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1 Download: 0

수용미학 관점에서 와유적 감상법을 적용한 산수화 감상지도 방안

Title
수용미학 관점에서 와유적 감상법을 적용한 산수화 감상지도 방안
Other Titles
A Method for Appreciation of Landscape Painting from the Perspective of Acceptance Aesthetics by Applying the Appreciation Method called‘Wa-yu' : For the First year of Middle School
Authors
남혜승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이삭
Abstract
현대사회는 이미 많이 진행된 정보화와 세계화 속에서 질적인 변화를 경험하며, 우리는 다원적인 사회에서 다양한 시각 정보를 접하며 살아가고 있다. 따라서 시각 정보를 주체적으로 선택하여 받아들이는 시각언어 교육이 중요해졌다. 또한 하나의 관점에서 수용하는 것이 아닌 다양성에 대해 인정하며 다각도로 받아들이는 태도가 필요하다. 따라서 미술교육에서는 오늘날의 문화를 비판적인 시각에서 받아들이면서 다양성을 수용하는 방법을 길러주어야 한다. 교과부에서 제시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공통 교육과정에서 다양한 미술 활동을 통하여 대상을 감각적으로 인식하고 느낌과 생각을 창의적으로 표현하며, 미술작품의 가치를 판단함으로써 삶 속에서 미술 문화를 향유 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을 목표로 두고 있다(교과부, 2015). 미술 문화를 향유 하는 데 중요한 미술 감상교육에 대한 필요성은 점점 증대되었으며 미술교육의 흐름에서도 이미 제 6차 교육과정부터 DBAE이론의 등장에 따라 미술 감상교육의 필요성을 재인식하기 시작했다. 그러나 감상의 교육적 의미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은 높아지게 된 반면, 교육현장에서는 작품에 대한 지식과 판단을 교사로부터 학생들이 수용하는 획일적인 지식전달 학습이 이루어졌다. 교사에 의한 주입식 감상교육은 시각적 홍수에 따른 다양한 문화를 접하며 살아가는 학생들을 문화의 주체적인 계승자로 살아갈 수 없도록 한다. 따라서 학습자가 스스로 시각 문화와 같은 이미지를 읽어내는 힘을 길러주는 감상방법에 대한 다양한 연구의 필요성이 요구된다. 이에 대해, 본 논문의 연구자는 학습자가 다양성을 받아들이며 주체적인 시각을 기르기 위해 수용미학에 주목하며 수용미학 관점에서의 감상교육이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수용미학의 기본적 개념은 예술작품의 의미가 작가의 의도와 작품 내부의 구조 속에 감춰져 있는 것이 아닌 작품과 수용자의 상호작용으로 재생산된다는 것이다. 현재까지 미술 감상교육은 작가와 작품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현시대 상황에 맞는 수업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수용미학에서 말하고 있는 독자로의 이행과 같이 미술 감상교육에서는 감상자, 즉 학습자에게로 초점을 옮겨 학습자의 반응을 중시함으로써 학습자가 주체적인 삶을 영위하기 위한 능동적인 인식태도를 육성할 수 있을 것이다(정명희, 2017). 수용미학에 대한 연구는 주로 교사의 일방적인 지식 전달식의 감상교육에 대한 반성으로 수용미학적 감상교육을 제안한 연구들이 이루어졌다. 1960년대 문학계에서 소개된 이래로 수용미학을 교육 현장에 구체적으로 적용하고 활용하는 방안에 대한 연구에 대해서 더 많은 연구가 필요하며 현재 수용미학의 장점을 미술 감상의 영역까지 확대하였다. 그렇지만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데 있어서 수용미학의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아레나스의 대화중심 감상, 역할극을 통한 감상, 스토리텔링, 모사 및 패러디와 같이 서구의 감상 방법을 접목한 교육적 효과에 관한 연구들은 꾸준히 이루어져 왔으나 동양의 시각과 관점을 적용한 감상은 그리 많지 않은 실정이다. 또한 수용미학을 적용한 감상교육의 대상이 되는 예술작품도 전통미술을 다루는 논문의 비중은 매우 적으며, 대부분이 서양의 미술사 작품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이에 대해 동양의 미술을 감상하기 위한 동양의 관점에서의 구체적인 방법론으로 종병의 와유적 감상을 활용한 방법을 제안하며 수용미학과 와유적 감상에 대한 적용 가능성 및 접점과 이를 적용한 감상 수업이 미술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두 방법론은 감상자의 역할을 강조하며 주체적이고 능동적인 미적 안목을 길러줄 수 있다는 점에서 접점을 찾아볼 수 있다. 이외에도 이론적 측면, 실제적 측면 그리고 방법론적 측면에서 유사점을 찾아볼 수 있다. 본 연구 범위는 산수화를 대상으로 한다. 산수화에는 동양의 미적인 감각과 동양의 정신이 담겨 있기에 산수화 감상을 통해 이해할 수 있으며, 산수화는 자연에 대한 선조들의 사상과 전통적인 가치관을 반영한다. 또한 산수화에는 시대적 흐름에 따라 각 시대의 문화적이고 역사적인 특징이 가장 잘 반영되어 있다. 따라서 산수화 감상을 통해 우리 문화예술을 이해하며 그 속에 담긴 전통의 고유성에 근간을 둔 독자적인 문화를 느낄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수용미학 관점에서의 와유적 감상법을 통해 학습자로 하여금 감상 능력을 기르며 문화적 정체성을 세워 우리의 미술에 대한 자부심을 가질 수 있도록 한다. 더 나아가 주체적인 우리의 문화를 창조하는 밑거름이 되는 연구 자료를 제공할 것이다. 이를 정리하면 연구에서는 중학생을 중심으로 수용미학 관점에서의 와유적 감상법을 적용한 산수화 감상수업을 설계함으로써 효과적으로 미술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교육적 활용 방법을 제안하며, 수용미학 관점에서 와유적 감상법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미술 작품 감상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총 6차시 수업이 진행된 연구 방법과 절차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미학과 와유적 감상법 및 산수화 감상에 대한 문헌 조사 및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각 개념과 특징 및 교육적 함의에 대해 살펴본 결과를 통해 연구의 필요성과 방향을 설정하였다. 둘째, 2015 개정 중학교 미술 교과서의 산수화 관련 도판을 중심으로 하여 14종 중학교 미술과 교과서 분석을 진행하였다. 셋째, 수용미학 관점에서의 와유적 감상법을 적용한 산수화 감상수업을 위해 ‘산수화 속 여행, 와유적 감상법’을 수업 주제로 설정하였다. 연구 수업 주제에 따라 학습목표와 평가 계획을 설계하였으며 교수-학습 과정의 흐름도와 세부 교수-학습 지도안을 계획하였다. 코로나19로 인해 대면 수업이 어려워 Google Classeroom을 활용하여 총 6차시의 온라인 영상을 통해 언택트(Untact)로 연구를 설계하였다. 다섯째, 서울특별시에 소재한 Y중학교 한 학급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서은정(2018)이 개발한 감상능력 측정을 위한 검사도구로 사전 검사를 진행하고 수용미학 관점에서의 와유적 감상법을 적용한 산수화 감상 수업을 진행한 후 동일한 집단을 대상으로 감상능력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여섯째, 사전·사후 검사로 수집된 감상능력 자료는 SPSS Ver21.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한 대응표본 t-test로 검증분석을 하였으며 본 연구의 유의미한 결과를 도출하였다. 일곱째, 수업만족도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얻었기에 연구에 대한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이와 같은 연구 절차를 통한 본 연구의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용미학 관점에서의 와유적 감상법을 적용한 산수화 감상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미술 작품 감상능력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전체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대응표본 t-test 결과 통계적으로 본 연구의 유의미한 결과를 검증하였다. 둘째, 미술 작품 감상능력의 하위항목 중 ‘내용 탐색’이 가장 높은 향상도를 보였으며, 다음으로는 ‘작품 감상 태도 변화’, ‘가치판단’ 순으로 높은 향상도를 보였다. 본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수용미학 관점에서의 와유적 감상법을 적용한 산수화 감상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미술 작품 감상능력에서 전체 영역과 하위항목의 사후 검사결과가 통계적으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수업만족도의 개방형 질문에 대한 응답으로 ‘본 수업을 통해 생소한 산수화에 대해 관심이 생겼으며, 이를 감상하는 방법에 대해 알 수 있었다.’는 응답과 ‘감상에 있어 다양한 방법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는 답변을 통해 수용미학 관점에서의 와유적 감상법을 적용한 산수화 감상수업이 감상 태도 및 감상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수용미학 관점에서의 와유적 감상법에 대한 이해를 통해 산수화를 지적인 이해뿐만 아니라 감성적인 이해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한 가지 관점으로 감상하여 어렵게 느끼는 것이 아닌 감상에 다양한 방법이 있다는 것을 인지하고 자신의 경험과 관점으로 적극적인 감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가 학습자로 하여금 학교를 벗어난 생활 속에서 미술 작품을 주체적으로 즐기며 더 나아가 다양한 시각 문화를 향유하는 것이 삶에 있어 큰 위로로 작용하길 기대한다. 감상자인 학습자가 능동적으로 작품을 감상할 수 있는 다양한 감상교육 방법론에 대한 연구와 와유적 감상법과 같은 동양의 철학과 사상을 바탕으로 우리 민족의 정신적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감상 방법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이루어지길 바란다. ;Modern society experiences qualitative changes in the already advanced information and globalization, and we live in a pluralistic society with various visual information. Therefore, visual language education that accepts visual information independently has become important. In addition, we need an attitude that accepts diversity from a variety of perspectives, not from a single perspective. Therefore, art education should foster ways to embrace diversity by taking today's culture from a critical perspective.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ims to develop the ability to sensibly recognize objects, express feelings and thoughts creatively through various art activities, and to enjoy art culture in life by judging the value of artworks (Department of Education, 2015). The need for art appreciation education, which is important for enjoying art culture, has increased, and the flow of art education has already begun to re-recognize the need for art appreciation education with the advent of the DBAE theory. However, while awareness of the importance of the educational meaning of appreciation has increased, uniform knowledge transfer learning has been conducted in the educational field, where students accept knowledge and judgment of works from teachers. Injective appreciation education by teachers shall prevent students living in contact with various cultures due to visual flooding from living as independent successors of culture. Therefore, the need for various studies on how to appreciate the ability of learners to read images such as visual culture themselves is required. In response, the researchers in this paper noted that appreciation education from an acceptance aesthetics perspective can be an effective way for learners to accept diversity and develop their own perspective. The basic concept of receptive aesthetics is that the meaning of the artwork is not hidden in the artist's intention and the structure inside the work, but is reproduced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work and the acceptor. To date, art appreciation education has focused on artists and works. However, for contemporary classes to take place, art appreciation education, such as the transition from receptive aesthetics to readers, will be able to foster active awareness attitudes for learners to lead independent lives (Jeong Myung-hee, 2017). Studies on receptive aesthetics have been conducted mainly by suggesting receptive aesthetics education as a reflection on teachers' unilateral knowledge transfer. Since its introduction in the literary world in the 1960s, more research has been needed on how to apply and utilize receptive aesthetics specifically to educational sites, and the current benefits of receptive aesthetics have been extended to the realm of art appreciation. However, studies on the educational effects of Western methods of appreciation, such as Arenas' dialogue-oriented appreciation, role-playing, storytelling, imitation, and parody, have been consistently conducted as a concrete method of appreciating works of art, but not many. In addition, artworks subject to appreciation education applied with receptive aesthetics are very small in the proportion of papers dealing with traditional art, and most of them focus on Western art history works. In response, we would like to propose a specific methodology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rient to appreciate oriental art, and explore the applicability and contact point of acceptance aesthetics and heritage appreciation, and the impact of the applied appreciation classes on art appreciation. The two methodologies emphasize the role of the appreciator and provide an independent and active aesthetic perspective. In addition, similarities can be found in theoretical, practical, and methodological aspects. The scope of this study is aimed at landscape paintings. Landscape paintings can be understood through appreciation of landscape paintings because they contain the aesthetic sense of the East and the spirit of the East, and landscape paintings reflect the ancestors' ideas and traditional values about nature. In addition, landscape painting best reflects the cultural and historical characteristics of each era according to the trend of the times. Therefore, visitors can understand Korean culture and art through the appreciation of landscape paintings and feel its own culture based on the uniqueness of the tradition contained in it. Therefore, in this study, the method of appreciation of relics from an acceptance aesthetic perspective allows learners to develop their appreciation skills and build cultural identities to take pride in our art. Furthermore, we will provide research underlying the creation of our own culture. In summary, the research proposed an educational method to effectively appreciate art works by designing a landscape appreciation class that applied acceptance appreciation method from an acceptance aesthetic perspective, and to verify the impact of acceptive appreciation method on the art appreciation ability of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or the sixth class were as follows. First, we analyze the literature investigation and prior research on receptive aesthetics and relics appreciation and landscape appreciation to establish the need and direction of the study through the results of examining each concept, feature, and educational implications. Second, the analysis of 14 middle school art and textbooks was conducted focusing on the landscape-related drawings of the 2015 revised middle school art textbook. Third, the theme of the lecture was "Travel in landscape paintings by applying method called 'Wa-yu'" for the landscape appreciation class, which is applied with the method of appreciation of Wa-yu from the perspective of receptive aesthetics. We designed learning objectives and evaluation plans based on research class topics, and planned a flowchar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detailed teaching-learning guidance. Due to Covid-19, face-to-face classes were difficult, so Google Classeroom was used to design research with Untact through online video. Fifth, students at Y Middle School in Seoul were pre-examined with an inspection tool developed by Seo Eun-jung (2018), followed by a landscape appreciation class applied with the method of appreciation in terms of receptive aesthetics, and conducted a post-examination of the same group. Sixth, the sentimental data collected by pre- and post-inspection were verified with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using the SPSS Ver21.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significant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Seventh, the effectiveness of the study could be verified because positive results were obtained for class satisfacti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rough such research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of pre- and post-examination of the art appreciation ability of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landscape appreciation class applied with aqueous aesthetics perspective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overall, and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results statistically verified the significant results. Second, "content exploration" showed the highest improvement among the sub-categories of art appreciation ability, followed by "change in the attitude of appreciating works" and "value judgment." Overall,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landscape appreciation class, which applied aqueous appreciation method from an acceptance aesthetic perspective, significantly improved the post-examination results of both the entire area and sub-items in the art appreciation ability of the first grade of middle school. In addition, in response to the open question of class satisfaction, I became interested in unfamiliar landscape painting through this class, and I found out that there were various ways to appreciate it. The answer confirmed that the landscape appreciation class, which applied the method of appreciation of relics from the perspective of receptive aesthetics, had a positive impact on appreciation attitude and appreciation ability. In this study, learners can understand landscape paintings as well as intellectual understanding through understanding of the method of appreciation of relics from an acceptance aesthetic perspective. It also recognized that there are various ways to appreciate, rather than feeling difficult, from one perspective, and allowed active appreciation activities from one's own experience and perspective. Through this research, it is hoped that learners will enjoy artworks independently in their lives outside of school and further enjoy various visual cultures will be a great comfort in life. We hope that there will be continuous research on various appreciation education methods that allow learners to actively appreciate works and appreciation methods that can properly understand the spiritual culture of our people based on Eastern philosophy and ideas such as relics appreciation method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