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20 Download: 0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학업적 실패내성간의 관계

Title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청소년의 학업적 실패내성간의 관계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 of Ego-Resilience in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Academic Failure : Tolerance by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김지원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부모의 자율성 지지, 청소년의 학업적 실패내성 및 자아탄력성 간의 관계와,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청소년의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을 자아탄력성이 매개하는지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서울에 소재한 1곳의 중학교에 재학중인 2, 3학년생 342명(남학생 230명, 여학생 112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모의 자율성 지지는 Mageau, Ranger, Joussemet, Koestner, Moreau와 Forest(2015)가 개발하고 타당화한 부모의 자율성 지지 척도(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Scale [P-PASS])를 사용하였다. 원 척도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와 심리적 통제로 구성되어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부모의 자율성 지지만을 사용하였으며, 자율성 지지에 대한 12문항을 서혜윤(2017)이 번안한 것을 토대로 중학교 2, 3학년 학생들에게 적절하게 수정, 보완하여 측정하였다. 자아탄력성은 Block과 Kremen(1996)이 개발한 자아탄력성 척도(Ego-Resilience Scale)를 유성경(2002)이 번안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업적 실패내성은 Clifford와 Kim(1988)이 개발한 척도를 김아영(1994)이 한국판으로 표준화한‘한국형 학업적 실패내성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예비분석으로 독립표본 t 검정과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본 분석으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설정하여 변인들 간의 경로를 살펴보았다. 간접효과의 유의성 검증은 부트스트랩(bootstrap) 방법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자율성 지지가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과 관련하여,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의 영향만이 유의하게 나타났다. 즉, 중학생 자녀가 어머니의 자율성 지지를 더 지각할수록 더 높은 수준의 학업적 실패내성을 가지고 있었다. 둘째, 어머니와 아버지의 자율성 지지는 중학생의 자아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부모의 자율성을 더 높게 지각할수록 중학생은 높은 수준의 자아탄력성을 보였다. 셋째, 자아탄력성이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영향과 관련하여, 자아탄력성이 높을수록 중학생은 더 높은 수준의 학업적 실패내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중학생 청소년의 부모의 자율성 지지가 자아탄력성을 통해 학업적 실패내성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살펴본 결과, 아버지와 어머니 모두에게서 유의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는 환경적 요인인 어머니와 아버지의 자율성 지지가 개인 내적 요인인 청소년의 자아탄력성을 통해 긍정적인 학습태도의 한 형태인 학업적 실패내성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를 확인하였다. 특히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습에 영향을 미치는 주요 요인이라 할 수 있는 학업적 실패내성의 선행요인을 탐색함으로써 탄력적이고 긍정적인 학습태도 형성의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는 점을 밝혔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학업적 실패내성을 높이기 위해서는 어머니뿐만 아니라 아버지의 자율성 지지 또한 중요하다는 사실을 입증하였으며, 부모의 자율성 지지를 통해 개인 내적 요인인 자아탄력성이 향상되어, 궁극적으로는 청소년이 학업적 실패상황에서 좌절을 겪지 않고 긍정적인 태도로 학습에 임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청소년의 학업적 실패내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부모대상 교육프로그램과 청소년 대상 학습프로그램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al autonomy support, adolescen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and ego resilience, and whether ego resilience mediates the effect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on adolescen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For this purpose, data were collected using the questionnaire method from 342 second and third year students (230 male students, 112 female students) attending one middle school in Seoul. For parental autonomy support, the Perceived Parental Autonomy Support Scale [P-PASS] developed and validated by Mageau, Ranger, Joussemet, Koestner, Moreau, and Forest (2015) was used. The original scale consists of parental autonomy support and psychological control, but in this study, only parental autonomy support was used. Corrected, supplemented, and measured. Ego-resilience was measured using the Ego-Resilience Scale developed by Block and Kremen (1996), which was adapted by Yoo Seong-kyung (2002). Lastly, academic failure tolerance was measured using the 'Korean Academic Failure Tolerance Scale' standardized by Ayoung Kim (1994) into the Korean version of the scale developed by Clifford and Kim (1988). As a preliminary analysis,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correlations between variable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was established for this analysis to examine the paths between variables. To test the significance of the indirect effect, the bootstrap method was used.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relation to the direct effect of mother's and father's support for autonomy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only the influence of mother's support for autonomy was significant. That is, the more middle school children perceived their mother's support for autonomy, the higher their academic failure tolerance was. Second, the autonomy support of mothers and fathers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self-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in relation to the effect of ego resilience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e higher the ego resilience, the higher the academic failure tolera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dicates a correlation. Lastly,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indirect effect of support for parental autonomy on academic failure tolerance through ego resilience, it was found to be significant in both fathers and mothers. This study confirmed the pathways in which the support of mother and father autonomy, which is an environmental factor, affec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which is a form of positive learning attitude, through the self-resilience of adolescents, which is an individual internal factor. In particular,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reveals that it is possible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forming a resilient and positive learning attitude by exploring the causes of academic failure tolerance, which is a major factor influencing the learning of adolescents. In addition, it has been demonstrated that support for autonomy of not only mothers but also fathers is important to increase academic failure tolerance. It provided the implication that learning can be done with a positive attitude without experiencing setback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data for educational programs for parents and learning programs for adolescents to improve adolescents' academic failure tolera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