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5 Download: 0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서울형혁신학교의 다차원 교육정책 분석

Title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한 서울형혁신학교의 다차원 교육정책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ext Mining on Seoul Innovative School : Using the Four-Dimensional Framework
Authors
이슬아
Issue Date
2022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on the policy changes and management in Seoul Innovative Schools. The research suggests that policy enforcement at the school level must be systematically analyzed to find relevant directions to spread policy. In order to holistically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Seoul Innovative School’s policy management, the study divides the stages of policy and analyzed by using text mining through the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s the Four Dimensional Framework (normative, structural, constituentive and technical dimensions). To achieve the research purpose,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normative dimension of policy management in Seoul Innovative School,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chool vision, philosophy, and culture? Second, from the structural dimension of policy management in Seoul Innovative School,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school management structure and curriculum? Third, from the constituentive dimension of policy management in Seoul Innovative School,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acher, student, parents, and local community’s role and relationships? Last, from the technical dimension of policy management in Seoul Innovative School,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of policy processes, successes, and evaluations?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I investigated the timeline of policy changes of Seoul Innovative School. To answ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literature review uses policy briefs from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the governor's official comments, research papers, newspapers to sort the timeline of policy changes. The governor's educational principle and values have primarily influenced policy in general and subdivided policy direction, management, and organizational tasks within the framework of ‘Seoul Innovative School – Reactivated Stage (2014.07~)’, and analyzed ‘Inheritance and Establishment Stage (2015~2016)’, ‘Growth and Quantitatively Spread Stage (2017~2018)’, and ‘Qualitative Heightened Stage (2019~)’. The study focuses on the reactivated stage of the Seoul Innovative School and explores policy managements and characteristics of change with text mining analysis through literature review by utilizing school management plan and school evaluation report. The data collection has been used for text mining is from the year 2015 to 2020 of plan and report. With the compilation of the results on the analysis of four-dimensional framework,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ly, from the normative dimension, the Seoul Innovative Schools’ educational goals were visions that aimed to raise creative and democratic future talents that inspire the students’ cognitive areas and affective outcomes. In order to achieve the educational goals, the educational values gradually reflected the goals of ‘creation’, ‘spread’, and ‘generalization.’ These policy objectives spread out from the introduction of a policy to the experiences and learning of school community members. Moreover, innovative education policies such as ‘democratic citizenship education goals’ appeared simultaneously, which can also be seen as the beginning of the creation of a school community and equipped driving force for improvement. Especially, the qualitative heightened stage was an effort for qualitative growth as the keywords such as ‘future’ and ‘environment’ appeared and led to a new direction and transition for Seoul Innovative School. Secondly, the structural dimension was discussed in two parts: school management structure and curriculum operation. Foremost, the school management structure changed to an activity-based school system, which shows their effort to alter administrative structures' dynamics. The changes of school organizational structures appeared differently in different policy stages, as the keywords such as ‘execution’, ‘modify’, ‘establishment’ appeared. Also, schools eliminated unnecessary ‘events’ or ‘competitions’ and operated the ‘Education Support Team’ to restructure school workload. Especially, a ‘committee’ appeared to have both-sided traits. Schools vitalized a school governing body with a legal ground in schools and merged different committees that do not share a legal basis and instead activated ‘Task Force (TF)’ to show a flexible status of school organization. Also, the qualitative heightened stage made an effort that aligns the operation of materializing future schools by creating flexible spaces by implementing policies such as the central governments' Korean New Deal Project (2021) and Seoul Metropolitan Office's ‘The Project on the Putting Future in School.’ Next, the school curriculum reflects the national education policy, national curriculum, and Seoul Metropolitan Office's approach, meanwhile constructing a curriculum with school's vision and educational goals. To accomplish this, schools were the premise of forming a culture that holds the values of innovative education. The collaborative school culture allows the teacher to share their class and formation of teacher learning and education community. The curriculum aims to foster main competency and talents as indicated in the ‘2015 Amended Curriculum’ through ‘sensitivity’ education and ecological education. Also, the school showed a quite an interest by actively utilizing ‘creative experiential activity’ in educational activities, which started from the 2009 Amended Educational Curriculum. While the activity-based curriculum leads to a discussion of students' declining academic performance, Seoul Innovative School's curriculum aims to prevent maintaining a certain level of essential academic skills. Teachers are accountable for students' guidance; they use ‘Basic Academic Support System’ and ‘Individual Learning Coaching.’ In addition, the schools are focused on the ‘enlargement’ part to operate the school curriculum with various experiential activities sustainably. Also, at the qualitative heightened stage, with the ‘future’ as their main issue, ‘software education’ and ‘maker education’ are vital components in the future-oriented curriculum. Thirdly, the constituentive dimension is based on the values and objectives of policy by each period, and the confirmation of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educational community and stakeholder’s role and participation for democratic school operation are subdivided. The formation process gradually spread out for each policy periods, starting from an individuals’ growth to ‘expansion,’‘distribution’,‘sharing’ after the community formation. Teachers can be seen as critical members of the community as they bring values of ‘professional development’, ‘demonstration and sharing of class’ into school innovation. The principal brings ‘democratic’ qualities to the ‘meetings’, ‘talks’ and collecting the school personnel’s thoughts seemed to generate democratic culture. Students are at the center of ‘training of democratic and creative future-oriented talents’ and voluntarily participate in the school community through ‘student council’ and ‘school clubs.’ The connection between parents and local community shows their effort to work together towards one of the critical operating issues in Seoul Innovate Schools, which is ‘constructing community culture.’ In addition, operating ‘reading clubs’ encourage communicative culture and effort to construct necessary infrastructure. There are similar programs that enable members of the school community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ctively. However, non-compliance with a new appointment of Seoul Innovative School leads to the decline of belief in the effects of Seoul Innovative School policy. Fourthly, from the technical dimension, the Seoul Innovative School pursues an opening system model and is well-responsive towards the societal environment. The normalization of school work-load, substantialization of curriculum, formation of the school community, which are the main issues of Seoul Innovative School policy, were evident in running schools as reflected during the process and results of policy management. During the ‘Inheritance and Establishment Stage’ and ‘Quantitatively Spread Stage’ periods, the policy aimed to prevent school violence, which was also shown in student self-government and fulfilling the main issues of Seoul Innovative School. Moreover, during the ‘Qualitative Heightened Stage,’ the school organized preventive measures against COVID-19 and provided a safe learning environment. This matter can be understood as one of the difficulties schools faced in achieving Seoul Innovative School’s central policies based on offline activities that require cooperation 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explored that if the Seoul Innovative School policy is run at the school level, from the normative, structural, constituentive, and technical dimensions, the policy tends to be flexible and results in a complex interaction. In addition, these educational policies, laws, and systems hold values of educational innovation from past regimes which seemed to overlap with other innovative school policies. Based on these foundations, current policy managements show a potential of democratic school management that can share the school community members’ spontaneity, autonomy, and responsibility which reflects policy actors’ preference and benefits. Hence, this study analyzed the core values of Seoul Innovative School policy as a ‘self-governing school.’ Based on these findings, the policy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from the normative dimension, a constructive consensus that shares the educational goals, values, and principles of the Seoul Innovative Schools must be reached. In order to spread the Seoul Innovative School within the educational systems, educational purposes and values must be shown to address positive educational outcomes. Policymakers and policy actors must tighten interactive communication ways that address policy-oriented groups’ needs, experiences, and values. Second, from a structural dimension, the policy on the environment of future education should be wholly connected with Seoul Innovative School’s approach, and in relation to the entire strengthening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 Seoul Innovative Schools must become a space for teaching conceptual knowledge. The Seoul Innovative School’s policy focuses on innovative ‘future’ education, and a temporary bridge to embody the ‘future’ is necessary. Therefore, rather than segmentally executing policy, the policy decision-makers should explore the ways to connect policies on constructing future educational environments and the Seoul Innovative School policy. Also, with an entire strengthening of the national curriculum, they should let school community members plan and design the specifics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only by briefly giving them directions on educational ethics and values. Third, from a constituentive dimension, the policy actors and the policy target group of Seoul Innovative School must actively communicate with each other through cooperation. In order to generalize the policy of Seoul Innovative School, it is necessary to have clear and consistent communication and activities during the process of policy enforcement. For these reasons, school community members with high participation levels must become critical policy brokers between policy actors and policy target groups. Fourth, the Seoul Innovative School requires continuous innovation through reflective self-examination from a technical dimension. Although, as a policy continues to flow within the cycle of evaluation and return, the educational problems that arise during policy management can be seen as an opportunity for development, a self-examination must be consistent within the policy of Seoul Innovative School. This study applied the Cooper et al.(2004)’s The Four Dimensional Framework and carried out a keyword and topic analysis through text mining to explore the contents of the Seoul Innovative School policy and process of change. The application of text mining analysis on the analysis of policy model to carry out co-operative study implies the expansion of research methods of policy study, which can be applied in examining diverse educational policy environments.;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형혁신학교 정책 운영 및 변화 과정 분석에 중점을 둔다. 이에 따라 학교 차원의 정책집행 내용을 체계적으로 분석하여 정책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연구는 서울형혁신학교 정책 운영 특징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정책의 시기를 구분하고 Cooper, Fusarelli & Randall(2004)의 다차원 교육정책분석 모형의 규범적, 구조적, 구성적 및 기술적 차원 내에서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형혁신학교의 규범적 차원에서 학교 비전, 철학 및 학교 문화의 특징은 무엇인가? 둘째, 서울형혁신학교의 구조적 차원에서 학교 운영 구조, 교육과정 운영의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서울형혁신학교의 구성적 차원에서 교원, 학생, 학부모, 지역사회 역할 및 관계의 특징은 무엇인가? 넷째, 서울형혁신학교의 기술적 차원에서 정책의 과정, 성과 및 평가의 특징은 무엇인가? 위의 연구 문제를 통시적 관점으로 분석하기 위하여 서울형혁신학교 정책 시기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문헌분석으로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자료, 교육감의 공식적 교육담론, 연구보고서, 언론 기사 등을 활용하여 시기를 구분하였다. 분석 결과 교육감의 교육적 신념과 가치가 정책에 많은 변화를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를 통해 조희연 교육감 당선 이후를 서울형혁신학교 재활성기(2015~)로 보았다. 다시 서울형혁신학교 재활성기(2015~)를 정책방향, 정책운영, 조직구성 등으로 분석하여 계승 및 정착기(2015~2016), 성장 및 양적 확산기(2017~2018), 질적 심화기(2019~)로 시기를 세분화하였다. 이 연구는 서울형혁신학교 재활성기를 중심으로 정책의 변화 시기를 구분하고, 학교 차원의 정책 운영과 변화의 특징을 탐색하기 위하여 문헌분석과 함께 학교운영계획서 및 학교평가 결과보고서를 활용하여 텍스트 마이닝을 실시하였다. 텍스트 마이닝에 활용된 연구 자료는 2015년부터 2020년까지 학교운영계획서와 학교평가 결과보고서를 모두 수집할 수 있는 학교를 중심으로 선정하였다. 네 가지 차원에서 분석한 내용을 종합하면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규범적 차원에서 서울형혁신학교의 교육목표는 학생의 인지영역과 정의적 성취를 고취하기 위하여 민주적이고 창의적인 미래 인재를 육성하기 위한 교육비전을 가지고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적 가치는 정책 시기별로 ‘형성’, ‘확산’, ‘일반화’ 등의 목표가 단계적으로 나타남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정책 목표는 정책의 도입 및 정착을 거쳐 학교구성원의 경험 및 학습으로 확산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민주시민교육목표 등과 같은 혁신교육정책이 함께 등장하며 교육공동체 형성의 정책 변화와 개선의 원동력을 갖추고자 함으로 볼 수 있다. 특히, 질적 심화기는 질적 성장을 위한 노력으로 ‘미래’, ‘환경’ 등의 키워드가 등장하며 서울형혁신학교의 새로운 방향과 전환이 나타난다. 둘째, 구조적 차원은 학교 운영 구조와 교육과정 운영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학교 운영 구조는 교육활동 중심의 학교 시스템으로 학교 행정 구조 변화에 노력함을 볼 수 있었다. 학교 운영 구조의 변화는 정책 시기별로‘추진’, ‘정비’, ‘구축’ 등이 단계적으로 나타났으며, 학교업무 재구조화 ‘교육지원팀’이 운영되며 불필요한 ‘행사’, ‘대회’ 등을 폐지하고 있다. 특히, ‘위원회’는 양가적인 모습으로 학교운영위원회는 활성화하고 법적 근거를 갖추지 않은 위원회는 통폐합 및 폐지하며 ‘테스크포스(TF)’를 운영하는 등의 학교조직이 유기적 형태로 변화함을 볼 수 있다. 또한, 질적 심화기는 한국형 뉴딜 국가 프로젝트, 서울특별시교육청의 ‘미래를 담는 학교 사업’의 운영과 맥락을 같이 하며 미래학교로 구현하기 위한 유연한 공간으로 학교를 확장하고자 하는 것으로 확인하였다. 다음으로 교육과정은 국가교육정책 및 국가교육과정과 서울특별시교육청 정책을 수용함과 동시에 학교의 비전과 교육목표를 담아 교육과정을 구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하여 학교는 혁신교육을 담은 ‘문화’형성을 전제로 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교육과정은 2015년 개정 교육과정의 핵심역량과 인재상을 구현하기 위하여 ‘감성’교육, ‘생태환경’교육을 기반으로 공동체 역량을 함양하고 있으며,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부터 시작된 창의적 체험활동을 중심으로 학생 체험활동과 같은 교육활동 운영에 관심이 높음을 확인하였다. 성장 및 양적 확산기는 체험활동의 기회가 담긴 교육과정을 지속적으로 운영하고자 ‘확대’를 중심으로 운영하고 있으며, 질적 심화기는 ‘미래’를 주요 과제로 삼아 미래형 교육과정에 집중함을 볼 수 있다. 셋째, 구성적 차원은 정책의 가치와 목표에 근거하여 민주적 학교운영을 위한 교육공동체 형성 과정이 나타나고 구성원의 역할과 참여가 세분화되어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교육공동체 형성 과정은 정책 시기별로 개인의 ‘성장’에서부터 공동체 형성 후 ‘확대’, ‘나눔’, ‘공유’로 확산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더불어, 교원의 ‘전문성 신장’, ‘수업 연구 및 공유’와 교장은 ‘민주성’을 갖춘 리더십, 학생은 학교주체로 학생‘자치회’, ‘동아리’ 등에 자발적으로 참여하며 학교 운영에 ‘자발성’과 ‘협력’을 기반으로 함을 볼 수 있다. 학부모와 지역사회 연계는 학교의 공동체 문화를 활성화하는 조력자 역할로 나타났다. 또한, 정책행위자의 이해관계와 갈등상황을 탐색한 결과 서울형혁신학교 신규 지정에 대한 정책대상집단의 정책 불응이 계속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기술적 차원은 개방체제모형을 지향하고 있으며 사회환경 변화 대응이 뛰어남을 볼 수 있었다. 서울형혁신학교 정책의 주요 과제인 학교업무정상화 시스템 구축, 교육과정 내실화, 교육공동체 구현 등을 토대로 학교가 운영되는 것을 정책 운영 과정과 결과로 살펴볼 수 있었다. 정책 시기별로 계승 및 정착기와 성장 및 양적 확산기는 ‘학교폭력’경감을 위한 노력이 나타났으며 이는 학생 자치와 같은 서울형혁신학교 주요 과제 실현 등을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다. 또한, 질적 심화기는 코로나 19 팬데믹 위기극복을 위한 방역시스템을 구축하여 안전한 교육환경을 마련하기 위한 노력이 나타났다. 이는 협력, 소통 등의 오프라인 활동 기반으로 한 서울형혁신학교 주요 정책 목표를 실현하는데 어려웠던 상황으로 이해할 수 있다. 위의 결론을 토대로 이 연구는 서울형혁신학교의 정책이 단위학교 차원에서 운영될 때 규범적, 구조적, 구성적 및 기술적 차원이 유기적이고 복합적인 상호작용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으로 보았다. 또한, 역대 정부에서 운영되었던 교육혁신의 가치를 담은 교육정책과 법률, 제도 등에 경로가 진화한 형태를 보이고 타 서울혁신교육정책과 중첩되어 나타남을 살필 수 있었다. 이를 기반으로 현재 정책 운영은 정책 행위자의 선호와 이익이 반영되어 학교구성원의 자발성, 자율성, 책무성 등으로 민주적 학교운영이 가능함으로 판단하였다. 이에 따라 이 연구는 서울형혁신학교 정책의 중핵가치는 ‘학교자치’로 보았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규범적 차원에서 서울형혁신학교 교육목표와 가치, 철학을 보여줄 수 있는 체계적인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서울형혁신학교의 확산을 위하여 정책의 목표와 가치가 교육제도 속에서 긍정적 교육 효과를 보여줄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정책결정자와 정책집행자는 정책대상집단의 욕구, 경험, 가치관 등을 파악하여 상호작용 할 수 있는 의사소통 경로를 견고하게 만들어야 한다. 둘째, 구조적 차원으로 미래 교육환경 조성 정책은 서울형혁신학교 정책과 연계되어 종합적으로 추진 할 필요가 있으며 국가교육과정의 대강화를 이루어 서울형혁신학교는 개념적 지식을 가르치는 공간으로 거듭나야 한다. 현재 서울형혁신학교 정책은 혁신‘미래’교육에 방점을 두고 있으며 미래를 구현하기 위한 가교의 역할이 필요하다. 이에 정책을 분절적으로 집행하기보다 미래 교육환경 조성 정책과 서울형혁신학교 정책과의 연계 방안을 탐색해야 한다. 또한, 국가교육과정 대강화로 교육 이념과 목표 등 방향만 제시하고 학교구성원에게 구체적인 교육과정의 기획 및 구성 자율권을 확대하여야 한다. 셋째, 구성적 차원으로 서울형혁신학교의 정책집행자와 정책대상집단은 원활한 의사소통을 위하여 상호 협력해야 한다. 서울형혁신학교 정책의 일반화를 구현하기 위하여 정책집행과정 속에서 명료하고 일관성 있는 의사소통과 정책 추진 활동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학교 참여 수준이 높은 교육공동체가 정책집행자와 정책대상집단 간의 중요 정책중개자 역할을 해야 한다. 넷째, 기술적 차원으로 서울형혁신학교는 반성적 자기 성찰을 통한 지속적 혁신이 요구된다. 정책이 평가되고 환원되는 순환의 구조에서 정책운영에 나타나는 교육문제는 개선의 기회로 삼을 수 있기 때문에 서울형혁신학교 정책에서도 운영 과정과 평가 결과 속에서 자기성찰 과정을 담아야 한다. 이 연구는 서울형혁신학교 정책 집행 내용과 변화 과정을 탐색하기 위하여 Cooper et al.(2004)의 다차원 교육정책 분석 모형에 텍스트 마이닝을 활용하여 키워드 및 토픽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와 같이 정책 분석 모형에 텍스트 마이닝 분석을 활용하여 상호보완적인 연구를 진행한 것은 정책 연구의 연구 방법을 확장한 것으로 앞으로 다양한 교육정책 분야에서 적용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