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6 Download: 0

정크아트를 활용한 환경미술수업이 학습자의 환경감수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Title
정크아트를 활용한 환경미술수업이 학습자의 환경감수성 함양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Environmental arts Classes Using Junk Art on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the 1nd Graders in Middle School
Authors
이윤정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Abstract
자연환경은 산업화, 도시 및 인구의 증가에 비례하여 급속도로 파괴되어왔다. 자연파괴와 환경오염 문제는 단지 작은 사회의 문제가 아닌 전 지구적 규모의 문제로서 인간이 자연과 공존하기 위해선 보다 깊은 문제인식과 해결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후손들에게 생명이 기댈 수 있는 자연을 물려주기 위해 더 이상 인간은 자연파괴와 환경오염을 방치하지 않고 자연과 함께 공존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며 지혜를 발휘해야한다. 즉 인간의 삶은 자연에게 기대어 사는 삶이 아닌 자연과 공존하며 살아가는 삶이란 것을 인식하고 우리 환경의 문제에 귀를 기울여야 한다. 환경문제는 현상적으로는 자연과학적 연구 대상이지만, 그 본질에 있어서는 의사결정에 기초한 사회구조적인 기제 속에서 발생하므로, 이에 대한 해결은 인간의 의식과 행동 체계를 다루는 교육에서 찾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경문제 해결과 예방을 위한 실천적 행동을 유도하기 위해서는 단순한 지식 전달의 차원에서 벗어나 환경의식의 전환과 더불어 가치관과 감수성 형성을 포함하는 접근이 이루어져야한다(이수연, 최종식, 문지원, 2012). 따라서 학생들에게 단순한 지식전달과 과학적 기술적 차원에서의 교육을 전달하는 것이 아닌 교육을 통해 환경 문제를 인식시키고 환경감수성을 함양시켜 환경에 대한 올바른 인식을 갖춘 시민으로 양성할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환경 교육은 미래를 살아갈 학생들을 위해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하는 교육이며 범교과적으로 관심을 가져야 할 필요가 있는 교육이다(박소영, 1999). 미술교과는 창의성과 감수성을 함양시키는 데 효과적일 뿐만 아니라 자연과의 조화를 도모하면서 개념습득 중심의 인지적 영역을 강조하는 우리나라 환경교육의 한계점을 충족시킬 수 있는 교과로 환경교육에서의 활용을 기대해볼 수 있다. 또한 오늘날의 미술교육은 단순히 종이와 물감, 크레파스 등에서 나아가 다양한 주제와 재료를 사용하며 장소 또한 교실이나 미술실에 국한되지 않는다.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봤을 때 학생들은 환경미술을 통해 자연을 직접 경험하고 탐색하는 것뿐만 아니라 미적인 시각으로 주변을 인식하고 표현해보면서 환경 감수성 의 함양을 기대해볼 수 있다. 그러나 환경미술교육을 통해서 자연을 직접 경험하고 탐색하면서 자연의 소중함을 인식시키는 것과 함께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점은 실생활에서의 환경오염예방을 위한 실천을 도모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다. 따라서 환경오염에 대한 인식과 함께 실천까지 나아갈 수 있도록 하는 의미 있는 환경미술교육을 실행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학습 환경뿐만 아니라 주제와 도구를 적절히 선택해야할 것이다. 정크아트는 산업화와 도시화의 반발로 나타난 미술이라는 점, 버려진 물건을 재료로 이용한다는 점에서 환경감수성을 함양시키는 것에 효과적인 도구가 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자들이 환경미술교육을 통해 삶 속에서 자연의 소중함을 인식하며 환경에 대한 올바른 가치관과 인식을 갖추고 나아가 환경감수성을 함양하는 것의 교육적 필요성을 느껴 정크아트를 활용한 환경미술수업을 6차시의 학교 수업 프로그램으로 개발 및 운영하였다. 이 수업은 인간과 자연의 공존이 삶에서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한다는 관점에서 출발하였으며 ‘정크아트로 살리는 멸종위기동물’ 학습 활동을 통해 환경오염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활동 끝에서 환경감수성을 함양하고 일상 속에서의 환경을 위한 실천을 이끌어내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중심으로 정크아트를 활용한 환경미술 수업을 설계를 함으로써 정크아트의 교육적 활용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본 연구가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 방법 및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크아트와 환경미술교육에 대한 문헌 조사 및 선행 연구를 고찰해봄으로써 개념과 특성 및 교육적 활용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을 도출한다. 둘째, 2015 교육과정 및 교과서 분석을 통해 환경교육에 대한 관점과 인식을 분석하였다. 셋째, 정크아트를 활용한 환경미술수업을 위해 ‘정크아트로 살리는 멸종위기동물‘을 활동 주제로 설정하였다. 이에 따라 학습 목표 및 평가 계획을 수립하고 수업 활동의 흐름과 세부 교수·학습 지도안을 설계하였다. 넷째, 경기도 파주시에 소재한 S중학교 한 학급에 이재붕, 이두곤(2006)이 개발한 환경감수성 검사도구로 사전 검사를 실시하였고, 정크아트를 활용한 환경미술수업을 진행 한 후 동일 집단에 환경감수성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다섯째, 사전·사후 검사로 수집된 환경감수성 검사 자료는 SPSS Ver 26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test로 검증분석 하여 본 프로그램의 유의미성을 파악하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분석한 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정크아트를 활용한 환경미술 수업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의 환경감수성 전체 총점은 사전·사후 검사 결과를 대비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대응표본 t-test 검증 결과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확인했다. 둘째, 연구의 환경감수성 역량인 자연환경, 자연환경에서의 활동, 인공환경, 환경파괴, 환경오염 중 한가지 요인을 제외하고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통계적 결론을 분석해 봤을 때 종합적으로 본 연구에 참여한 실험집단의 사후 환경감수성의 평균이 향상되었으므로 본 프로그램의 설계에 대한 검증이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환경미술수업을 통해 학습자 스스로 자연과 환경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발견하고 그 심각성을 인지하며, 적극적으로 이를 해결하고자 하는 행위의 주체자로서 발전해나갈 수 있는 능력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었다. 나아가 본 연구가 주변 환경 및 자연에 대한 올바른 인식과 인간과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통해 환경감수성의 함양과 삶에서의 주도적인 문제해결실천으로 연결되는 것에 기여하기를 기대하며 자연에 대한 인식과 환경의 소중함을 인식하게 하는 교육적 도구로 널리 활용되는 데 일조하기를 바란다.;The natural environment has been rapidly destroyed in proportion to industrialization and urban and population growth. Nature destruc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are not just problems of a small society, but problems of a global scale, and human beings need to be aware of deeper problems and try to solve them to coexist with nature. In addition, to pass on nature to future generations where life can depend, humans should no longer leave natural destruc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unattended and seek ways to coexist with nature and exercise wisdom. In other words, we should recognize that human life is not a life that relies on nature, but a life that coexists with nature and listens to the problems of our environment. Environmental problems are phenomenally subject to natural and scientific research, but in their essence, they arise under a decision-based socio-structural mechanism, so it is desirable to find solutions in education that deal with human consciousness and behavioral systems. To induce practical actions to solve and prevent environmental problems, an approach that involves shifting environmental awareness and forming values and sensibilities should be taken away from simple knowledge transfer (Lee Soo-yeon, Choi Jong-sik, Moon Ji-won, 2012).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recognize environmental problems and foster environmental sensitivity to foster citizens with proper awareness of the environment through education, rather than simply conveying knowledge and education at the scientific and technical level. Therefore, environmental education is an education that should be treated as important for students who will live in the future and needs to be treated as a pan-textual interest (Park So-young, 1999). The art curriculum is not only effective in fostering creativity and sensitivity but it can also be expected to be used in environmental education as it can meet the limita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in Korea, which emphasizes cognitive areas centered on concept acquisition. Today's art education also uses a wide variety of subjects and materials, beyond paper, paints, crayons, and places are not limited to classrooms or art rooms. In this regard, students can not only experience and explore nature directly through environmental art, but also expect to develop environmental sensitivity by recognizing and expressing the surroundings from an aesthetic perspective. However, through environmental art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nature while experiencing and exploring nature directly and to develop the ability to practice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in real life. Therefore, to implement meaningful environmental art education that allows us to move forward with an aware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we need to select topics and tools as well as a learning environment. Junk art has the advantage of being an effective tool for cultivat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in that it is an art that emerged as a backlash from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and the use of discarded goods as materials. In response, this researcher developed and operated environmental art classes using junk art as a sixth school program because learners felt the educational need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nature in life, have the right values and perceptions of the environment and foster environmental sensitivity. This class started with the view that coexistence between humans and nature should be treated importantly in life and focused on recognizing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pollution through "endangered animals saved by junk art" learning activities, cultivating environmental sensitivity at the end of the activity, and leading practice for the environment in everyday lif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educational use of junk art by designing environmental art classes for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verify the impact of this study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or achieving this research objective are as follows. First, by considering literature investigations and prior research on junk art and environmental art education, we explore concepts,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utilization methods and derive the need and direction of research. Second, we analyze perspectives and perceptions of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the 2015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Third, for environmental art classes using junk art, 'endangered animals saved by junk art' was set as the theme of activities. Accordingly, learning goals and evaluation plans were established and detailed teaching and learning guidance were designed. Fourth, a class at S Middle School in Paju, Gyeonggi Province, was pre-examined with an environmental inspection tool developed by Lee Jae-bung and Lee Doo-gon (2006), and conducted an environmental art class using junk art before conducting an environmental inspection. Fifth, environmental sensitivity test data collected by pre-and post-inspection were verified and analyzed with a response sample t-test using the SPSS Ver 26 statistical package program to identify the significance of this program and draw conclusion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pre-and post-test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environmental art class program using junk art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compared to the pre-and post-test results, and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verification results showed significant effects. Second,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except for one factor: environmental sensitivity capabilities of the study: natural environment, activities in the natural environment, artificial environment, environmental destruction, and environmental pollution. Therefore, statistical conclusions are analyzed and the verification of the design of this program is confirmed as the mean of post-environmental sensitivity of the experimental groups participating in this study is improved comprehensively. This study aims to develop the ability of learners to discover problems arising in nature and the environment by themselves, recognize the seriousness, and actively develop as agents of their efforts to solve them through environmental art classes. Furthermore, we hope that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leading problem-solving practices in life through the understanding of the right perception of surroundings and nature and relationships with huma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