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95 Download: 0

VTS미술 감상교육이 시각적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 연구

Title
VTS미술 감상교육이 시각적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n the Influence of VTS Art Appreciation Education on Visual Literacy :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hors
김미진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은애
Abstract
미국의 국립예술기금(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NEA)은 예술이란 요람에서 시작하여 학교에서, 그리고 그 이후에 평생을 두고 배워야 하는 새로운 것의 발견을 위한 여행으로서 예술교육을 통해 우리의 삶을 보다 풍요롭게 할 수 있다고 강조하고 있다(김미선 외, 2011). 따라서 미술교육은 학교에서 가르치는 과목이라는 제한된 접근에서 벗어나 전 생애적 관점에서 평생의 삶을 행복하게 누리는데 있어 필요한 교육으로 이루어져야 한다(김미선 외, 2011). 이처럼 평생교육이 인간의 전 생애를 거쳐서 이루어지는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교육이라면 장애인 또한 평생교육을 받아야 할 주체의 목적대상이 되며, 자율성을 지향하는 존재로 인정되어야 한다. 특히, 성인 지적장애인은 성인이라고 할지라도 타인의 도움 없이 주체적이고 능동적으로 사회에 적응하며 살아가기 어렵다. 따라서 성인 지적장애인들이 지역사회의 일원으로 독립적인 생황능력을 갖도록 하기 위해서는 평생교육의 개념으로 다양한 교육과 제도가 요구된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성인 지적장애인의 특성을 고려한 교육 프로그램이 필요하며, 이들의 능동적인 사회성을 위해 미술교육이 효과적 방안이 될 수 있다고 보았다. 지적장애인을 위한 많은 교육 중에서도 미술교육은 주지교과에 비해 인지적 격차가 적기 때문에, 그들이 탐색하고 경험한 것을 비언어적인 방식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여러 가지 미술 재료를 함께 나누어 쓰거나 협동 작품 활동을 통해 사회성을 발달시킬 수 있다(박은혜 외, 2015). 특히, 미술 감상은 작품에 대해 이야기하는 가운데 자신의 내적 생각이나 느낌을 표현하고, 다양한 의견을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므로 지적장애인에게 매우 적합한 미술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김미선 외, 2011). 지적장애인에게 미술 감상교육은 미적 감상태도, 의사소통 기능의 향상과 타인과의 교류, 미적 취향의 확립과 선택, 감상 능력 등과 관련하여 매우 큰 의미와 필요성을 가진다. 이에 연구자는 성인 지적장애인을 위한 미술 감상 교육의 방법으로 시각 이미지를 통해 열린 대화와 토론으로 시각적 문해력을 개발하는 시각적 사고 전략(VTS)에 주목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성인 지적장애인에게 VTS미술 감상교육을 실행하여 이후 장애인을 위한 미술교육현장의 다양한 변화와 미술교육을 수행하기 위한 구체적인 논의점을 탐색하는 것이다. 이에 연구자는 성인 지적장애인에게 평생학습으로서 미술교육의 필요성을 제안하고, 이러한 미술교육의 방법으로 VTS미술 감상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및 진행하여 성인 지적장애인의 감상수업 경험과 학습 과정을 현상학적으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성인 지적장애인 2명을 대상으로 2020년 10월 17일부터 2020년 10월 31일까지 일주일에 한 번 하루에 2차시씩 총 6차시 동안 경기도 성남시 S스터디카페에서 진행되었다. 프로그램 진행시 참여자의 동의를 구하고 매 차시 수업 대화 내용을 녹화 및 녹음하였으며 마지막 차시에는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그 내용을 기록 및 녹음하였다. 이렇게 수집된 녹음자료를 수업 종료 후 바로 전사화하여 연구 자료로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의 방법은 질적 분석 방법으로 월코트(Wolcott, 1992)의 기술, 분석, 해석의 절차에 따라 다양한 자료를 수집하여 개방 코딩작업을 통해 범주화한 후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다. 수집한 자료를 분석한 결과로 총 5개의 상위 범주와 10개의 하위 범주를 도출하였으며 범주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상위 범주 <지각적 감수성>의 하위 범주는 ‘조형요소 관찰’, ‘조형원리 관찰’이며, 상위 범주 <미적 개방성>의 하위 범주는 ‘정서적 반응’, ‘작품 감상에 대한 자신감’이다. 상위 범주 <개인적 경험을 서사로 발전>의 하위 범주는 ‘개인적 경험 언급’, ‘작품의 주제와 관련된 이야기 만들기’이며, 상위 범주 <시각적 추론>에 대한 하위 범주는 ‘근거가 뒷받침된 의견’, ‘열린 가능성으로 추측’이다. 마지막으로 상위 범주 <의미 구성하기>의 하위 범주는 ‘이미지에서 의미를 찾음’, ‘가치 판단’이다. 본 연구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VTS미술 감상교육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시각적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시각적 문해력의 하위 영역인 ‘지각적 감수성’, ‘미적 개방성’, ‘개인적 경험을 서사로 발전’, ‘시각적 추론’, ‘의미 구성하기’의 각 역량요인이 유의미한 향상을 보인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이에 따라 VTS미술 감상교육은 성인 지적장애인의 시각적 문해력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낼 수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VTS미술 감상교육을 통해 성인 지적장애인의 시각적 문해력이 향상되는 결과가 나타났다. 연구에 참여한 성인 지적장애인은 VTS미술 감상교육을 통해 이미지를 해석하고 그 의미를 구성하며 논리적인 글쓰기로 정리하는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타인과 대화하며 토론하는 과정을 통해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되고 사회성도 함양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뿐만 아니라 일방적이고 수동적인 미술 감상이 아닌 본인이 스스로 작품의 의미를 찾아가는 자기 주도적인 감상을 경험하며 미술 감상에 대한 자신감이 생겨나 미술 문화예술을 향유하려는 의지가 생겨났다. 이는 수많은 시각 정보의 홍수 속에서 비판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고 주체적으로 가치 판단을 할 수 있는 시각적 문해력이 향상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또한 시각적 문해력의 하위 영역인 ‘지각적 감수성’을 통해 사물을 관찰하고 인지하는 능력이 향상되었고, ‘미적 개방성’을 통해 미적 가치를 내면화하여 자신의 감정을 표현할 수 있게 되었으며, ‘개인적 경험을 서사로 발전’을 통해 작품과 자신의 삶을 연결시켜 그것으로부터 서사를 만들어나가는 창의성이 생겼으며, ‘시각적 추론’을 자신의 의견을 근거를 들어 논리적으로 설명할 수 있게 되었고, ‘의미 구성하기’를 통해 능동적으로 이미지를 읽으며 나름대로의 가치를 판단할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성인 지적장애인을 위한 평생교육으로서의 미술교육 방안으로 이러한 VTS미술 감상교육을 진행하는 것은 성인학습으로서 효과적임을 본 연구를 통해 알 수 있었다. 이를 통해 본 연구 수업이 성인 지적장애인의 문화예술 교육의 현장에서 많이 활용되어 성인 지적장애인이 문화예술을 향유하고 누릴 수 있는 기회가 많아지길 기대해 본다.;The National Endowment for the Arts (NEA) in the United States emphasizes that art is a journey to discover new things that should be learned from the cradle, at school, and then for a lifetime, and that art education can enrich our lives. (Kim Mi-seon and co-authors, 2011). Therefore, art education should not be implemented from a limited perspective that sees it as a subject taught in school, but as an education necessary to fully enjoy life from a lifelong perspective. (Kim Mi-seon and co-authors, 2011). If lifelong education is an educa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life that takes place throughout the whole life, the disabled are also subject to lifelong education and should be recognized as beings who aims for autonomy. In particular, it is difficult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adapt themselves to society without the help of others. Therefore, a variety of systems and lifelong education are required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have independent livelihoods as members of the community. I believe that an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necessary, and art education can be an effective way for them to get active social skills. Among many kinds of education for the intellectually disabled, art education shows less cognitive gaps compared to major subjects, and they can express their exploration and experience in a non-verbal way and develop social skills through sharing various art materials or collaborative activities (Park Eun-hye and co-authors, 2015). In particular, it can be said that art appreciation is a very suitable way of education for person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because it provides the opportunity to express one's inner thoughts and feelings while talking about works of art and interacting with diverse opinions (Kim Mi-seon and co-authors, 2011). For people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education in art appreciation has great significance and importance in terms of improvement of aesthetic sense, communication skills and exchange with others, establishment and choice of aesthetic taste and capacity for appreciation. Therefore, I focused on Visual Thinking Strategies (VTS), which develops visual literacy through open dialogue and discussion through visual imagery as a method of education in art appreciation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nduct VTS art appreciation education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en explore changes in the field of art education for persons with disabilities as well as concrete points in the execution of art education. Therefore, I suggested the necessity of art education as lifelong learning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as a method of art education, I designed and conducted VTS art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to examine the appreciation experiences during the classes and the learning process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a phenomenological way. This study was conducted on two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from October 17, 2020 to October 31, 2020 at “S” study cafe located in Seongnam, Gyeonggi Province, for a total of six sessions, once a week and twice a day. The conversations during the course of the program were recorded for each session, with the consent of the participants. In the last session,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nd recorded.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transcribed immediately after class and collected and analyzed as research data. The research method was a qualitative analysis method. Various data were collected according to the technique, analysis, and interpretation procedures of Wolcott (1992), categorized using open-coding work, and analyzed for results.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a total of five upper categories and ten subcategories were derived, with the following categorization contents: The subcategories of the upper category are “Observation of Modeling Elements” and “Observation of Modeling Principles”, and the subcategories of the upper category are “Emotional Response” and “Confidence in Appreciation of the Works”. The subcategories of the upper category are “References to Personal Experience” and “Making a Story Related to the Theme of the Work,” and the subcategories of the upper category , are “Opinion Supported by Evidence” and “Conjecture as Open Possibility”. The subcategories of the last upper category, < Configuring Meaning >, are “Finding Meanings in Images” and “Value Judgment”.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this study, the conclusions on the impact of VTS art appreciation education on the visual literac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as follows. First, we can see that participants have shown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ach of the competence factors of the following subcategories of visual literacy: , , , , and . Second, we can conclude that VTS art appreciation education has a significant impact on visual literacy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f we take an overall look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can see that visual literacy of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as improved through VTS art appreciation education. VTS art appreciation education has improved the ability of the adult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who participated in the study to interpret images, construct their meanings, and organize them into logical writing, and the process of talking and discussing with others has improved communication skills and social skills. In addition, after experiencing self-directed appreciation, rather than an unilateral and passive appreciation of art, which makes one seek the meaning of the work by oneself, self-confidence in art appreciation arose, resulting in a willingness to enjoy the art and culture. This can be interpreted as an improvement in visual literacy, which can critically accept information and independently value it amid a flood of visual information. In addition, the ability to observe and recognize objects was improved through , a subordinate field of visual literacy. Through it was possible to internalize the aesthetic values to express one's feelings, and through the , creativity arose by connecting works of art with one's life, and on the basis of , one could explain one's opinion logically. Through , the images could be actively read and it has become possible to judge values in one's own way. Therefore, the study showed that conducting VTS art appreciation education as a lifelong education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s effective for teaching adults. I hope that through this study, this research program will be widely applied in the field of art and culture education for adul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nd that there will be more opportunities for them to enjoy art and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