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9 Download: 0

인성교육을 위한 고등학교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효과성

Title
인성교육을 위한 고등학교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 및 효과성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and Effectiveness of Teaching-Learning Model for High School Art Subject for Character Education : Focusing on Bandura’s Observational Learning and Visual Culture
Authors
김미화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인성교육은 자신과 외부의 조화로운 삶을 영위하기 위한 인간의 전인적 성장을 목적으로 한다. 시대의 변화에 따라 요구되는 인재상에 따라 인성의 개념이 다양하게 정의되고, 인성교육은 다양한 방식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학습자의 인성 수준에 대해서 만족할만한 실효를 거두지 못하여 실제적인 인성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실효성 제고를 위한 개선 방안이 활발하게 논의되었다. 이에, 역량과 가치를 중심으로 학교, 교실, 교과 단위 교육과정에서 인성교육을 실천하기 위한 방안이 제시되었다. 또한, 이러한 실천적 방안으로 각 교과 내에서 적합한 방법으로 인성교육이 전개되었으나, 교과와 균형을 맞춘 실제적인 인성교육의 어려움에 따라 구체적인 방안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이 연구자는 인성 수준 검사 결과(KEDI, 2014)에 따라 그 필요성이 제기된 중등학교 학습자를 대상으로 미술 교과에서 인성교육의 실제적인 수행 방안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표현과 감상 활동을 통한 미술 교과의 수업 전개 방식은 수업 활동에서 학습자가 미적 감수성을 활용하도록 촉진한다는 점에서 정서적 특성을 포함하는 인성학습과 높은 관련이 있다. 이에, 이 연구는 학습자의 인성 형성을 고려한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을 개발하고, 모형을 적용한 수업이 학습자의 인성 수준에 미치는 효과성을 검증하여 미술 교과 내의 장기적이고 실용적인 인성교육 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 목적을 위한 연구방법과 절차의 내용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선행연구를 통해 인성과 인성교육의 정의, 인성의 요소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인성요소를 추출하고, 추출한 인성 요소를 바탕으로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과 인성요소의 연관성에 대해 고찰하였다. 리코나(Lickona. T., 2004), KEDI(2014), 조셉슨 연구소(Josephson institute, 1992)에서 제시한 인성요소의 의미 고찰을 통해 사랑, 정의, 성실, 용기, 자기조절, 자기존중 등의 인성요소를 추출하고, 요소의 작용 방향에 따라 내면적 요소, 외면적 요소, 태도적 요소로 분류하였다. 이 연구에서 추출한 6개의 인성요소 및 15개의 하위 인성요소를 적용해 교육과정을 분석한 결과, 미술 교육과정에서 제시하고 있는 교과 역량과 인성요소의 유의미한 관련성에 따라 인성교육에서 미술교육이 효과적으로 전개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선행연구를 통해 인성교육을 위한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에 활용 가능한 이론들을 고찰해 이 연구의 교수학습 모형의 구성요소를 설정하고, 이를 바탕으로 이 연구 교수학습 모형의 초기 모형을 개발하였다. 반두라(Bandura)의 관찰학습(Bandura, 1977)을 바탕으로 이 연구의 교수학습 모형의 수업 과정 및 요소를 설정하였고, 상호결정론(Bandura, 1986)을 바탕으로 이 연구의 교수학습 모형을 통해 인성 역량이 함양되는 주요 요소와 작용을 설명하였다. 추가로 시각문화를 이 연구의 교수학습 모형의 수업 도구로 활용해 시각적 문해력을 통해 인성 형성을 도울 수 있는 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셋째, 이 연구의 교수학습 모형에 대해 내·외적 타당화를 시행하였다. 또한, 이 연구의 교수학습 모형의 효과성을 보기 위해 현장적용 평가를 실시하고 인성 수준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미술교육, 인성교육, 교육정책 전문가 3인이 세 차례의 전문가 타당도 검사에 참여하였고, 현장 교사 3인이 사용성 평가에 참여하였다. 이 과정을 통해 모형을 계속해서 수정하여 개발한 3차 개념모형, 절차모형, 설계원리를 현장적용하여 외적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현장적용 평가에는 연구자가 참여하여 고등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인성 수준 검사(한국교육개발원, 2014)를 통한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이 모형이 적용된 미술수업이 학습자의 인성 역량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았다. 넷째, 이 연구의 교수학습 모형의 최종 모형을 확정하고 학습자의 인성 수준 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개념모형은 ‘주체적 학습자’, ‘인성학습 공동체’, ‘인성 경험’과 같은 요인에 의해 발생하는 ‘실천 의지’, ‘사회적 상호작용’, ‘자기효능감’으로 인성 함양의 작용 과정을 설명한다. 절차모형은 수업 전 설계, 수업 중 활동, 수업 후 평가를 중심으로 ‘재구성’, ‘실행’, ‘평가’과정을 포함한 8개의 세부적인 수행단계가 포함되었다. 또한, 실행 단계에서 반두라의 관찰학습과 시각문화를 적용해 ‘인성요소 관찰’,‘인성요소 탐구’,‘인성요소 활용’,‘인성요소 확인’단계로 수업 과정을 제시하였다. 또한, 인성 수준 사전·사후 검사를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SPSS Ver 22.0)을 사용하여 두 종속표본 t 검정을 통해 이 연구 목적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고 모형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학습 모형은 개념모형, 절차모형, 설계원리 및 지침으로 구성된다. 이는 수업 구성요소와 절차를 안내하는 최종 개념모형과 절차모형, 9개의 설계원리와 24개의 상세지침으로 확정되었다. 둘째, 이 연구에서 개발한 시각문화 인성 모델링 학습모형은 타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에서 개발한 모형에 대한 타당화를 통해 관련 문헌 탐색의 타당성과 모형의 타당성, 설명력, 적절성, 유용성, 보편성 등의 항목에 대해 전문가 타당도 검사를 진행해 이 연구에서 개발한 교수학습 모형의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셋째, 모형의 적용은 매우 효과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학습자의 인성 수준 사전·사후 검사 결과 전체점수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고 두 종속표본 t 검정 결과 통계상에서 유의미한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또한, 집단 내 인성 역량의 하위 영역 사전·사후 검사에 있어서도 모든 영역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이처럼 이 모형을 적용한 미술과 수업은 학습자들의 인성 역량 함양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고, 교수자가 인성교육을 위해 실제적인 미술과 수업을 설계하고 시행하도록 안내하는 유용한 모형임을 확인하였다. 이 연구는 인성교육을 위한 미술과 수업의 실제적인 방안에 대해 제시하고 있으며, 이는 다양한 역량기반 교육과정을 중점으로 한 수업에도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 또한, 수업에서 과정 평가와 인성학습공동체를 구성하여 학습자의 주체적 학습을 도울 뿐만 아니라 수업 윤리를 형성해 자연스러운 인성 함양을 도울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이처럼 이 모형은 반두라의 관찰학습과 시각문화를 기반으로 개발된 이 모형을 통해 인지, 정의, 심리 행동적 영역 등과 같이 다각적 학습상황을 통해 인성학습에 접근한 미술과 교수학습 모형 개발이라는 점에서 함의를 갖는다. 이 연구의 교수학습 모형인 ’시각문화 인성 모델링 학습모형‘은 시각문화를 통해 인성요소를 이해하고 경험하며 시각적 문해력을 통해 이를 비판적으로 수용할 수 있도록 돕는다. 또한, 시각문화를 통한 다각적인 학습 장면 구성을 통해 학습자는 주체적으로 인성 역량을 내면화하고 실천 의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연구의 교수학습 모형은 인성학습과 교과수업의 균형, 앎과 실천이 조화를 이루는 실천방안으로 역량을 중심으로 한 미술과 수업 설계모형으로 교육현장에 반영되기를 기대한다.;Character education is aimed at the whole human growth to lead a harmonious life for oneself and the outside. Changes in the world require a variety of character competencies. Therefore, character was defined in various concepts and character education developed in various ways. However, improvement measures for satisfactory effect were actively discussed due to the lack of satisfactory effectiveness on the character formative level of the student, raising the need for practical character education. Accordingly, measures were suggested to practice character education within the national curriculum of schools, classrooms, curriculum units focusing on competence and value. Character education was developed in a suitable way within each subject curriculum, but the need of concrete measures was raised due to the difficulties of practical character education balanced with the subject learning and character learning. The need for character education was raised in secondary school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learners character formative level test (KEDI, 2014). According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practical measures for character education through art class in secondary school. The instructional method in art subjects through expression and appreciation activities is highly related to character learning, which includes affective value, in that it promotes the use of learners aesthetic sensitivity in class activities. Thu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art subject to help build character of learners and to proposed measures for long-term and practical character education within art subject by verifying the character formative level of learners. The research methods and procedures for achieving the research objectives are as follows. First, the virtue elements have been extracted through previous research on the definition of character and character education and theoretical consideration of essential virtues. Furthermore, based on the virtue elements extracted, the 2015 revised art subject curriculum and the association of virtue elements were considered. The virtue elements such as love, justice, sincerity, courage, self-control, and self-respect extracted through the consideration of the meaning of the essential virtues presented by Lickona. T. (2004), KEDI (2014), and Josephson Institute (2010). And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action of the element, it was classified as an internal element, an external element, and an attitude element. The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art subject curriculum by applying 6 virtue elements and 15 sub virtue elements extracted from 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capabilities presented in it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virtue elements. This means that character can be effectively form through art education. Second, Theories that can be used for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al model were considered through previous research. Based on this process, components of the model were established and procedural model was developed. This model is based on Bandura’s theory. So, the components of the model were based on Reciprocal Determinism (Bandura. A., 1986), and the procedure model was base on Obsevation Learning (Bandura. A., 1977) process. Consequently, The conceptual model and procedure model describe the essential components and processes of character modeling process through this model. In addition, this researcher developed this model that can help build up character through visual literacy by utilizing visual culture as instructional media. Third, internal and external validation was carried out on the model. In addition, The on-site validation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iveness of this model and a character formative level pre-post tests was conducted. 3 experts in art education, character education and educational policy participated three validation tests. Also, 3 of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participated in this process. The model was continuously revised through in this process. The 3rd conceptual model, the procedural model, and the design principles developed through this process were applied external validation. The on-site validation, in which this researcher participated as and evaluator, was conducted for 10th graders. In this process, character formative level test, developed by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2014), were conducted on learners. The purpose of tests were to confirm the effect of art class designed according to the model to character formative level. Fourth, this researcher established the final model of the model in this study and analyze the results of character formative level. The conceptual model in this study describes the process of build up learner character formation with ‘will for action’, 'formation of motive' and 'self-efficacy' caused by factors such as 'self-directed learner', 'character learning community' and 'virtue experience'. The procedural model suggests 8 detailed designing steps in accordance with the process of ‘reorganization’, ‘implementation’, and ‘evaluation’. The implementation process carries out the ‘observation of virtue elements’, ‘exploration of virtue elements’, ‘utilize of virtue elements’, ‘confirm of virtue elements’ based on Bandura's Observational Learning and visual culture. The formative level data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was verified and analyzed with two dependent samples t-test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Ver 22.0)to confirm significant resul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model consists of a conceptual model, a procedure model, design principles and detailed guidelines. The final conceptual and procedural models, 9 design principles and 24 detailed guidelines were established to guide the instructional design for character learning in art education. Second, instructional design model for character modeling through visual culture was confirmed to be valid. Through the validation process for the model developed in this study, the validity of a prior study and validity, explanation ability, adequacy, usefulness, generality, of model were ensured the validity of the model. Third, the application of the model has been shown to be very effective. As a result of the pre-post tests of the character formative level,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in the overall score, which means that the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iveness of the two dependent sample t-test results can be verified.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all area in the pre-post tests of the learner character formative level within a group.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rt education class applying this model has a positive effect on character formative level of students, found that this model is useful for guiding teachers to systematically design for character learning in art education based on observational learning and visual culture. The study suggests practical ways of art classes for character education. This can be used for art classes focusing 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In addition, character learning community in the execution of classes can help learners self-directed learning, and can help form natural character formation through classes ethics. As such, this model is meaningful in that it is teaching-learning model that approaches character learning in a variety of learning situations such as cognitive domain, affective domain, psychomotor domain. Instructional model for character modeling through visual culture, teaching-learning model in this study, help learners understand, experience, and critically accept virtue elements through visual culture. Through the composition of multilateral learning situations through visual culture, learners can self-directed internalize their character competency and form a willingness to practice. It is expect that the teaching-learning model of this study to be reflected as way of character education balanced with the subject learning and character learning, knowledge and practice. It is expect to be reflected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as a form of desirable Instructional design model of art education focusing on Competency-Based Curriculu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