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2 Download: 0

평생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에 참여한 노인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Title
평생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에 참여한 노인의 자아존중감 변화에 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Qualitative Research on Changes in Self-esteem in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Art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Authors
김아영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빠른 고령화 추세에 따라 사회의 많은 분야에서 노인의 삶에 대한 관심이 늘어남을 인식하여 노인을 대상으로 평생교육으로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이를 통해 노인들이 겪는 과정과 경험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보는데 있다. 연구자는 노년기를 위기의 시기가 아닌 지속적인 발달 과정의 시기라고 보았다. 평균 수명의 연장과 의료의 발달로 인하여 100세 시대에 접어 들면서 은퇴 후의 삶은 30년 이상의 시간을 보내야 하기 때문에 노년의 시기를 단순히 여가시간을 보내는 시기로 보기 보다는 남은 인생을 건강하고 행복하게 살 수 있도록 발전하는 시기로 보내야 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인간의 전 생애 걸친 평생교육 중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평생교육은 시대적 변화 상황에 대비하여 다양하게 실천되어야 한다. 더 나아가 평생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은 노인 학습자에게 신체적 기능을 촉진시키고 심리적 안정감을 높일 수 있어 긍정적 자아존중감을 형성하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보았다. 연구자는 평생교육에 참여하고 있는 노년을 대상으로 노인의 자아존중감을 고려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및 진행하였다. 연구는 여성 노인 2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부터 5월까지, 총 16차시 동안 서울시의 참여자 A의 집에서 진행되었다. 수업 진행 시 매 차시 수업 과정을 녹음하고 참여자의 동의하에 결과물을 촬영하였다. 수업이 마무리 된 후에는 개별 심층 면담을 녹음 및 기록하여 전사하였다. 심층 면담은 구조화된 인터뷰 문항을 구성하여 개방형 인터뷰로 진행하였고 본 연구는 질적 연구 중에서도 특정 사례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를 바탕으로 연구 결과를 파악하는 사례 연구를 사용하였다. 관찰, 면담 등의 질적 연구 자료를 수집 한 이후에 Wolcoott의 ‘기술’, ‘분석’, ‘해석’ 으로 구분된 구조를 토대로 연구과정을 계획하였다. 이후 수집한 자료를 개방 코딩 작업을 실행 후, 범주화 단계를 통하여 자료를 상위범주와 하위범주로 구분하여 해석하였다. 분석 결과 4개의 상위범주와 9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으며, 범주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위범주 ‘자아인지’ 에 따른 하위 범주는 ‘노년기 인지’와 ‘자아평가’, 상위범주 ‘내면표출’ 에 따른 하위범주는 ‘심리적 안정 ’과 ‘걱정 및 두려움’, 상위범주 ‘자신감’ 에 따른 하위범주는 ‘학습의지’, ‘성취감’, ‘미술에 대한 흥미’, 상위범주 ‘타인과의 상호작용’의 하위범주는 ‘긍정적 반응’, ‘연구자와의 소통’ 으로 범주화 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평생교육으로서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경험한 노인의 자아존중감의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평생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은 노인 학습자에게 긍정적 자아인지를 가능하게 하고 이것은 자연스럽게 타인과 소통을 통해 사회활동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평생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은 노인 학습자에게 반복적인 성취감을 경험하고 미술 활동에 대한 학습의지가 향상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미술교육 프로그램에 참여하기 전과 후를 비교해 보았을 때 미술 학습에 대하여 경험해 보았다는 것만으로도 자신감이 생겨 미술활동에 대한 지속성을 언급하였고, 이것은 미술 활동의 경험을 통해 자신감이 향상된 것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하여 살펴보면 노인 학습자들에게 평생교육은 삶의 만족도를 높이고 배움을 지속하게 하는 의지를 고취시킨다. 더 나아가 노인 학습자에게 평생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은 성취감과 학습의지를 경험하고 자신의 가치를 파악하면서 긍정적 자아존중감 향상에 도움이 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연구자는 본 연구를 통해 미술교육의 주체가 주로 아동을 대상으로 치우쳐져 있고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교육은 여가활동이나 치료의 일환으로 여겨왔던 것을 벗어나, 노인 학습자의 신체적·심리적 변화를 고려하여 교육적 접근을 통한 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본 연구를 통해 노인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교육의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어 평생교육으로서 미술교육이 노인 학습자에게 삶의 질을 향상 시켜줄 수 있는 교육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arry out the art education program as lifelong education targeting seniors, considering growing interest in the elderly’s life in many fields in society as the ageing population has increased, and phenomenologically investigate process and experience the seniors had to go through.  In this study, the senescence was regarded as a stage in continuous development, not something at risk. As the average life extension and medical technology development have expedited the age of homo-hundred, people have to spend over 30 years after they get retired and it’s necessary to spend time in a way to lead life in a healthy, happy manner, not just simply spend free time. Therefore, the lifelong education for human’s entire life, especially targeting seniors should be implemented in various ways to gear up for changes of the times. Furthermore, the art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could help promote physical function in the elderly learners and build their mental health and develop positive self-esteem. In this study, the art education program was designed and conducted, considering self-esteem in the elderly who participated in the lifelong education. The research was carried out with 2 old females from March to May 2021 for 16 sessions in total in A’s house located in Seoul. The class of every session was recorded with the participants’ consent. After the class, the individual in-depth interview was recorded and transcribed. In-depth interview was consisted of open-ended, structured questions. And it’s a qualitative case study which examines research findings based on comprehensive understanding of specific cases. After collecting qualitative research data like observation and interview, the research process was designed based on Wolcoott’s structure: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n, the collected data was processed with open coding and categorized as upper category and sub-category for interpretation. Analysis results came up with 4 upper categories and 9 sub-categories. And the classification was as follows. An upper category, ‘self-cognition’ fell into sub-category, ‘the elderly’s recognition’ and ‘self-evaluation’; ‘inner expression’ fell into ‘mental psychological stability’ and ‘anxiety and fear’; ‘confidence’ fell into ‘the will to learn’, ‘sense of accomplishment’, ‘interest in the art’; ‘interaction with others’ fell into ‘positive re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researcher.’ Based on research findings, the self-esteem in the elderly who experienced the art education program as lifelong education were as follows. First, the art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helped elderly learners to recognize their positive self, which naturally confirms that communication with others leads to their participation in the social activities. Second, the art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helped elderly learners to experience a sense of accomplishment continuously and improve their will to learn the art activities. When comparing the before and after they attended the art education program, they’re confident to continue the art activities as they’ve experienced, which indicates that their confidence improved with experience in the art activities. To sum up the findings and conclusion, the lifelong education increased the elderly learner’ satisfaction with their life and to inspire their will to continue learning. Moreover, this study discovered that the art education as lifelong education helped them to experience a sense of accomplishment and will to learn and realize their value and increase positive self-esteem. This study successfully reached conclusion that it’s required to carry out study considering the elderly learners’physical and mental changes taking educational approach, as the art education used to target children and the art education for the elderly was deemed as apart of leisure or therapy. It’s expected to see this study could be used in the field of the art education targeting seniors so that it could improve their life quality as lifelong education in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