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76 Download: 0

협력교수 기반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가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Title
협력교수 기반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가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및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Enhanced Skill Streaming Based on Collaborative Teaching on Young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and Social Interaction of Young Children with Disabilities
Authors
이지원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소현
Abstract
The legitimacy of inclusive education for children with disabilities has been supported in terms of social and educational outcomes, and is leading to interest in qualitative growth beyond the physical growth of inclusive education. One of the benefits of inclusive education is the social development of all children in the inclusive class. In particular, the promotion of pro-social behavior facilitates interactions between children with disabilities and their peers in the daily routine and allows them to form positive social relationships. Despite the importance of social development, most children with disabilities are not easily accepted by their peers simply by being physically placed with their peers, and they have difficulty in forming and maintaining their social abilities naturally. Therefore, in this study, we tried to find out the effect of the enhanced skill streaming based on the collaborative teaching on the pro-social behavior of general children who belong to the inclusive class and the social interaction of child with disability. In this study, in an inclusive environment in which child with disability and general children are educated together, the homeroom teacher of inclusive class and a special teacher cooperate with each other to conduct the skill streaming program, which is actually known social skills education based on evidence, and the skill streaming program. Expanded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were planned and carried out so that they could practice the social skills learned i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he enhanced skill streaming based on the collaborative teaching on the pro-social behavior of general children belonging to the inclusive class and the social interaction of child with disability. This study consists of a program of 18 sessions for 4 weeks. Participating children are two 5-year-old inclusive classes in E kindergarten located in Seoul. The experimental group consists of 17 general children and 17 control groups, and the disabled child is one with developmental delay belong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The participant of the teacher is the homeroom teacher of the young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the researcher and the collaborative teaching were conducted together. In this study, the change of pro-social behavior of general children was examined through the design of pre- and post control groups, and the change of social interactions of child with dis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was examined through a case study. The experimental procedure was conducted in the order of pre-test, intervention, and post-test. A total of 10 play scenes were collected during free play (3 pre-tests, 4 during the intervention period, and 3 post-tests) during free play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experimental group's disabled childs' social interactions. In order to measure the prosocial behavior of general chlidren, the dependent variable of this study, Weir and Duveen (1981)'s pro-social behavior test sheet (hereinafter referred to as PBQ) was modified to suit the situation based on the contents of the previous researcher. It was applied as a target, and covariance analysis (ANCOVA) was conducted to compare and analyze the difference in pre- and post-prosocial behavior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addition, this study applied the social interaction observation system developed by McConnell, Odom, Chandler and McEvoy (1989) to examine the effect on the social interaction of child with disability. The interval recording method was used to measure the overall incidence of social interaction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executing the enhanced skill streaming based on the cooperative teaching, statistically significant results were found in the degree of change in the pre- and post-test of prosocial behavior of general children belonging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Secon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effect of the enhanced skill streaming based on cooperative teaching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child with disability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overall social interaction incidence rate of child with disability showed a tendency to increase as the session progressed after the intervention began. Taking these results together, it can be seen that the enhanced skill streaming intervention based on collaborative teaching is effective in promoting pro-social behavior of general children and positively affecting social interactions of child with disability. This study applied skill streaming intervention appropriately to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at the class level among social skills interventions that are already empirically proven evidence-based, and further practiced social skills learned through skill streaming interventions through extended large and small group activities. And suggested ways to use it.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preschool teachers and special teachers have applied and implemented a variety of collaborative teaching who plan, implement, and evaluate together in an equal relationship.;장애 유아를 위한 통합교육의 당위성은 사회적, 교육적 성과 측면에서 지지되어 왔으며, 통합교육의 물리적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을 위한 관심으로 이어지고 있다. 통합교육의 혜택 중 하나는 통합학급에 소속된 모든 유아의 사회성 발달인데, 특히 친사회적 행동의 증진은 일과 안에서 장애 유아와 또래와의 상호작용 촉진시키며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형성하게 한다. 사회성 발달의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대부분의 장애 유아는 물리적으로 또래와 함께 배치되는 것만으로는 또래에게 쉽게 수용되지 못하며 자연스럽게 사회적 능력을 형성하고 유지하는데 어려움을 겪는다. 따라서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하고 장애 유아의 사회적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도록 특수교사와 유아교사 간 협력을 기반을 둔 특별히 고안된 사회성 기술 교육은 유아기의 통합교육에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다. 본 연구는 장애 유아와 일반 유아가 함께 교육받는 통합 환경에서 유아의 사회성 발달을 위해 통합학급의 담임교사와 특수교사가 협력하여 증거기반의 실제로 알려진 사회성 기술 교육인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을 실시하고 스킬스트리밍 프로그램에서 배운 사회성 기술을 연습할 수 있도록 확장된 대・소집단 활동을 계획하여 실시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협력교수 기반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가 통합학급에 소속된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과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4주간 18회기의 프로그램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참여 유아는 서울에 위치한 E유치원의 만5세 통합학급 두 반이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은 각각 일반 유아 17명으로 구성되며 장애 유아는 실험집단에 소속된 발달지체 유아 1명이다. 교사 참여자는 본 연구자와 협력교수를 함께 실시한 실험집단의 담임교사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사후 통제집단 설계를 통해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변화를 살펴보았고 사례연구를 통해 실험집단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실험절차는 사전검사, 중재, 사후검사 순으로 진행되었으며. 실험집단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변화를 살펴보기 위해 자유놀이 중에 총 10회(사전검사 3회, 중재 기간 중 4회, 사후검사 3회)의 놀이 장면을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종속변인인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측정하기 위하여 Weir와 Duveen(1981)의 친사회적 행동 검사지(이하 PBQ)를 선행연구자가 번안한 내용을 토대로 상황에 맞게 수정하여 담임교사가 일반 유아를 대상으로 적용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 간 사전-사후 친사회적 행동의 차이를 비교하고 분석하기 위해 공분산분석(ANCOVA)를 실시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McConnell, Odom, Chandler와 McEvoy(1989)가 개발한 사회적 상호작용 관찰 체계를 적용하였고 자유놀이 10분을 10초씩 60구간으로 나누어 부분 간격 기록법을 사용하여 사회적 상호작용의 전체 발생률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협력교수 기반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를 실행한 결과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속한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의 사전-사후검사의 변화 정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다. 둘째, 협력교수 기반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가 실험집단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본 결과 장애 유아의 전체 사회적 상호작용 발생률은 중재 시작 이후 회기가 진행됨에 따라 증가하는 추세를 보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종합하면, 협력교수 기반의 확장된 스킬스트리밍 교수는 일반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을 증진시키고 장애 유아의 사회적 상호작용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미 경험적으로 입증된 증거기반의 실제인 사회성 기술 중재 중 스킬스트리밍 교수를 학급 차원에서 유아의 특성에 알맞게 적용하였으며 나아가 스킬스트리밍 교수를 통해 익힌 사회성 기술을 확장된 대・소집단 활동을 통해 연습하고 활용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또한 유아교사와 특수교사가 대등한 관계 속에서 함께 계획하고 실행하고 평가하는 협력교수를 다양하게 적용하여 실행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