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54 Download: 0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의 심리적 부담감과 요청 화행 전략 사용 연구

Title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의 심리적 부담감과 요청 화행 전략 사용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psychological burden and the use of request strategies by Dutch Korean learners
Authors
김도윤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요청 화행은 청자에게 화자가 원하는 어떠한 행동을 하도록 요구하는 행위로 개인이 자신의 의지로 행동하고 타인에 의해 행위를 강요 받지 않고자 하는 소극적 체면을 위협하는 화행이다. 그러므로 화자는 요청 행위를 수행하는 데 부담감을 느끼게 되며 이는 청자와의 사회적 거리나 청자의 사회적 지위 등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그동안 한국어 교육에서 다양한 언어권을 대상으로 하는 요청 화행에 대한 연구는 계속해서 진행되었으며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의 수는 증가해 왔지만 아직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을 살펴본 연구는 전무하다. 네덜란드는 한국과 사회문화적 거리가 먼 만큼 한국인과 의사소통하는 과정에서 잘못된 전략을 사용하여 화용적 오류를 범할 가능성이 있으며 이는 개인에 대한 부정적인 평가로 이어지기도 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가 요청 상황에서 느끼는 부담감과 다양한 사회적 변인에 따라 사용하는 요청 화행 전략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를 통해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올바른 의사소통 능력 함양을 위한 화용 교육의 토대를 만들고자 하였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가 가진 목적과 필요성을 제시하고 기존에 한국어 교육에서 연구되었던 요청 화행에 대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두 가지의 연구 문제를 제시하였다. 먼저 연구 문제 1은 ‘한국어 모어 화자와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가 요청 상황에서 사회적 변인에 따라 느끼는 심리적 부담감에 차이가 있는가’이다.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사회적 변인은 청자의 사회적 지위, 청자와의 친소 관계, 공적 · 사적 상황이며 각각 변인에 따라 느끼는 심리적 부담감의 차이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문제 2는 ‘한국어 모어 화자와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가 사회적 변인에 따라 요청 화행에서 사용하는 전략은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이다. 연구 문제 2에서는 연구 문제 1과 마찬가지로 청자의 사회적 지위, 청자와의 친소 관계, 공적 · 사적 상황에 따라 요청 화행 전략을 살피고 추가로 두 집단이 선호하는 전략의 차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요청 화행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먼저 화행과 요청 화행의 개념을 정리하고 요청 화행의 사회적 변인을 살폈다. 다음으로 선행 연구들을 참고하여 본 연구에서 사용할 요청 화행의 전략틀을 만들어 제시하였다. 요청 화행의 전략틀은 주화행과 보조화행으로 세분화하였고 각 세부 전략에 대한 설명과 예시를 함께 제시하였다. Ⅲ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을 상세히 밝혔다. 연구 절차와 실험 참여자, 자료 수집 방법과 분석 방법을 간략히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실험에서 사용할 요청 상황을 만들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DCT에 대한 상황 개연성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12개의 요청 상황을 선정하여 예비 실험을 진행한 후 본 실험지를 완성하였고 본 실험에는 한국어 모어 화자 30명과 중급 이상의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 30명이 참여하였다. 본 실험에서는 리커트 척도와 담화 완성 테스트(Discourse Completion Test)를 통해서 두 집단이 요청 상황에서 느끼는 부담감의 정도와 각 상황에서 사용하는 요청 화행 전략에 대한 응답을 수집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실험을 통해 수집한 응답을 바탕으로 결과를 분석하고 해석하였다. 먼저 연구 문제 1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전반적으로 네덜란드 한국어 학습자가 한국어 모어 화자에 비해 요청 상황에서 느끼는 심리적 부담감이 크게 나타났다. 사회적 변인에 따라 부담감을 비교한 결과 한국어 모어 화자는 청자의 사회적 거리에 따라 부담감에 크게 차이를 보이는 반면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는 친소 관계가 주요 변인으로 작용하였다. 다음으로 연구 문제 2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한국어 모어 화자는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에 비해 더 다양한 요청 화행 전략을 사용하고 있었으며 사회적 변인에 따라 전략의 사용이 변화하지만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는 사회적 변인에 크게 영향을 받지 못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또한 두 집단은 세부 전략의 사용에서 차이를 보이는데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특정 문형의 공손성을 한국인과 다르게 이해하여 사용하고 있었으므로 이에 대해서는 한국인의 인식에 대한 교육이 반드시 필요한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인이 선호하여 자주 사용하는 요청 화행 전략을 요청 화행 교육 시에 포함시켜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가 성공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만들어야 할 것이다. Ⅴ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과들을 요약하여 정리하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정리하였다. 본 연구는 네덜란드어 모어 화자 집단의 요청 화행 전략을 확인하지 못하여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의 언어문화적 차이를 해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실험 참여자의 숙달도가 중급으로 치중되어 있었으며 중급 숙달도와 고급 숙달도의 학습자의 요청 화행 사용 양상의 차이를 보지 못했다. 그러나 본 연구는 아직 한국어 교육에서 많이 연구되지 않은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새로운 언어권 학습자의 화행 교육을 위한 기초적인 자료를 제공하였다. 그리고 요청 상황에서 느끼는 심리적 부담감을 조사하여 요청 화행 전략의 사용 양상과 연관 지어 해석하려는 시도를 하였다. 뿐만 아니라 한국어 모어 화자와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의 요청 화행 전략의 차이를 사회적 변인에 따라 살피고 이를 각 집단이 속한 문화의 차이로 바라보았다. 이는 실제 의사소통에서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의 화용적 오류를 이해하고 실용적인 한국어 화용 교육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The speech act of request is an act of asking the listener to do whatever the speaker wants, threatening the passive face of individuals acting on their own will and not being forced to act by others. Therefore, the speaker feels burdened to perform the request, which is affected by the social distance from the listener or the listener's social status. Until now, research on request conversation targeting various languages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continued, and the number of Dutch Korean learners has increased, but there are no studies examining the request conversation of Dutch Korean learners yet. As the Netherlands is far from Korea in socio-cultural terms, it is possible to make a pragmatic error using wrong strategie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ng with Koreans, which can lead to negative evaluations of individuals. Therefore, this study compared and analyzed the burden felt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Dutch Korean learners in the request situation and the requesting behavior strategy used according to various social variables. And through this, we tried to lay the foundation for practical education for Dutch Korean learners to cultivate correct communication skills. Chapter I present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summarizes previous studies on the requesting behavior previously studi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based on this, two study questions were presented. First, Study Question 1 is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psychological burden that native Korean speakers and Dutch Korean learners feel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in the requested situation?" The social variables to be examined in this study were the listener's social status, the relationship with the listener, and the public and private situation, and it was intended to confirm the difference in psychological burden felt according to the variables. Study Question 2 is "What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rategies used by native Korean speakers and Dutch Korean learners in requesting behavior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As in Study Question 1, we tried to examine the requesting behavior strategy according to the social status of the listener,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stener and the public and private situation, and further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referred strategies. Chapter II summariz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for requesting conversation. First, the concept of speech act and request speech act were summarized, and the social variables of request were examined. Next,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a strategy framework for requesting action to be used in this study was created and presented. The strategy framework of the requesting row was subdivided into a coin row and an auxiliary row, and explanations and examples of each detailed strategy were presented together. Chapter III details the research method used in this study. A summary of the research procedure, experimental participants, data collection method, and analysis method is as follows. First, a request situation to be used in this experiment was created, and a situation probability survey was conducted on DCT for Koreans. Finally, after selecting 12 requested situations and conducting a preliminary experiment, this experimental paper was completed, and 30 native Korean speakers and 30 Dutch learners above intermediate level participated in this experiment. In this experiment, through the Likert scale and the Discourse Completion Test, responses to the degree of burden felt by the two groups in the request situation and the requesting behavior strategy used in each situation. In Chapter IV, the results were analyzed and interpreted based on the responses collected through this experiment. First, the results of Study Question 1 are summarized as follows. Overall, the psychological burden felt by Dutch Korean learners in the request situation was greater than that of native Korean speaker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burden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native Korean speakers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burden according to the listener's social power, while Dutch Korean learners had a social distance as a major variable. Next, the results of Study Question 2 are summarized as follows. More diverse requesting strategies were used by native Korean speakers than Dutch Korean learners, and although the use of strategies changes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Dutch Korean learners are not significantly affected by social variables. In addition, the two groups differ in the use of detailed strategies, and Dutch Korean learners understood and used the politeness of certain sentences differently from Koreans, indicating that education on Koreans' perceptions is essential.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include a requesting behavior strategy favored by Koreans in requesting behavior education so that Dutch Korean learners can communicate successfully. Chapter V summarizes the results of this study and summarizes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had limitations in interpreting the linguistic and cultural differences of Dutch Korean learners because it could not confirm the request strategies of the Dutch native speaker group. In addition, the experimental participants' mastery was focused on intermediate level, and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learner's use of requesting behavior between intermediate level mastery and advanced mastery. However, this study provided basic data for the speech education of new language-speaking learners for Dutch Korean learners who have not yet been studied much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addition, an attempt was made to investigate the psychological burden felt in the request situation and interpret it in connection with the use pattern of the requesting behavior strategy. In additi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trategy of requesting native Korean speakers and Dutch Korean learners was examined according to social variables and viewed as a difference in the culture to which each group belongs. This is significant in that it can understand the pragmatic errors of Dutch Korean learners in actual communication and make practical Korean language education possibl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