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0 Download: 0

비디오모델링을 활용한 노동인권교육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직업 관련 자기옹호에 미치는 영향

Title
비디오모델링을 활용한 노동인권교육이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직업 관련 자기옹호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Effects of Education on Human Rights of Labor with Video Modeling on Self Advocac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이종민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특수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유리
Abstract
장애인의 고용과 안정된 직업생활을 위한 다양한 법적, 교육적 제도의 일환으로 지적장애인의 고용은 양적으로 발전을 이루고 있지만 장애를 기반으로 하는 차별은 여전히 사회에 만연해있다. 따라서 권리의식과 자기옹호를 함양하여 장애 근로자의 인권과 권리를 신장할 수 있는 근본적인 계기를 마련하는 노동인권교육은 향후 지적장애 학생의 고용에 있어 필수적으로 다루어져야 한다. 이에 따라 자신의 권리를 인식하고 권리 옹호가 필요한 상황을 이해하며 적절한 의사결정을 하는 자기옹호는 장애학생의 노동인권교육에 있어 핵심적으로 포함해야 하는 기술 중 하나이다. 또한 인권침해와 같이 안전하지 않은 상황의 현실적인 사례와 실제 상황의 다양한 관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비디오모델링은 노동인권교육을 통한 자기옹호기술 향상에 있어 긍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지적장애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하여 노동인권침해의 상황을 예방하고 침해 발생 시 적절한 자기옹호기술을 통해 대처해 나갈 수 있는 방법들을 비디오모델링으로 중재함으로써 노동인권침해 상황에 따른 자기옹호와 자기옹호의 하위기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그 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단일집단 사전사후 설계로 지적장애 고등학생 1-3학년 총 15명이 연구 참여자로 참여하였다. 본 연구에서 실시된 비디오모델링을 활용한 노동인권교육은 총 15회기로 구성되어 4가지의 노동인권침해의 유형에 따른 각 3가지 상황을 다루어 총 12회기로 진행하였다. 노동인권침해의 유형은 임금체불, 폭언·폭행·성희롱, 산업재해, 부당해고로 나뉘며 각 유형에 따른 3가지의 상황을 비디오모델링 자료로 구성하여 총 12가지의 노동인권침해에 따른 자기옹호를 교수하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자기옹호는 문제상황인식과 의사소통으로 구성하여 상황에 따른 자기옹호의 구성요소를 교수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선행문헌을 검토하여 연구자가 개발한‘직업 관련 자기옹호 평가도구’를 사용하였으며 구성 문항은 (1) 문제상황인식과 (2) 의사소통(언어적, 행동적 기술)이다. 연구 참여자 집단의 동질성 확보를 위하여 연령, 적응행동검사점수를 측정하였으며 비디오모델링을 활용한 노동인권교육 실시에 따른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자기옹호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하여 연구문제별로 수집한 자료를 분석 및 처리하였다. 이를 위해 비디오모델링을 활용한 노동인권교육의 실시 전후에 따른 연구 참여자 집단의 자기옹호 차이에 대해 SPSS를 이용하여 반복측정 t검정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인권교육 실시 이전과 이후의 자기옹호 총점을 비교한 반복측정 t 검정 결과, 자기옹호 사후점수가 사전점수 총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둘째, 노동인권침해의 4가지 상황에 따른 자기옹호가 모두 향상되었다. 자기옹호가 필요한 4가지 상황별로 살펴보면, ‘임금체불’, ‘폭언·폭행·성희롱’, ‘산업재해’, ‘안전사고’ 상황에서는 노동인권교육 실시 이후 연구 참여자 집단의 자기옹호 평균점수가 실시 이전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높아진 것을 확인하였다. 셋째, 직업 관련 자기옹호의 구성요소인 문제상황인식과 의사소통 모두 향상하였다. 유의한 평균 차이의 정도를 측정하는 효과크기를 계산하기 위해 산출한 자기옹호 총점과 구성요인의 Cohen’s d와 Hedge’s g 모두 통상적으로 받아들여지는 큰 효과크기의 기준인 .8보다 큰 값을 보였다. 이와 같은 연구는 지적장애 고등학생의 직업 관련 자기옹호 향상에 비디오모델링을 활용한 노동인권교육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는 근로자의 권리와 의무를 포괄적으로 다룬 노동인권교육을 진행하였으며 근로 환경이라는 구체적인 상황에 근거한 자기옹호를 교수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또한 비디오모델링과 같은 학생들의 동기를 유발하는 교육 자료 및 교육 방법을 사용하였고 교사와 학생 간의 역할극을 통해 자기옹호를 연습하였다는 점에서 실천적인 중재로서의 의의를 갖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effects of the education on human rights of labor with video modeling on self advocac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validate the effect of the program, an experimental group was selected from special education high school. A total of 15 students in the 1st-3rd grade of high school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s a single group pre-post design. The labor rights education using video modeling conducted in this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15 sessions, with a total of 12 sessions of three different situations depending on the four types of labor rights violations. The types of labor rights violations were divided into (1) wage arrears, (2) verbal abuse, assault, sexual harassment, (3) industrial accidents, and (4) unfair dismissal, Self advocacy was taught according to a total of 12 types of labor rights violations, consisting of video modeling data on three situations according to each type. In this study, self advocacy consisted of problem awareness and communication, and the components of self advocacy were taught according to the situation. To this end, the research used the 'Self Advocacy Assessment Tools' developed by the researchers after reviewing the preceding literature, and the composition questions are (1) problem situation awareness and (2) communication (lingual and behavioral skills). The age and adaptive behavior test scores were measured to ensure homogeneity of the study participants, and the data collected by each research question was analyzed and processed to identify changes in self advocacy of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ollowing the implementation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using video modeling. To this end, the response sample t-test was conducted using SPSS on the difference in self-protection of groups of research participants before and after the implementation of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using video model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peated measurement t test comparing the total points of self advocacy before and after the training of labor human rights confirmed that the total score of self advocacy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total score of self advocacy. Second, self advocacy according to the four situations of labor rights infringement has all been improved. Looking at the four situations in which self advocacy is required, it was confirmed that the average score of self advocacy by groups of research participants has increased significantly since the implementation of labor rights education in the situations of "payment of wages,” "violence, sexual harassment,” "industrial accidents,” and "safety accidents.” Third, both problem awareness and communication, which are components of self advocacy in the workplace, have been improved. Both the self advocacy total and the components' Cohen's d and Hedge's g, calculated to find out the effect size measuring the degree of significant mean difference, showed values greater than the commonly accepted criterion of large effect sizes, .8. This study shows that the education of labor rights using video modeling has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self advocacy at work for high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conducted labor human rights education that comprehensively covered workers' rights and obligations and taught self advocacy based on the specific situation of the working environment. It is also meaningful as a practical arbitration in that it used student-motivated educational materials such as video modeling and practiced self advocacy through role play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특수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