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09 Download: 0

대안적 교육관과 교육실천에 대한 사례연구

Title
대안적 교육관과 교육실천에 대한 사례연구
Other Titles
A Case Study on Alternative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Practices
Authors
이은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The current trend in Korean education is an ever increasing emphasis on raising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a highly competitive environment. In this culture where high grades and elite university education are the only paths to successful careers students are getting exhausted, both mentally and physically. Due to this emphasis on high grades students suffer from constant anxiety and helplessness. This in turn leads to school violence and rising private education bills. Thus, the entire Korean society suffers from this educational and social problem. On numerous occasions these issues have been raised. Many supplementary or alternative measures have been proposed and implemented, but substantive changes have been difficult to achieve. This is because the educational problem is closely interlinked with the very structure of the Korean society. In spite of these challenges we must continue to search for potential ways to bring positive changes. If some high-minded teachers, through self-reflection, are able to develop and refine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put into practice this would be a kernel of potential for chang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what these alternative educational perspectives are and how they are put into practice. To carry out this study I selected four alternative school teachers who are working diligently to bring positive changes. It is true that potential for change can also be seen through teachers in regular schools or innovative schools within the regular school system. I chose to examine alternative school teachers since they operate in a more autonomous environment compared to regular school teachers. As they are not bound by the government’s educational directives they can operate in a more flexible manner and have less administrative burden. To conduct this study I set out four big questions. First, what are the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actual practices of the subject alternative school teachers? Second, what are the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actual practices? Third, what are the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 strong linkage between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actual practices? Fourth, what conflicts are experienced by them when they put their education viewpoints into practice? This is a qualitative case study based on the above questions. As a qualitative study I focused on the subject teachers’ distinctiveness and the current environment they operate in. By listening to them and seeing them in action I was able to get an “as is” picture of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actual practices. Over a period of 30 months from October of 2018 to March of 2021 I held in-depth interviews, sat in on their classes, and participated in seminars with them. The results of my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teachers believed in an education where teachers and students focus on each student’s discovery of “one’s self”. Specifically, Teacher A, who teaches Korean, believes that interaction is the key to a natural organic growth of students. He therefore focuses on oral and written communication as a way to nurture the literary genius in her students. Teacher B’s educational perspective is based on existential meeting of minds. He believes that a strong teacher-student bondage is essential in nurturing students to become balanced human beings. By reading classics together the teacher becomes a companion rather than a teacher. This way the teacher-student team works together in their search for truth. Teacher C focuses on students’ “self-actualization”, with the teacher playing the role of a gardener. To achieve self-actualization Teacher C encourages students to actively lead discussions and debates, and eventually to choose how to live. Somewhat similar to Teacher A, Teacher C holds an organic growth perspective on education. Teacher D develops a close human relationship with his students, as if he and they were all friends. He runs programs which combine study, work, and play. Teacher D believes that such combined programs lead to a sound mind and body. Somewhat similar to Teacher B, Teacher D holds an existential meeting of minds perspective on education. Second, there were two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All the teachers had a deep understanding of humanity and treated each student as a valuable being.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encompassed a philosophical belief that each student had to first develop one’s self-identity and learn to lead one’s own life. There were also two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ir education practices. The teachers and their students truly communicated with each other in an open, horizontal, and interactive environment. The subject matters being taught were closely related to students’ everyday life and gave them practical benefits. Third, their educational perspectives and actual practices were closely linked together by three factors: (i) all the teachers had a close relationship and a high level of trust with their students, (ii) their education was “alive’ in the sense that their teachings were not based on textbooks and were derived through lively discussions, and (iii) all the teachers constantly reflected on their perspectives and searched for improvements. Fourth, educational philosophy has to start from treating each student as a being with dignity. The educational perspectives based on treating each student as a valuable being with unlimited potential can be the starting point for a better educational purpose, educational direction, and curriculum. Th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were much more focused on a lively process of learning practical things for their daily lives. This shows that various educational practices are possible. In conclusion, the core of education begins with a student who should be treated with concern and respect. The learning process should be led by both the teacher and the student. The alternative school teachers’educational perspectives and their actual practices could be the kernel of change for a better education system. ;우리나라의 학교 교육은 능력과 업적 등을 강조하여 학력 경쟁을 부추기는 경향이 점점 심해지고 있다. 학력과 학벌을 중시하는 풍조는 주입식 일변도의 수업과 입시 위주의 교육으로 이어지고 있으며, 이러한 경쟁적이며 획일적인 교육환경에서 학생들은 좋은 성적 얻기에만 몰두하며 정신적, 육체적으로 지쳐가고 있다. 학생들의 만성적인 불안감 및 무력감뿐만 아니라 학교폭력, 사교육비의 증가 등과 같은 교육적, 사회적 문제도 야기되고 있는 현실이다. 이러한 교육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끝없는 보완과 대책이 제시되어 시행되고는 있지만, 부분적인 해결에 그침으로써 교육상황이 쉽게 바뀌지 않고 있다. 교육적 문제는 정치 및 경제적 문제, 사회 제도와 구조적 요인, 사회적 인식의 문제 외에 문화 전통적 요소 등 다양한 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연결되어 있어서 해결하기가 쉽지 않은 난제이다. 이에 연구자는 일차적으로 교육 내적인 요인에서부터 문제해결의 방안을 찾아보고자 하였다. 무엇보다도 교육 현장 일선에서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의 교육관과 이에 기초한 그들의 교육실천적 행위가 상당히 중요하다는 점에 주목하였다. 왜냐하면, 학생들과 직접 접촉하고 소통하며 학생들의 생활에 깊숙이 작용하면서 영향을 주는 교사들이 어떠한 교육관을 지니고 현장에서 어떻게 이에 기초한 구체적인 교육적 행위를 하느냐에 따라 보다 나은 교육적 변화가 가능한지 아닌지의 여부가 달려있기 때문이다. 진정한 의미의 교육이란 무엇이고 어떻게 해야 하는지에 대한 교사들의 끊임없는 교육에 대한 성찰과 반성, 그리고 이에 근거한 교육적 활동은 비록 제한된 범위일지라도 교육 현실의 변화를 이루어나가는 초석이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의식에 근거하여 대안적 교육관을 일반 공교육기관에서의 교육과는 달리 비교적 자유롭고 자율적이며 유연하고 개방적인 환경과 조건 속에서 새로운 교육을 시도하면서 보다 나은 교육을 위해 노력하는 대안학교 교사들의 교육관과 교육실천적 활동을 살펴봄으로써 교육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한 하나의 가능한 방안으로서 대안학교 교사들의 교육관이 어떤 방식으로 실천과 연계되고, 어떠한 교육의 변화 가능성을 제공할 수 있는지를 탐색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대안학교 교사의 교육에 대한 관점은 무엇이며 교육 실천행위의 특징은 어떠한가? 둘째, 대안학교 교사의 교육관과 교육실천에서 나타나는 공통된 특징은 무엇인가? 셋째, 대안학교 교사의 교육관이 교육실천으로 이어지게 하는 연계성의 요소는 무엇인가? 넷째, 대안학교 교사의 교육관과 교육실천이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무엇인가? 이러한 연구문제에 따라 본 연구는 대안학교 교사 네 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질적 사례연구를 하였다. 질적 사례연구는 사람, 사건, 과정, 프로그램 등을 이해하기 위해 사례들의 특별성, 현장성, 상황성, 개별성 등에 초점을 둔 연구이다. 따라서 연구참여자인 대안학교 교사의 진솔한 목소리는 객관성이나 일반성을 거부하고, 교육에 관한 철학과 그에 따른 교육 실천행위를 ‘있는 그대로’ 심도 있게 드러내는 데 적합하다고 할 수 있다. 그들의 교육관을 듣는 심층 면담과 수업 참여 관찰 및 현장 노트, 대안학교와 교사에 관련된 보도자료, 연구 저널, 각종 학회와 학교 행사 참여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 탐구는 2018년 10월부터 2021년 3월까지 2년 반 동안 진행되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나타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대안적 교육관과 교육실천을 탐색한 결과, 대안학교 교사들은 인격적 주체로서 학생 개개인의 성장을 중시하는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하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A 교사는 학생의 잠재적 능력을 성장시키고자 하는 유기체적 교육관, 즉 기르는 교육관에 근거하여 학생의 타고난 문학적 소질 및 잠재력 발굴을 위해 대화와 글쓰기 중심의 교육 실천방법으로 학생의 자아실현 추구를 지향하고 있었다. B 교사는 인격적 만남의 교육관에 따라 교사와 학생이 함께 진리를 추구하며 고전 읽기를 중심으로 학생들이 지니고 태어난 지적, 정서적, 사회적 영역을 온전하고 조화롭게 실천하는 전인교육을 추구하고 있었다. 학생의‘자기다움’ 형성을 강조하는 C 교사 역시 유기체적인 교육관을 가지고 있었으며, 학생을 능동적이고 주체적 존재로 성장시키기 위해 대화와 토론 수업을 진행하고 있었다. 그리고 D 교사는 인격적 만남의 교육관에 따라 학생의 몸과 마음을 건강하게 성장시키기 위해 일과 놀이가 합쳐진 통합교과 중심의 실생활교육을 실천하고 있었다. 둘째, 대안적 교육관과 교육실천에서의 공통점을 보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연구참여자인 대안학교 교사들의 교육관은 공통으로 인간에 대한 심층적인 교육철학적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학생 하나하나를 모두 소중한 존재로 여기고 있었다. 즉 그들은 학생을 다양한 욕구나 자기 나름의 관심을 가진 경이롭고 소중한 존재, 지식이 아닌 새로운 정보를 머리와 몸에 이미 지니고 태어난 신성한 존재로 인식하고 교사와 학생 간에 동반자적 관계를 맺는 존귀한 존재로 받아들이고 있었다. 또 학생은 자신의 삶을 주체적으로 살아 자신만의 꽃을 피울 수 있는 씨앗과 같은 고유하고 소중한 존재이고, 선한 본성을 지닌 독특하고 귀한 존재라고 이해하고 있었다. 인간의 존엄성을 중시하는 그러한 교육관과 더불어 대안학교 교사들은 공통으로 학생의 주체적인 정체성 형성, 즉 자신의 자각으로부터 시작하는 정체성, 자아실현 과정에서의 정체성, 개인적 혹은 공동체적 정체성 형성을 교육의 주된 지향점으로 이해하고 있었다. 두 번째, 연구참여자들의 교육 실천행위의 공통된 특징을 살펴본 결과, 그들은 쌍방향적인 상호 교류를 함으로써 개방적이고 친근감 있는 유대관계 속에서 신뢰가 구축된 교수학습을 하고 있었다. 또한 이론적인 앎을 삶의 실천으로 옮겨 앎과 삶과 행함이 일치하는 실생활교육을 실천하고 있었다. 삶의 기본이 되는 밥하고 빨래하는 살림살이 교육, 음식과 관련된 먹거리 교육 등을 시작으로, 가축 키우기, 텃밭 가꾸기 등과 같은 비교적 쉬운 실생활교육뿐 아니라 나무 심기, 학교 내의 놀이기구 만들기, 논 농사짓기, 입학식 졸업식 준비하기 등의 실생활과 동떨어져 있지 않은 교육을 실천하고 있었다. 셋째, 대안적 교육관이 교육실천으로 연계되는 특성을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번째, 대안학교 교사들은 학생들과 인격적인 인간관계 속에서 경청을 기본으로 한 의사소통, 정서적 소통, 모든 것이 온전하게 기능하는 소통의 교육환경을 조성하고 있었다. 두 번째, 대안학교 교사들은 학생의 자발적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살아있는’ 질문과 대화를 서로 주고받으며 학생들이 살아있음을 느낄 수 있는 교수학습을 진행하고 있었다. 세 번째, 대안학교 교사들은 더 나은 교육을 위해 자신의 교육관을 끊임없이 되돌아보며 반성적 성찰을 하고 있었고, 이에 따른 교육실천의 개선과 변화를 위해 고군분투하며 교학상장하고 있었다. 넷째, 대안적 교육관과 실천행위가 우리 교육에 주는 시사점으로는 다음의 두 가지를 제시할 수 있다. 첫 번째, 교사들이 어떠한 눈으로 학생 존재와 그들의 삶을 바라보느냐의 인간 이해 관점은 교육에 대한 이해와 그에 근거한 교육목적이나 그 외 교육 과정상의 모든 활동의 방향을 결정짓는 데 중요하다. 대안학교 교사들은 인간의 존엄성, 선성, 개성과 개별성을 지닌 존재라는 인간 이해를 바탕으로 하여 무시할 수 없는 귀한 존재, 고유하고 유일하며 동심을 가진 선한 존재로서의 학생과 교육적인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러한 교육철학적 인간 이해와 교육실천 즉 학생들을 온전한 인간 존재로 성숙시키고 자기 자신만의 삶을 영위할 수 있는 능력을 키워주고자 하는 그들의 교육적 시도는 기존 교육의 문제개선이나 변화에 하나의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다. 두 번째, 생동적인 과정 중심의 교육은 결과, 성과, 평가 등과 같은 소유적인 양태를 벗어나 ‘있는 그대로’의 존재적인 양태의 가르침과 배움이 가능할 수 있다는 것과 더불어, 결과보다는 과정을 즐길 수 있는 다양한 교육실천의 변화가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결론적으로 대안학교 교사들은 학생을 인격적 주체로서 인정하고 소중히 여기는 인간관과 교육철학을 바탕으로 교사와 학생 모두 교육의 주체로서 동반 성장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그들의 교학상장은 늘 새로운 것을 찾아 솔선수범하는 대안학교 교사들의 태도와 연결되어 있다. 그들의 그러한 교육철학적 사유와 이의 실천을 위한 행위 및 태도 그리고 끊임없는 반성적 성찰과 노력의 자세는 현재 우리 교육이 가진 문제의 상황을 부분적이나마 개선하고 변화시키는 데 있어서 하나의 작은 사례가 될 수 있을 뿐 아니라 ‘인간을 위한’ 교육 변혁의 씨앗이 될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