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7 Download: 0

한국 <어린이 놀이공간>(놀이터)의 생성과 변화 연구

Title
한국 <어린이 놀이공간>(놀이터)의 생성과 변화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reation and Change of in Modern Korea
Authors
형혜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훈
Abstract
본 연구는 근대에 발명된 ‘어린이’라는 개념이 정착되는 과정에서 어린이에게 부여된 공간, 놀이터에 관한 연구이다. 역동적인 변화의 과정을 거쳐온 한국 사회 속에서 어린이의 공간이 정착되는 일련의 과정들을 거시적으로 바라보는데 목적이 있다. 어린이 놀이공간의 생성과 변화 과정을 통해 한국 사회가 어린이를 인식하는 과정을 발견하여 이전 어린이 놀이공간 연구의 보완을 시도하였다. 이러한 시도를 통해 어린이를 인식하는 한국인의 문화적 태도와 정체성의 해석 가능성을 확보할 수 있었다. 연구의 진행을 위하여 주 대상인 ‘어린이’와 ‘놀이’,‘공간(놀이터)’의 교차지점들이 연결될 수 있도록 용어를 설정하였다. 이 논문에서 어린이는‘근대 이후 생겨나 한국인의 사회적 인식 안에서 다양한 의미변화를 거쳐온 만 3세부터 만 12세까지의 존재’이다. 놀이공간(놀이터)은 ‘근대 이후 어린이를 대상으로, 어린이의 발달 적절성이 적용된 상태로서 전문적 시설비가 갖추어진, 목적 없는 놀이행위가 이루어지는 공간’으로 설정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이 두 가지의 의미가 결합한 <어린이 놀이공간>을 통하여 논의를 전개하였다. 어린이 놀이공간이 가진 문화사적 의미를 획득하는 기존의 시도는 주로 도시 공학적인 관점이나 유아교육의 관점으로 이루어져 왔다. 이전의 연구에서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았던 놀이공간의 전개 과정과 문화사적 의의를 보완하고자 하였다. 한국 근현대사의 속에서 어린이의 놀이공간은 크게 발견기(1910~1950), 형성기 (1960~1970), 정착기(1980~2000), 분화기(2000년~2020년)라는 시기의 흐름을 통해 변화 발전되었다. 어린이 놀이공간은 각 시기의 특성을 획득하며 도시 속에 구현되어왔고, 지속해서 변화하는 양상을 보인다. 시대별로 다양한 모습으로 변모되며 도시 내의 풍경에 어우러져 창조적 공간으로 의미를 얻게 되었다. 그러나 의미경합의 대상으로 전락하기도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어린이 놀이공간은 설비 초기부터 현재까지 내부 수용자인 어린이의 권리를 위해 제공된다는 일정한 목적을 가지고 전개되어왔다. 현재 어린이 놀이공간은 분화기 이후의 시기를 앞두고 있으며, 시대의 전환점 앞에서 발전적인 연구를 통해 다음의 시대에 필요한 형태로 나아가야 한다. ;This study is to macroscopically look at the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children's play spaces are given, installed, used, changed, and destroyed in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children' discovered in Korea modern times. The purpose is to take a macroscopic view of the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children's spaces are established in Korean society, which has undergone dynamic changes. Througha the process of creation and change of children's play spaces, 'the process of recognizing children in Korean society' was discovered and an attempt was made to supplement previous research on children's playgrounds. Through these attempts, it was possible to interpret cultural attitudes and perceptions of Korean adults towards children.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study, the terms were set so that the intersections of the main subjects 'Children', 'Play', and 'Space(playground)' could be connected. In this thesis, a child is 'An existence from 3 to 12 years old that has been born since modern times and has undergone various changes in meaning within the social perception of Koreans'. The play space (playground) was set as ‘a space where children’s developmental adequacy has been applied since Korea modern times, equipped with specialized facilities, and where purposeless play activities take place’. In this study, the discussion was developed through “Children's Play Space” which combines these two meanings. Existing attempts to acquire the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children's play spaces have been mainly made from the perspective of urban engineering or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pplement the development process of the play space and the cultural historical significance, which had not been sufficiently achieved in previous studies. In the modern and contemporary history of Korea, children's play spaces have changed and developed through the flow of four periods: Discovery period (1910-1950), Formation period (1960-1970), Settlement period (1980-2000), and Eruption period (since the 2000s). Each semantic network was formed and implemented according to the segmentation point, and it had aspects of continuous change. Children's play spaces appeared in various forms according to each period and acquired their respective meanings as creative spaces that harmonized with the urban landscape. However, they fall into the subject of contention for meaning. Nevertheless, children's play areas have been provided for children's rights. Currently, children's play spaces are in the‘Post-eruption period’, at the turning point of the times, and through progressive research, the following forms should be develop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