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8 Download: 0

가정과 연계한 놀이중심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교육이 주 양육자의 반응적 상호작용 행동과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가정과 연계한 놀이중심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교육이 주 양육자의 반응적 상호작용 행동과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Play-Based Responsive Interaction Strategy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on The Primary Caregiver’s the 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 and Social Interaction between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uthors
정지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숙향
Abstract
유아는 놀이를 통해 세상을 이해하고 다양한 경험을 쌓고, 타인과의 놀이를 통해 함께 살아가는 방법을 배운다. 놀이를 통한 긍정적인 사회적 상호작용은 사회관계를 형성하고, 여러 발달 영역을 촉진시키는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성인과의 놀이 상호작용은 유아의 전반적인 발달을 도모하고, 성인과의 놀이는 유아의 놀이를 확장하고 놀이의 구성이 풍부해질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러한 중요성 때문에 유아가 오랜 시간 함께 하는 주 양육자, 교사와의 긍정적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들이 꾸준히 실행되고 있다. 여러 영역에서 발달지연을 보이는 발달지체 유아의 부모는 자녀의 놀이양상을 비정상적이라고 느끼고 반복적으로 학습 및 교정하려는 모습을 빈번히 보인다. 이는 유아와의 관계에 있어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대부분의 발달지체 유아의 양육자들이 이러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음을 고려할 때, 양육자와 발달지체 유아가 긍정적 상호작용을 할 수 있도록 양육자를 위한 교육기관의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교육기관은 가정과 연계하여 주 양육자가 발달지체 유아를 이해하고 발달지체 유아와 더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할 수 있도록 주 양육자에게 유아의 행동에 어떻게 반응하고, 놀이하면 되는지에 대한 방법을 안내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자녀와 놀이상호작용에 어려움이 있는 주 양육자와 발달지체 유아 3팀을 모집하여 가정과 연계한 놀이중심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교육 중재를 제공하고, 이것이 주 양육자의 반응적 상호작용행동과 발달지체 유아와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본 중재는 5개의 반응성 유형으로(상호성, 수반성, 통제분배, 애정, 조화) 분류한 12가지의 놀이중심 반응적 상호작용전략에 대해 알아보는 양육자 교육 3회기와, 이러한 일련의 과정을 복습 및 보완하는 실행 및 피드백 회기로 이루어졌다. 양육자 교육 3회기는 개별적인 주 양육자의 특성을 고려하여 진행되었으며, 실행 및 피드백 회기는 유치원에서의 중재에 관한 정보 공유하기, 주 양육자의 중재에 대한 피드백, 가정중재계획안 작성하기, 전략 수행하기를 포함하여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대상자 간 중다 간헐 기초선 설계를 바탕으로 기초선, 중재(양육자교육, 실행 및 피드백), 유지의 단계로 진행되었다. 1주일에 2회씩 기초선, 중재, 유지의 모든 회기 동안 유치원과 가정에서 모두 발달지체 유아와 함께 놀이하는 상호작용 영상을 15분정도 촬영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유치원에서 실시한 주 2회 영상촬영은 연구자가 실행하였고 가정에서 실시한 주 2회의 영상촬영은 주 양육자가 삼각대를 놓고 촬영하여 연구자에게 영상을 전송하는 방식으로 연구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여 도출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에 참여한 발달지체 유아의 주 양육자 3팀 모두 가정과 연계한 놀이중심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교육을 통해 주 양육자의 반응적 상호작용 행동수행률이 증가하였다. 둘째, 연구에 참여한 주 양육자와 발달지체 유아 3팀은 모두 가정과 연계한 놀이중심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교육을 통해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이 증가하였다. 셋째, 가정과 연계한 놀이중심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교육을 통해 증가한 주 양육자의 반응성 상호작용 행동수행률과 발달지체 유아와의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이 중재가 종료된 후에도 유지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주 양육자와 발달지체 유아 모두 기초선 구간에 낮은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을 보였으나, 중재가 실시된 후에는 주 양육자 교육회기부터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이 기초선 구간의 발생률 보다 현저히 증가함을 확인하였다. 즉, 놀이중심 반응적 상호작용 전략교육은 주 양육자의 반응적 상호작용 행동 증가와 이로 인한 주 양육자와 발달지체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연구자가 직접 유아를 대상을 중재하는 것이 아니라 발달지체 유아에게 가장 많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주 양육자에게 교육을 제공하여 가정과 연계하여 중재를 실행한 점, 발달지체 유아와 다양한 형태의 가족 구성원과 역할의 변화를 고려하여 중재를 실행한 점, 유아기에 가장 중요한 놀이를 중심으로 중재를 진행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Children understand the world through play, gain various experiences, and learn how to live together through playing with others. Positive social interaction through play is an important factor that can form social relationships and promote various areas of development. Play interaction with adults especially accelerates the overall development of children, and adult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expanding children's play and supporting the enrichment of the composition of the play. Hence, continuous studies have been made on positive interactions between primary caregivers and children and between teachers and children. Parent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feel that their child's play patterns in several areas are abnormal, and thus, frequently try to adjust their children which may negatively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child. Considering that most of the fosterers fo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experience such difficulties, support from educational institutions for the caregivers is needed for the positive interaction.. Thus, educational institutions should provide information to primary caregiver in connection with the family’s situation so that they can better understand about their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t is necessary to guide the primary caregivers how to respond the behavior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behavior and how to play with them in order to establish a positive relationship.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n the 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 of primary caregiver and social interaction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For this study, three teams of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primary caregivers who have difficulties in interacting with their children a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y were provided with the intervention in play-based responsive interaction strategy education connected with home. This intervention consists of 12 play-based responsive interaction strategies classified into five responsive types (reciprocity, contingency, shared control, affect, match), three sessions of parenting education were made to find out the importance of children development level, characteristics, play and execution and there were also feedback sessions to implement, review and supplement the acquired strategies. The three session of parenting education were conduct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 primary caregivers, and the implementation and feedback session included sharing the information on interventions in kindergartens, feedback on interventions by primary caregivers, writing home interventions, and implementing strategies. A multiple probe design across participants was used and there were three periods throughout the research, baseline, intervention and maintenance period. Data were collected by recording 15-20 minute video of the participants playing at the kindergartens and homes. The researcher conducted video shooting twice a week at both the kindergarten and home, and the primary caregiver placed a tripod to film it. The findings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the performance rate of 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 of all three teams of primary caregivers has increased through play-oriented responsive interaction strategy education linked to the family. Second, the incidence rate of social interaction of all three teams of primary caregivers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has increased through play-based responsive interaction strategy education in linked to family. Third, the increased rate of reactive interaction behavior performance and the social interaction incidence with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were maintained even after the termination of the arbitration.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ed that both the primary caregivers and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showed low social interaction rates in the baseline section, but after the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the incidence rate increased significantly from the baseline section. Thus, it was shown that play-based responsive interaction strategy education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social interaction between the primary caregiver and the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due to the increase in the responsive interaction behavior. This study is meaningful given that the researcher did not take a role in directly mediating children, but instead provided education to the primary caregivers who could have the most influence o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It is also important to note that the researcher implemented interventions in consideration of changes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and various types of family members and their rol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