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422 Download: 0

온라인 전시 감상교육의 질적제고를 위한 교사의 VTS 인식 연구

Title
온라인 전시 감상교육의 질적제고를 위한 교사의 VTS 인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eacher's VTS Perception to Improve Quality of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Education
Authors
유정원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이삭
Abstract
This study began by paying attention to changes in the role of teachers in responding to the changed educational environment due to unprecedented pandemic situations. As untact classes continue online, the importance of teachers' ability to develop educational content and use online platforms is being highlighted for effective online classes (Ministry of Education, 2020). This means that the role of teachers is becoming more important in online education. While everything has changed due to Covid-19, art subjects should also conduct sentimental education in an untact-era way. As a result, the school conducted a teacher's perception study for effective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classes, and examined teacher's perception through VTS appreciation method, which is effective for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this process, schools sought ways to revitalize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education using VTS appreciation method and to enhance the quality of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the first online questionnaire and the second untact in-depth interview due to the Pandemic situation, with 30 high school art teachers nationwide distributed and retrieved from November 9, 2020 to November 19, 2020. The questionnaires and in-depth interview questions were compared and analyzed by the Institute of Curriculum and Evaluation to form a survey area by extracting common areas, and detailed questions were reconstructed by researchers based on the 2015 Revised Art and Curriculum.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21 questions in a total of five areas, and was produced after being reviewed by three experts in art appreciation and education and a Ph.D. in pedagogy. The analysis method used the SPSS 25.0 version statistics program, and the questions identifying the status and requirements were identified through frequency analysis. The derivation of significant differences for each question according to the teacher's VTS perception was conducted by cross-analysis. Experiments confirmed that teachers' perception of VTS influenced the implementation of sentimental education, and that high school art teachers' understanding of VTS appreciation methods was low, but teachers' perception of VTS was positive. Providing teachers with VTS teaching-learning methods or supporting teacher training has ample room for improvement in teachers' perception of VTS, which can be expected to lead to high-quality high school art appreciation education. Teachers also had a strong will to use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education as an alternative to visiting art galleries and museums in person, and demanded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guidance education to revitalize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 of teacher's VTS recognition research to enhance the quality of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education is as follows. First, an effective VTS appreciation method is suitable for developing visual literacy as an effective teaching method for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in schools in the untact era, which requires improvement in teacher's perception of VTS. Second, teacher's perception of VT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professionalism of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education and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education. This suggests that professional training for art teachers should continue to be provided to improve teacher's VTS awareness. To sum up this conclusion, appreciation education using online exhibitions is inevitable in schools in the Untact era, and teachers need professional awareness of VTS appreciation methods for effective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education. Securing teacher's expertise in VTS appreciation methods will lead to quality improvement in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education, which requires professional training for art teachers. This study identified the status of high school art teacher's VTS awareness and online exhibition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online surveys and untact in-depth interviews due to Covid-19, and noted the teacher's role in VTS appreciation methods. Based on this study, we hope that research on teacher awareness in art appreciation education will be expanded to provide an environment in which quality art appreciation education can be provided in the field of education.;본 연구는 유래 없는 팬데믹 상황으로 달라진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교사의 역할 변화에 주목하며 시작되었다. 온라인을 통한 비대면 수업이 지속 됨에 따라 효과적인 온라인 수업을 위해 교사의 교육 컨텐츠 개발 및 온라인 플랫폼 활용 능력의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교육부, 2020). 이는 온라인을 활용한 교육에서는 교사의 역할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음을 의미한다. 코로나 19로 인하여 모든 것이 변화한 가운데 미술 교과 또한 언택트 시대의 방식으로 감상교육을 진행해야 한다. 이에 미술관 및 박물관의 온라인 전시를 활용한 감상수업의 필요성을 느껴 학교에서 효과적인 온라인 전시 감상수업을 위한 교사의 인식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온라인 전시 감상교육에 효과적인 VTS 감상법을 통해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학교에서 VTS 감상법을 활용한 온라인 전시 감상교육의 활성화 방안 및 온라인 전시 감상교육의 질적 제고 방안을 모색하였다. 본 연구는 팬데믹 상황으로 인해 1차 온라인 설문지와 2차 비대면 심층면담으로 진행되었으며, 1차 온라인 설문의 참여자는 전국의 고등학교 미술교사 30명으로 2020년 11월 9일부터 2020년 11월 19일까지 구글 설문지로 배포 및 회수되었다. 설문지와 심층면담 문항은 교육과정평가원의 교사 인식 및 실태 파악 연구를 비교 분석하여 공통된 영역을 추출하여 설문 영역을 구성하였고, 세부 문항들은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기초한 감상교육에 대한 교사 인식 선행연구의 설문 문항들에 기초하여 연구자가 재구성하였다. 설문지는 총 5개 영역에 21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미술 감상교육 전문가 3인과 교육학 박사 1인의 검토를 받아 제작되었다. 분석방법은 SPSS 25.0 버전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였으며 현황과 요구도를 파악하는 문항들은 빈도 분석을 통해 수치를 파악하였다. 교사의 VTS 인식에 따른 각 문항별 유의미한 차이 도출은 교차분석으로 진행하였다. 실험에서 교사의 VTS 인식이 감상교육 실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고 현재 고등학교 미술교사들의 VTS 감상법에 대한 이해는 낮지만, VTS에 대한 교사들이 인식이 긍정적임을 확인 할 수 있었다. 교사들에게 VTS 교수-학습방법 제공 혹은 교사 연수를 지원한다면 교사들의 VTS 인식이 개선될 여지가 충분히 있으며, 이는 양질의 고등학교 미술 감상교육 실행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음을 예상할 수 있다. 또 교사들은 미술관 및 박물관을 직접 방문하여 전시를 감상하는 것에 대한 대안으로 온라인 전시 감상교육 활용할 의지가 강하였으며 온라인 전시 감상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온라인 전시 감상 지도법 교육을 요구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온라인 전시 감상교육의 질적 제고를 위한 교사의 VTS인식 연구의 결론을 내리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언택트 시대의 학교에서 효과적인 온라인 전시 감상을 위한 교수방법으로 시각적 문해력을 기르는데 효과적인 VTS 감상법이 적합하며, 이를 위해서는 교사들의 VTS 인식 개선이 필요하다. 둘째, 교사들의 VTS 인식은 온라인 전시 감상교육 실행과 온라인 전시 감상교육의 전문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에 교사들의 VTS 인식 개선을 위해서는 미술 교사 대상의 전문적인 연수가 지속적으로 제공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하면, 언택트 시대의 학교에서 온라인 전시를 활용한 감상 교육은 필연적이며, 교사들은 효과적인 온라인 전시 감상교육을 위해 VTS 감상법에 대한 전문적인 인지가 필요하다. VTS 감상법에 대한 교사의 전문성 확보는 온라인 전시 감상교육의 질적 향상으로 이어질 것이며 이를 위해 미술 교사 대상의 전문 연수가 제공되어야 함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코로나 19로 인해 온라인 설문과 비대면 심층면담으로 고등학교 미술교사의 VTS 인식과 온라인 전시 감상교육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고, VTS 감상법에서 교사의 역할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를 토대로 미술 감상교육에서 교사 인식에 대한 연구가 확장되어 교육 현장에서 양질의 미술 감상교육이 제공될 수 있는 환경이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