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92 Download: 0

한국 영어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필리핀 이주여성 영어교사 활용에 관한 연구

Title
한국 영어학습자의 의사소통능력 향상을 위한 필리핀 이주여성 영어교사 활용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tilization of Filipina Immigrant English Teachers’ English Proficiency to Improve Communication Competence of Korean English Learners: Focused on the Case of Jeollabuk-do
Authors
임미양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영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시영
Abstract
우리나라의 급속한 사회변화 중 다문화사회화는 영어가 모국어 또는 공용어인 이주민 수의 증가와 함께 일어나고 있다. 이 중 주로 비수도권지역에서 증가하고 있는 필리핀 이주여성들 대부분도 영어를 공용어로 사용하는 필리핀의 교육과정 속에서 사회화를 경험하여 영어 의사소통능력이 우수하다고 볼 수 있다. 이들의 의사소통능력은 비수도권지역의 한국 영어학습자들에게 중요한 자원이 될 수 있어, 이들 중 일부는 한국의 지역사회에서 영어교사로 활동 중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지역사회에서 영어교사로 영어교육에 기여하고 있는 필리핀 이주여성들의 실태 및 교사로서의 적합성에 대해 연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필리핀 이주여성 영어교사의 교육배경과 다문화 가정환경을 조사하여 그들의 영어능력과 인성, 태도 등에서 영어교사로서 자질과 교수효능감을 알아보며 이들을 활용해 한국 학생들의 영어교육과 다문화 이해능력을 향상시키는 방안을 모색해보는 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라북도 내 거주하는 필리핀 이주여성 영어교사의 다문화가정 배경 및 교육적 배경을 알아보고 이들의 영어교사로서의 영어능력 및 교사자질과 교수효능감을 알아보며 한국 영어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밝혀보고자 전라북도(전주, 군산, 김제, 남원, 완주, 익산, 장수, 정읍)에 거주하는 전, 현직 다문화가정 이주여성 필리핀 영어교사를 대상으로 한 가톨릭 필리핀 공동체와 필리핀 이주여성 영어교사 연락망을 통해 설문 조사했다. 1, 2, 3차에 걸친 설문지로 본 연구에 필요한 자료를 수집하고 설문 응답자들 중 4명과 미비점을 보충하기 위한 심층면담을 실시했다. 또한, 이들 중 2명의 영어수업을 녹음해 3명의 원어민으로 하여금 이들의 영어능력을 평가분석하게 하고, 필리핀인 영어능력 검증을 위해 세계적으로 공인되고 있는 TOEFL과 IELTS 성적 발표 자료를 분석하며 필리핀 고등학교 영어 교과과정을 분석해 보고자 했다. 본 연구에 의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리핀 이주여성 영어교사들의 다문화가정과 영어 학습배경 및 교수경험과 교수방법이 영어교사로서의 자질과 교수효능감에 적합했다. 이들은 전북도청 소재지인 전주에 가장 많이 거주했으며 그다음으로 남원, 김제, 완주, 익산, 장수, 진안 순으로 거주하고 있었다. 이는 이들을 활용해 원도심 학교, 농촌, 소외지역, 소규모 학교의 학생들에게 영어교육을 제공할 기회가 충분함을 시사하고 있다. 이주여성 영어교사들이 필리핀에서 받은 영어학습 배경을 알아보는 것은 이들의 영어능력을 짐작하게 해주었다. 이들의 학력은 최소 전문학사였으며 93.8%가 4년제 이상 대학교 출신이었다. 또한, 영어교육과 관련해 31.3%, 기타 전공자가 68.7%였다. 교사경험에 대해 53.1%가 필리핀에서 영어를 가르친 경험이 있고 46.9%가 경험이 없다고 대답했다. 현 직업으로 90.6%가 영어교사이며 이를 10년 이상 56.3% 유지하고 있었다. 교수 방법에 대한 설문 조사에서는 영어수업에서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 회화를 지도했으며, 문법, 독해, 작문은 비슷하게 강조되었다. 이들은 책 이외에 보드게임, 스마트기기, 비디오 클립, 플래시 카드, 유튜브 등을 이용했고 다문화를 가르치기 위해 게임, 만들기, 음식체험 등을 이용하며 68.6%가 현재 다문화 이해를 위한 내용이 포함된 교재를 사용하고 있다고 답했다. 교사자질과 교수효능감에 있어서도 긍정적 평가와 스스로 전반적인 만족감을 보이며 수업 진행 운영 능력을 갖추고 자신감이 있으며 과제난이도 선호에 있어서도 도전적이고 적극적인 자세를 보여주었다. 둘째, 필리핀 이주여성 영어교사들의 영어능력을 영어수업 녹음자료 분석과 필리핀인들의 세계적으로 공인된 시험을 통한 통계분석 그리고 필리핀 고등학교 영어 교과과정 분석을 통해 신뢰할 수 있었다. 이주여성 영어교사들은 필리핀 출신으로 이들을 교육현장에서 활용하기 위해 이들의 영어능력이 검증되어야 한다. 우선 필리핀 고등학교의 영어 교과과정을 살펴보는 것은 이들이 어떤 교육환경에서 교육을 받았으며 영어교사로서의 능력을 갖추었는가를 알아볼 수 있는 훌륭한 척도였다. Kachru(1992)의 외부원(the Outer Circle)에 속하는 필리핀은 ESL로서 영어를 사용하는 대표국가로서 한국과는 다른 영어 학습 환경을 갖고 있다. 따라서 평균 한국인과 필리핀인의 영어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국제공인시험에서의 성적 통계를 비교 분석하는 것은 의미가 있었다. TOEFL iBT성적은 한국의 경우 120점 만점에 84점으로 168개국 중 공동 75위이다. 필리핀의 경우 88점으로 공동 5위였다. IELTS에서도 한국인의 말하기 성적이 최하위권임을 다시 확인할 수 있었다. 학업용(Academic)의 경우 한국이 6.00점, 필리핀이 6.73점으로 각각 40개국 중 30위, 4위를 차지했다. TOEFL과 IELTS 학업용과 취업용 시험에서 필리핀이 모두 한국보다 우수한 성적을 보였으며, 특히 양국의 말하기 성적에서 큰 차이가 나타났다. 이로써 평균 필리핀인의 영어능력의 우수성을 보여주었다. 필리핀 이주여성 영어교사의 영어능력을 검증하기 위해 2명의 수업내용 녹음자료를 수정된 Elder(1992)의 평가항목에 따라 3명의 영어 원어민에게 영어능력에 대한 평가를 하도록 했다. ‘Intelligibility of expression’, ‘Fluency & Flexibility of expression’, ‘Accuracy of expression’, ‘Comprehension of expression’/ ‘Using the English language of interaction’/ ‘Overall communicative effectiveness’에 대한 18개의 평가항목에서 한 영어교사에 대해 14개의 ‘highly satisfactory’와 4개의 ‘acceptable’을 주었으며, 또 한 영어교사에 대해 9개의 ‘highly satisfactory’와 9개의 ‘acceptable’의 평가를 했다. 즉 필리핀 이주여성 영어교사들의 영어수업에서의 이들의 영어능력은 각 항목별로 아주 만족하거나 만족하다는 평가를 받았다. 셋째, 영어과 핵심역량 중 의사소통 역량을 기르기 위한 한국 학생들의 영어 학습의 문제점과 제도적 문제점에 대해 알아본 바 이를 개선하기 위해 필리핀 이주여성 영어교사의 영어능력 활용을 통해 얻게 되는 영어교육의 효과가 매우 긍정적임을 알았다. 한국 학부모의 문제점에 대해서 그들은 자녀들이 단기간에 많이 배우기를 원하며 공부하는 환경은 조성하지 않고 하기 싫은 것을 억지로 하게 만든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한국학생들의 영어에 대한 흥미도는 대체로 높다고 대답했고 학습 태도에 대해 대부분 학생들이 영어를 좋아하거나 잘하나 학부모의 권유나 강압으로 배우기도 한다고 했다. 필리핀 이주여성 영어교사들은 한국 학생들의 영어 학습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지 않는다고 생각했다. 한국인 영어 선생님들은 한국어로 말하고 설명을 잘하지만, 학생들은 그저 듣고만 있다고도 했다. 한국학생들의 영어능력은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이라고 하거나 열심히 한다고 응답했다. 영어에 대한 자신감에 대해서는 보통이상으로 자신감이 있으며 일찍 영어에 노출될수록 영어에 대한 자신감이 있다고 생각했다. 교육부, 시·도 교육청, 지자체로부터 받고 싶은 지원내용은 한국어 습득, 영어 학습자료, 학교에서 영어 수업시간을 늘리는 것, 필리핀인들에게도 계속적인 구직정보 제공, 급여 상승, 영어교사교육, 유급휴가, 정규직이라고 했다. 영어교사의 93.8%가 단체 연수프로그램을 받은 경험이 있다고 했으며 차후 연수프로그램이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분야로는 교수전략과 발음교정, 자격증 취득이라는 설문조사에 근거해 이들에 대한 영어교육 현장에서의 활용이 적극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을 보여주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필리핀 이주여성 영어능력의 활용과 이를 통한 의사소통능력 향상의 효과에 대해 시사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필리핀 이주여성 영어교사들의 영어능력 면에서나 교사자질과 교수효능감에서 매우 뛰어난 점을 살려 자신의 능력 개발을 위한 영어연수프로그램에 참여할 기회를 부여해야겠다. 이들은 다문화가정 자녀들을 위한 방문교사 및 학생들에게 다문화를 이해하고 존중할 수 있는 글로벌 마인드 교사로서 지속적인 활동을 하도록 해야 한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TEE 인증제를 이들에게도 시행해 자기 계발과 영어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정책을 시행하는 것도 바람직할 것으로 보인다. 둘째, 각급 학교에서도 ESL 영어교사로서 다양한 발음과 문화전달의 역할을 하는 영어를 가르치도록 해야 한다. 이들은 필리핀의 역사적 배경에 근거한 영어교육 정책에 따라 의사소통 중심의 영어 교과과정에 충실한 공교육을 받아왔으며, 세계 공인 시험에서도 우수한 성적을 보이는 국가 출신이고 모두 대학 졸업 이상의 학력을 갖고 있어서 인재 활용의 측면에서도 이들이 영어교사로서 활동하도록 정부의 협조와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들은 각급 학교의 정규, 방과 후 교사로서 활동할 수 있도록 한다. 셋째, 이들이 제안한 데로 EFL 환경의 학생들에게 지속적인 관심과 동기유발과 자신감을 심어주기 위해 영어도서관이나 영어 전용 교실 전담 교사로서의 활용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지자체에서 콜센터를 자체적으로 운영해 이를 통한 경제적 도움과 영어능력 활용에도 이용할 수 있겠다.;Korean international marriages are on the rise every year, and as a result, Multicultural societies are undergoing rapid social changes. In particular, as of 2018, the number of Filipina women who moved to Korea due to international marriages reached 852. It can be seen that Filipina immigrant women whose English is the common language can contribute to English education in Kore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background and Multicultural family environment of immigrant female English teachers in the Philippines, to find out their qualification and teaching efficacy as English teachers in their English abilities, personality and attitudes. The idea is to look for ways to improve the English competence and the Multicultural understanding of the students. The Ministry of Education's 2015 revised curriculum emphasizes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e among the four core competences: English communication competence, self-management competence, community competence, and knowledge information processing competence. Since 2006, the Ministry of Education has launched an English Program in Korea (EPIK) project that invites native English teachers and places them in each school for the ability to communicate in everyday life and in various situations, that is, to understand English and to express English. In addition, the Jeollabuk-do Office of Education hired native English-speaking assistant teachers and distributed them to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Since 2008, the government has implemented the government-sponsored Foreign English Volunteer Scholarship Program(TaLK: Teach and Learn in Korea) to help the small schools of farming & fishing villages, marginalized communities, the old downtown areas and are running English Experience Learning Centers in six locations in the province. Separately, in the case of Jeonju City, Filipina immigrant English teachers are teaching children to develop global mind and leadership to improve their abilities of learning foreign languages, which are essential in the global era, in order to build a global mind and promote leadership. As a result, they are ESL English teachers with Multicultural diversity and differences that has been rooted in Korea, but they are being treated differently from English-speaking teachers in North America, the UK, Ireland, South Africa, Australia, and New Zealand. As members of the Multicultural family, we look at their English proficiency based on the current situation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and the English education received in the Philippines. How to utilize their abilities in English education needs to be explored.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In Chapter II following the introduc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multiculturalism, to discuss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as a world language, especially the characteristics of English, especially Filipino English, to look into related theories, and to examine language acquisition theory and communicative approaches or teaching methods in English learning theory.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by reviewing the effects of bilingual education,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ESL, EFL, TEE (TETE), English proficiency, teacher qualification, and teaching efficacy. Chapter Ⅲ presents research questions, research subjects, research tools, analysis of research procedures and data, and limitations of research. In Chapter IV, the questionnaire and interview were analyzed to evaluate the English proficiency required for English classes, teacher qualification and teaching efficacy, and to discuss what it means for use in English classes. Lastly, in Chapter V, the conclusions that can be drawn based on the results of these studies, educational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made. In this study, through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nd self-assessments of the educational background of Filipina immigrant English teachers residing in Jeollabuk-do, their perception of English learning methods, Multicultural family environment, their actual condition of teaching English, their teacher qualification and teaching efficacy were explored. To prove their enough English proficiency, audio clips of two Filipina teachers’ classes were evaluated by three English native speakers. In addition, TOEFL and IELTS scores which are internationally recognized for the purpose of verifying the overall English proficiency of Filipinos and the Philippine high school curriculum as a communicative approach to improve English four skills were analyzed. Based on the necessity and purpose identified in Chapter 1,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ior studies discussed in Chapter 2, the qu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re Filipina immigrant teachers suitable for teacher qualification and teaching efficacy? 1) Is their educational background suitable as English teachers? 2) Are they familiar with the English learning methods? 3) Can they teach their students to understand with sufficient awareness of multiculturalism? Second, do the Filipina immigrant teachers have adequate English proficiency as teachers? 1) How are Filipinas' English proficiency through internationally recognized tests? 2) What is the level of English language education in the Philippines' high school curriculum? Third, how can you use the English language skills of the Filipina immigrant teachers to strengthe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Korean English learners? 1) Are Korean students' English learning methods suitable for improving their English language and the communicative competence as the core one? 2) Can the English language skills of the Filipina immigrants help Korean students improve their communication skill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former and current Multicultural Filipina immigrant English teachers living in Jeollabuk-do (Jeonju, Gunsan, Gimje, Namwon, Wanju, Iksan, Jangsu, Jeongeup). This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network of a Catholic Philippine community and Filipina immigrant English teachers. I interviewed 4 of the above teachers to compensate for the incompleteness of the survey. In addition, this study analyzed the statistical data of TOEFL and IELTS scores from major countries in the world in 2018 to find out the scores and global rankings of the English and English test scores of the Philippines and Korean candidates. The results revealed that Filipino candidates outperformed Korean candidates in all areas. In this context, it can be inferred that the English proficiency of Filipina immigrants who were publicly educated in the Philippines is excellent in all aspects, and their abilities can help Korean English learners improve their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Based on the survey and interview conducted for this paper,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First, the teacher qualification and teaching efficacy of Filipina immigrant English teachers are very good, and they want to take advantage of their own ability to develop, so they actively participate in the English training program. Second, They want to continue their activities as global mind teachers who can understand multiculturalism and visiting teachers for children of Multicultural families. Third, ESL English teachers also play a role in diverse pronunciation and cultural communication as English is a world language. Since they are from countries that show excellent scores in world-approved tests and have college degrees or higher, they are expected to need government cooperation and support to make them function as English teachers in terms of their ability utilization. Fourth, they can act as regular and after-school teachers in rural schools. Fifth, they can also consider using them as dedicated teachers in English libraries or English-only classrooms to let the students be interested and motivated and confident in the EFL environment. Sixth, local governments can operate their own call centers and use them for economic help and English proficiency. Seventh, it would also be desirable to implement a policy to help self-development and English proficiency by implementing the TEE certification system. As a suggestion for further study, the individual English proficiency of Filipina immigrant teachers was measured to evaluate their qualities as an English teacher once again, and how much they contributed to improving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in the field of English education. In addition, a study is needed to compare students' English proficiency when Filipina immigrants are English teachers in full TEE and English assistant teachers for Korean teachers separatel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영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