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05 Download: 0

컬러테라피를 활용한 색채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정서안정에 미치는 영향

Title
컬러테라피를 활용한 색채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의 스트레스와 정서안정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color design class using color Therapy on the stress and emotional stability of first-year high school learners
Authors
이예슬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효정

서은애

강주희
Abstract
현대사회로 들어서면서 컬러가 인간에게 미치는 정신적·심리적 효과에 관한 여러 연구와 시각 매체의 사용 증가로 인해 컬러에 대한 인식이 부각 되었고, 이로 인해 컬러의 자연 치유 효과를 활용한 ‘컬러테라피’의 중요성 또한 높아지고 있다. 컬러테라피를 활용한 색채 미술수업은 개인의 흥미를 높이고 학습자의 스트레스 해소와 풍부한 정서 함양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학습자들의 삶에 활기를 불어 넣어준다. 지금까지 여러 연구에서 컬러테라피의 긍정적 효과가 밝혀졌음에도 불구하고 컬러테라피는 여전히 미술치료의 한 방법으로만 제시되고 있다. 하지만 이제는 치료의 목적과 함께 예방이라는 차원에서 컬러테라피가 학교 미술수업 및 교육현장에도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선행연구를 통하여 종래의 색채교육은 미술 교과 내에서 중요성 있게 다루어지고 있지 않다는 것과 색채교육 관련 연구 또한 부족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현재까지 미술수업에서 색채 단원은 소단원이나 학습의 한 요소로만 나타나며 색채이론 및 전통적 색채교육을 답습하고 있다. 한국검인정교과서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10종을 분석한 결과, 다수의 교과서가 색채 내용이 부족하거나 활동의 수가 적은 것을 볼 수 있었으며 소수의 교과서에서는 색채 단원이 없거나 활동지조차 제공되지 않고 있다. 더군다나 색채 교육과 관련된 연구는 아동과 미취학 학생들에게 한정적으로 이루어져 고학년 학습자들에 대한 색채수업 및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사전수업 관심도 조사결과, 본 고의 연구 대상인 고등학교 1학년 학습자들은 색채수업 기회가 적었고, 충분한 색채 내용 제공이 되지 않아 색채를 이해하고 표현하는 능력이 부족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색채 미술수업은 학생들에게 정서 체험을 통한 정서순화를 도모하며 자아를 발전시킬 수 있다. 오늘날 청소년들은 다양한 스트레스와 정서 문제를 직면하는데, 이러한 상황에서 컬러테라피와 색채 미술수업을 융합하여 상호 보완의 통합적 형태로 교수되어 질 때, 보다 효과적인 교육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 위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본 연구자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뉴 패러다임의 색채교육 필요성을 느꼈다. 따라서 본 연구수업은 각 연계성이 적은 ‘컬러테라피’와 ‘색채 미술수업’, ‘청소년’을 매개로 하여 청소년 색채학습방법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주제는 컬러테라피 활동을 적용한 색채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와 정서안정에 대해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이다. 컬러테라피를 통한 색채 미술수업은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고 본다. 첫째, 청소년들에게 색채에 대한 흥미를 높여줄 수 있으며 풍부한 색채 감각을 길러준다. 둘째, 컬러테라피를 통한 색채 미술수업은 청소년의 스트레스를 완화하고 예방하는 데 도움을 준다. 셋째, 컬러테라피를 통한 색채 미술수업은 청소년의 정서안정에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 본 연구의 순서는 먼저, 색채 미술수업에 컬러테라피를 도입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이론적 고찰을 진행한다. 이를 통해 컬러테라피를 통한 색채 미술수업의 필요성과 컬러테라피와 스트레스& 정서안정의 관계를 살펴본다. 수업 설계는 실험학교 교과서 내의 색채 영역을 분석하고 이론을 기반으로 하여 구체적으로 구성한다. 연구대상은 산청군에 소재한 S고등학교 1학년 5개 학급으로 단일집단으로 진행되며 총 114명의 학습자가 연구수업에 참여한다. 실험 수업은 2020년 5월 6일부터 6월 2일까지 4주 기간 동안 총 6차시의 온라인 수업으로 진행한다. 집단 간 실험을 통한 전·후 스트레스와 정서안정의 비교는 각각의 사전·사후검사를 통해 검증한다. 스트레스 검사지는 윤정미 외(2019)가 수정 및 보완한 검증된 검사지를 사용하며, 정서안정 검사지는 윤영채(2007)가 수정 및 보완한 검증된 검사지를 사용한다. 통계 분석은 SPSS Ver 26.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 처리하며 실험 전·후를 분석한다. 더불어 검사결과와 함께 수업결과물 평가를 진행하여 청소년들의 내면 스트레스와 정서가 어떻게 표출되었는지 이미지로 살펴본다. 본 연구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일집단의 스트레스 검사 점수가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지수로 나타난 것으로 보아 컬러테라피를 적용한 색채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의 스트레스에 효과가 있는 것을 검증한다. 둘째, 단일집단의 정서안정 검사 점수가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나타난 것으로 보아 컬러테라피를 적용한 색채 미술수업이 고등학교 1학년 정서안정에 효과가 있는 것을 검증한다. 셋째, 컬러테라피를 학습한 학습자는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는 과정을 통해 자신을 돌아보고 스스로를 치유함으로써 청소년 시기의 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안정 확립에 도움이 된다. 넷째, 수업 만족도 검사를 통해 청소년들의 색에 대한 흥미와 이해, 만족도 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확인한다. 결과적으로, 색채 미술수업에서 컬러테라피의 적용이 청소년기의 학습자에게 효과적으로 활용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며, 스트레스 및 정서안정 검사지를 통해 스트레스 지수는 낮아지고, 정서안정 점수는 크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본 연구는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컬러테라피 색채 미술수업을 통해 학습자들의 스트레스 지수를 감소시키고 정서안정 지수를 높여주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앞으로 학습자의 흥미를 이끌어주는 색채 교육방법이 활발히 연구되어 청소년들에게 필요한 스트레스 해소 및 정서안정을 도와줄 수 있는 다양한 색채교육이 이루어지기를 바란다.;Entering modern society, various studies on the mental and psychological effects of color on humans and increased use of visual media have highlighted the perception of color, which is also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color therapy using the natural healing effects of color. Color art classes using color therapy not only increase individual’s interest. Help learners relieve stress and foster richer emotions, but further energize learners' lives. Despite the positive effects of color therapy so far, color therapy is still only presented as a method of art therapy. However, color therapy should now be used in school art classes and educational sites in terms of prevention of stress, along with the purpose of treatment. A prior study confirmed that the only traditional color education was treated as important within the art curriculum, and that there was a lack of research related to color education. Until now, color units in art classes have only appeared as supplementary parts or as a component of learning, following color theory and traditional color education. According to an analysis of 10 types of "Art" textbooks at the Korea Certified Textbook High School, many textbooks lacked color content or had few activities, and few had color units or provided any reference of color activity. Furthermore, research related to color education is limited to children and preschoolers, thus are a lack of color classes and research for senior student. According to the preliminary class interest survey, first-year high school learners, who are subject to the study, had fewer opportunities to learn color, and because they are not given enough color classes, we can see that they lack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express colors. Color art classes can develop students' ego by promoting emotional purification through emotional experiences. Teenagers today face a variety of stress and emotional problems, in which they can expect more effective educational outcomes when they are educated with an integrated form of complementary education by combining color therapy and color art classes. I felt the need for a new paradigm color education for teenagers to overcome the above problems. Therefore, this research class aims to present a new direction for color learning methods in adolescence through: color therapy, color art classes, and teenagers, which are less connected. The topic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color art classes applied with color therapy activities affect stress and emotional stability for first graders in high school. Color art classes through color therapy are expect to have the following effects. First, it can increase teenagers interest in color and develop a rich sense of color. Second, color art classes through color therapy help to relieve and prevent stress in teenagers. Third, the color art class through color 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emotional stability of teenagers. The sequence of studies first proceeds with theoretical considerations to propose how to introduce color therapy in color art classes. Through this, we look at the need for color art classes through color therapy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color therapy, stress, and emotional stability. Class design analyzes color areas within experimental school textbooks and organizes them specifically based on theory.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five classes of first graders in S high school located in Sancheong-gun, with a total of 114 learners participating in the research class. The experimental classes ran from May 6 to June 2, 2020, with a total of six online lectures. The comparison of pre- and post-war stress and emotional stability of the group is verified by their respective pre- and post-examinations. The research and inspection tools are: the stress test paper revision of Yoon Jung-mi (2019) as well as the corrected emotional stability test paper of Yoon Young-chae (2007). Statistical analysis is statistically processed using the SPSS Ver 26.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In addition, we will proceed with the assessment of the results of the class, we look at images of how teenagers' stress and emotions are express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stress test scores of a single group are postmortem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es, which verify that color art classes applied together with color therapy are effective for high school freshman stress. Second, the emotional stability test scores of a single group are statistically significant indices, and color art classes applied with color therapy are verified to be effective in emotional stability for first-year high school students. Third, color therapy participants can look back at themselves and heal themselves through the process of expressing their emotions, which can help relieve stress and establish emotional stability in adolescence. Fourth, the class satisfaction test confirms that a positive assessment has been made in terms of interest, understand, and satisfaction of teenagers' color therapy results. As a result, it is confirmed that the application of color therapy in art classes can be effectively utilized for learners in adolescence. The stress and emotional stability checks show that the stress index has been lowered and the emotional stability score has been significantly improved.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color therapy color art classes for first graders in high school reduced learners' stress index and increased the emotional stability index. In the future, we hope that color education methods that will be actively studied to provide various color educational tools that can help teenagers relieve stress and stabilize their emo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