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30 Download: 0

원격수업을 경험한 중등미술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Title
원격수업을 경험한 중등미술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Changes in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Secondary Art Teachers who Experienced Distance Learning : Focusing on In-depth Interviews
Authors
이다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본 연구는 원격수업의 도입으로 인한 학교 내 미술 수업의 변화와 그에 따른 중등미술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변화와 요인을 사례를 통한 질적 연구 방법을 통해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중등미술교사 3인으로 2021년 3월 19일부터 5월 4일까지 총 9회의 대면 및 비대면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다. 심층 면담은 주로 실시간 화상 프로그램 ZOOM을 통해 진행되었으며 면담 진행 전에 참여자의 동의를 구하여 대화 내용을 녹음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녹음본은 면담 종료 후 전사하여 연구의 자료로 수집 및 분석하였다. 또한, 면담마다 면담 일지를 작성하여 수집하였고 이를 다음 면담과 분석을 위한 자료로 사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Wolcott의 기술, 분석, 해석 절차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반복적 비교분석법으로 자료를 개방코딩하고 범주화한 후 반복적으로 비교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를 <원격 미술 수업>, <교사효능감>, <직무만족도> 3가지로 구분하여 범주화하였고 그에 따라 <원격 미술 수업>은 상위범주 5개, 중범주 9개, 하위범주 15개, <교사효능감>은 상위범주 3개, 중범주 6개, 하위범주 8개 그리고 <직무만족도>는 상위범주 2개, 중범주 4개, 하위범주 5개를 도출하였다. <원격 미술 수업>과 관련하여 <교사의 인식>,<원격 미술 수업의 어려움>,<원격 미술 수업의 가능성>,<수업의 변화>,<문제해결>로 상위 범주를 구분하였고 ‘혼란과 적응’,‘부담감’,‘소통과 평가의 어려움’,‘시간의 유연성’,‘수업의 발전’,‘공간의 변화’,‘활동의 변화’,‘도움과 지원’,‘개인적 노력’으로 세분화할 수 있었다. 이러한 원격 미술 수업의 경험을 바탕으로 <교사효능감>을 <교수-학습 효능감>,<학생참여 효능감>,<학급경영 효능감>으로 구분하여 ‘교과의 특성’,‘교사의 특성’,‘학생의 반응’,‘교사의 인식’,‘수업 관리’,‘학생 관리’로 세분화하였으며, <직무만족도>와 관련하여 <교직 만족도>,<직업환경 만족도>로 구분하여 ‘미술교사의 만족’,‘업무 부담’,‘학교의 지원’,‘관리자의 역량’으로 세분화하였다. 이처럼 도출된 범주를 원자료를 통해 질적 분석하였으며, 이러한 범주를 기반으로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변화와 요인과 관련하여 ‘변화와 적응’, ‘신념과 환경’이라는 키워드를 도출하고 해석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미술교사는 원격수업의 도입으로 인해 혼란을 느꼈으나 점차 적응하는 모습을 보였으며, 시간적, 정신적‘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다. 미술 수업은 수업 공간이 변화함에 따라 재료가 제한되고 도구가 변화되었으며, 표현 활동과 모둠 활동이 축소되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학생과의 소통과 평가가 원활하지 않아 어려움을 겪는 동시에, 시간을 유연하게 활용하며 연구가 활성화되고 디지털 매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수업이 발전되는 가능성을 발견하였다. 교사들은 학교의 기기 지원을 기반으로 교사들과 정보를 공유하고 학생과 소통을 위한 노력을 통해 원격수업으로 인한 문제들을 해결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였다. 둘째, 중등미술교사들은 원격수업으로 인한 어려움을 경험하였지만,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 세부 항목의 변화 양상은 각기 상이했다. 셋째, 원격수업을 경험한 중등미술교사의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의 변화 요인에 대하여‘원격수업에 대한 상대적 자신감에 따른 교수-학습 효능감의 증진’, ‘학생들의 반응 감소로 인한 학생참여 효능감 저하’,‘학생들 통제의 어려움으로 인한 학급경영 효능감 저하’,‘업무 부담으로 인한 교직 만족도 저하’와 ‘기준의 모호함으로 인한 직업환경 만족도의 저하’를 확인하였지만 이러한 변화는 대부분 일시적이었으며, 이후 상황이 안정되어 기준이 명확해지고 시간의 흐름에 따라 상황에 적응하면서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다. 넷째, 교사효능감이 높은 중등미술교사는 원격수업 도입으로 인한 급격한 교육환경의 변화를 경험하더라도 자신의 교육적 능력에 대한 신념에 변함이 없었으며, 그러한 효능감은 변화에 적응하고 전문성 개발을 위해 노력하며, 문제를 해결해가는 것에 영향을 주었고, 직무만족도 역시 유지하게 하였다. 그에 따라 중등미술교사들은 원격 미술 수업에서의 어려움을 경험하였지만, 교사효능감이 높은 교사들은 교사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큰 변화가 없으며, 변화가 있더라도 일시적이라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가 원격수업 도입으로 인한 학교 미술교육과 중등미술교사들의 경험을 다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연구가 되기를 바라며 교육의 실행자로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사의 효능감과 직무만족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changes in the art class in school following the adoption of distance learning as well as changes and elements in the secondary school art teachers’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with cases from qualitative research. A total of 3 secondary school art teachers participated face-to-face and untact in-depth interviews for 9 times from March 19 to May 4 2021. This in-depth interview was carried out via live meeting program, ZOOM and conversation was recorded with all participants’ consent. The recording was transcribed after the interview to collect and analyze for the research. Also, the journal was written for every interview and used for following interview and analysis. Data was analyzed in process of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by Wolcott. Then, the data was processed with open coding as repetitive comparative analysis and categorized. Repetitive data comparison and analysis reached conclusion. In this study, the data fell into 3 categories; , , and and had 5 upper categories, 9 middle categories and 15 sub-categories while had 3 upper categories, 6 middle categories, and 8 sub-categories. And < Job satisfaction> had 2 upper categories, 4 middle categories, and 5 sub-categories. 5 upper categories of were , , , , and which break down into ‘Confusion and adaption’,‘Feeling of pressur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and evaluation’,‘Flexibility in time’, ‘Development of the class’,‘Changes in space’,‘Changes in activity’, ‘Assistance and support’,‘Individual efforts.’ Based on the subdivision experience of the teaching art remotely, fell into , , that subdivide into ‘Characteristics of subjects’,‘Teacher characteristics’,‘Student reaction’,‘Awareness of teachers’,‘Class management’,‘Students management’ while fell into , which break down into ‘Satisfaction of the art teacher’,‘Work pressure’,‘Support from school’, and‘Administrator competencies.’ Based on such categorization, source data was qualitatively analyzed and some keyword such as ‘Changes and adaption’ and ‘Belief and environment’ were found and analyzed with regard to the changes and elements of th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Thus, the research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the secondary school art teachers were confused with adoption of distance learning but gradually accommodated themselves to it, feeling some ‘pressure’ in terms of time and mentally. As the class space has changed, the materials were restricted with changes in tools in the art class. Also, the expression and group activities were reduced. In this process, the difficulty in communication with students and evaluation did not work properly. In the meantime, there was possibility using time flexibly, activating research, and making good use of digital media to advance the class. Teachers shared information with each other and made efforts to communicate with students to solve problems attributed to the distance learning as the school offered devices. Second, the secondary school art teachers had difficulties with the distance learning, but the details of th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changed differently. Third, the elements that change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the secondary school art teachers who experienced the distance learning were found as follows; ‘Increased efficacy in instruction as the teachers feel relatively confident in the distance learning’,‘Decreasing efficacy in student engagement with decline in students’ reaction’,‘Decreasing efficacy in classroom management due to difficulty in controlling students’,‘Decreasing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due to workload’ and ‘Decreasing satisfaction in the work environment due to ambiguity of standard.’ But most of changes were temporary and these elements were recovered as the things turned out to be stabilized with clear standard and the teachers adapted themselves over time. Fourth, the secondary school art teachers with high teacher efficacy had unchanging belief in their capability in teaching even though they’ve experienced drastic changes in the education environment as the distance learning was adopted. And such efficacy influenced them to adapt themselves to changes, work on to develop professionalism, and solve out problems—even, maintain their job satisfaction. Thus, the secondary school art teachers had difficulties in teaching art remotely but those with high teacher efficacy had no changes in their teacher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Even if there’s any change, it was temporary. It’s expected to see this study could confirm art education in school following the adoption of the distance learning and experiences of secondary school art teachers from many angles and also, further study should be carried out on efficacy and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who have played key role as educato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