 실정이다. 사교육 경험 외에도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학교적응을 증진시킬 수 있는 개인, 가정, 학교 특성 요인들을 고려할 때, 학습 격차를 개선하기 위하여 다양한 학습 기회를 제공하는 교육 방안들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여섯째, 학교적응과 학업성취도 증진을 위해 학생들의 적극적인 학교활동 참여를 장려해야 한다. 미래사회 역량으로 강조되고 있는 학생 행위 주체성(Student agency)은 같은 맥락에서 학생들이 스스로 참여하는 과정에서 구성원들과 소통하고 문제를 해결해나가면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고 민주시민으로 성장하는 자질을 배울 수 있기에 중요하다. 학생들을 의사결정의 주체로 보고 자치활동을 확대하여 다양한 의견들을 공유하고 학생, 학부모, 교사, 학교와 같이 학교의 구성원들이 다 같이 논의하고 현실화 방안을 마련할 수 있도록 학생들의 활동이 장려되어야 할 것이다. 이 과정에서 학생들은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여 학교에 잘 적응하고 학업성취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교사들도 학생들의 결정을 존중하고 의사결정 과정에서 모든 학생들이 적극적으로 의견 개진을 했는지 참여과정을 지켜보며 지도할 수 있어야 한다. 즉, 교사들에게도 학생 자치활동에 대한 이해가 필요하고 지도할 수 있는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하며 그 속에서 학생 자치활동이 적극 확대되어 다양한 기회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일곱째, 부모들의 건강한 학교 참여 장려와 부모교육을 위한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학생들의 학업성취와 학교적응에서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중요한 요인 중 하나는 가정 요인이다. 부 학력, 가구소득 등과 같이 가정의 사회경제적 요인들에 의해 나타나는 지원보다는 부모의 양육태도, 교육 참여의 영향으로 인한 심리·정서적인 지원, 부모들의 학교 참여를 통한 교육적 지원의 역할이 더 중요하게 논의되고 있다. 코로나19 팬데믹으로 가정에서 보내는 시간이 늘어나면서 학생들의 학습활동에 부모의 참여가 중요해졌다. 부모들이 학교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더 많이 제공하고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마련하여 부모들 간, 부모와 자녀 간, 부모와 교사 간 서로서로 상호 소통하고 학교에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여덟째, 학생들의 성취를 증진하고 학교에 잘 적응하도록 하기 위하여 교사 사기 진작을 위한 지원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학교적응 향상을 위하여 교사들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학생들이 교사들의 사기 및 열의와 수업 역량에 대해 높게 지각할수록 학생들은 수업에 더 집중하고, 교사와 우호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된다. 교사들이 교육현장에서 경험하는 문제들을 진단하고 교사들의 사기를 진작하고 역량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교사들을 위한 다양한 연수와 심리·정서적인 부분에 대한 지원이 마련되어야 할 것이며 이를 통해 학생들의 인지적·정의적 성장을 도모할 수 있을 것이다.;Schools are important in providing students with various knowledge as professional socialization institutions that they encounter outside their homes, while allowing them to experience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interactions with friends and teachers, and grow into desirable members of society based on this basis. Adapting well means that an individual interacts smoothly with the environment, and school adjustment also implies balancing in interaction with the school environment. However, students still experience maladjustment at school, and recently, amid the unusual COVID-19 pandemic, basic education and adaptation difficulties in schools have increased. Adjustment to school is linked to an individual's quality of life. If students are not properly adapted to school, they can experience cognitive achievement and psychological and emotional problems; thu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need to be studied for healthy and desirable growth of students. Therefore, this study classified latent profiles accord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level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lassified latent profile, and analyzed the factors at the student level and school level to derive implications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The analysis data utilized the 3rd, 6th, and 8th years of the Gyeonggi Education Panel Study(GEPS) of the Gyeonggi Institute of Education, and the analysis method used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MLPA).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 of analyzing the latent profile of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re as follows. Latent profiles for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four latent profiles: the 'high achievement-low adjustment' group(25.4%), the 'low achievement-high adjustment' group(22.8%), 'lowest achievement·adjustment' group(30.1%), and 'highest achievement·adjustment' group(30.8%). In middle schools, lowest achievement·adjustment' group accounts for 29.4%, the 'high achievement-low adjustment' group for 30.0%, the 'low achievement-high adjustment' for 19.8%, and 'highest achievement·adjustment' group for 20.8%. The latent profiles of high school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differed from those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 The latent profiles of high school students were classified into three latent profiles: the 'middle achievement and adjustment' group(47.3%), 'lowest achievement and adjustment' group(17.1%), and 'highest achievement and adjustment' group(35.6%).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actors affecting the student and school level according to the latent profile classification as the reference group, variables such as gender, self-efficacy, school satisfaction, and education expenditure were common at the elementary school level. Also, gender, self-efficacy, self-directedness, self-study time, academic stress, school satisfaction, and private education experience were common at the middle school level. Common factors that increase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the group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at the high school level were gender, self-efficacy, reading activity, self-study time, academic stress, private education experience, fathers' education level, and parent's participation in school, and the number of academic clubs in school. In addition,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found in sense of community, mobile usage time, self-governing activity experience, reasonable parenting attitude, school location, innovation school, and teacher morale and enthusiasm. Based on the above research results, the conclusions drawn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educational support programs to increase motivation factors such as students' self-efficacy. Self-efficacy was found to be a variable that increases the likelihood of belonging to a group with high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in all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It is meaningful in that it can reduce the negative effects on students. Therefore, psychological counseling support, emotional control, and educational programs need to be provided to improve self-efficacy at all school levels, contributing to smooth school adjustment and improvement of academic achievement. Second,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various reading education programs for students and prepare measures to participate actively. Literacy is considered a competency essential in the future society. Reading skills acquired through reading activities can contribute to learning and forming social relationships, so reading activities need to be actively encouraged to adapt to schools and promote studies. Therefore, schools should provide opportunities to grow cognitively and affectively by providing various reading activity programs to foster correct reading habits, carry out continuous reading activities, and share their perspectives and thoughts with other students. Third, it is necessary to prepare support measures to establish the right culture of digital media use by strengthening digital media use and information education. As more and more students use digital media, concerns are raised that it hinders learning and school adjustment. In the future society, digital media should be used correctly to receive and restructure information necessary for learning among many pieces of information, and healthy social relationships should be formed through the media. As students have fewer opportunities to receive education using digital media than they are more used and underage, schools will need to create and provide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for using digital media that can help them learn and form desirable relationships with teachers and friends. Fourth, it is necessary to support students to grow into active learning subjects through self-learning. To adapt to the rapidly changing learning environment in the future society, the ability of students to devise their own learning strategies, take the initiative, and learn autonomously is essential. With the recent creation of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due to the COVID-19 pandemic, voluntary participation of learners and self-learning are emphasized as important. However, because one-way learning without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or other students can negatively affect voluntary learning participation, educational support needs to be provided to improve one-way learning and reflection based on cooperative activities experiences that solve problems with teachers and other students. Fifth, education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alleviate the learning gap caused by private education experience. With private education being affected by socioeconomic status at home and still showing a high level of participation in private education, concerns about educational inequality because of private education are raised. In addition, problems emerge owing to the polarization of private education expenditure and the widening learning gap in the COVID-19 pandemic. In addition to the private education experience,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individuals, families, and schools that students can improve their achievements and school adjustment, educational support that provide various learning opportunities should be prepared. Sixth, students should be encouraged to actively participate in school activities to improve school adjustment and academic achievement. Student behavioral identity, which is emphasized as a future social competency, is important because students can play a leading role and acquire the qualities necessary to grow into democratic citizens by communicating with members and solving problems in their participation in the same context. Students' activities should be encouraged to view students as the subjects of decision-making, expand self-governing activities to share various opinions, and discuss and propose realization measures for students, parents, teachers, and schools. In this process, students can form social relationships to adapt well to school and promote academic achievement. In addition, teachers should respect students' decisions and watch and guide all students to actively express their opinion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In other words, teachers also need to understand student autonomy activities, prepare support measures to guide them, and provide various opportunities by actively expanding student autonomy activities. Seventh, support for parents' healthy participation in school and parent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One of the important factors influenc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is family. The role of parents' parenting attitud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support because of participation in education, and educational support for parents' involvement in school are being discussed more importantly than the support caused by socioeconomic factors at home. As the COVID-19 pandemic increased the time spent at home, parents' participation in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has became important. It will be necessary to provide more opportunities for parents to participate in the school activities and provide various programs to help parents, and children. Parents and teachers should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participate in the school. Eighth, support measures should be prepared to boost teacher morale. Teachers play an important role in improv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chool adjustmen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eachers' morale, enthusiasm, and class competency, the more students focus on the class and form a friendly relationship with the teacher. In order to boost teachers' morale and improve their capabilities, various training and support for psychological and emotional aspects should be provided for teachers, which will promote students' cognitive and affective grow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