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12 Download: 0

미술과 교육에서의 인성교육 연구동향 분석

Title
미술과 교육에서의 인성교육 연구동향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the Research Trend for Character Education in Art Education : Focusing on the Monographs Published in Journals or Thesis/Dissertations from 1996 to 2020
Authors
강가애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2020년 전 세계적으로 코로나-19로 인한 팬데믹 상황에 놓이게 되면서 사회, 경제, 교육적인 측면에 큰 변화가 일어나고 있으며, 특히 학교 현장에서는 온라인 수업이라는 상황이 지속되면서 학생들의 공동체 생활 공백에 따른 인성교육의 부재가 우려되는 상황에 놓여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포스트 코로나라는 새로운 시대를 맞이하게 된 현 시점에서, 타인과의 경쟁으로 이기는 것만이 중요한 것이 아니라 인간의 존엄을 지키고 회복하는 인성교육이 무엇보다 중요한 시기라고 생각하기에 인성교육에 주목하고자 하였고, 특히 미술과 교육에서 이루어지는 인성교육 관련 연구동향을 분석하여 향후 미술과 인성교육 연구의 방향을 조망해보는 데에 목적을 두고 있다. 우리나라의 인성교육은 국가 교육정책의 핵심과제로 추진되면서 1995년 5·31 교육개혁의 실천 중심 인성교육을 시작으로 2009 개정 교육과정의‘창의·인성 교육’추진, 2012년‘학교폭력근절종합대책’마련, 2015년‘인성교육진흥법’의 제정으로 그 중요성이 더욱 강조되고 있다. 특히 교육부(2015)에서는 학교 교육에서 미술을 통한 인성교육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미술교과를 바른 인성과 문화적 소양을 갖추고 창의적 인재를 기를 수 있는 핵심교과로 명시하고 있으며, 미술 활동을 통해 자신의 감정을 이해하고 시각 이미지를 매개로 타인과 소통하고 공감함으로써 자연스럽게 인성을 함양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인성교육이라는 용어가 공식적으로 사용되기 시작한 1996년부터 2020년 8월까지 국내에서 발행된 미술과 인성교육 관련 연구 논문을 석·박사 학위논문과 학술지 논문으로 구분하여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분석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절차로 첫째, 인성교육의 개념과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의 인성교육 변천과정을 살펴보고, 미술교육을 통한 인성교육의 의미와 선행연구 분석을 통해 본 연구의 동향 분석을 위한 분석기준을 설정하였다. 둘째, 1996년부터 2020년까지 이루어진 미술과 인성교육 연구의 분석대상 기준을 선정하여‘인성&인성교육&인성함양&미술&미술과&미술교육’의 키워드로 분석대상 논문을 검색하였다. 셋째, 한국연구정보서비스(RISS)와 한국학술정보(KISS) 데이터베이스를 통해 연구물을 수집하였고, 최종적으로 국내 석·박사 학위논문 54편, 학술지 논문 16편으로 총 70편의 분석대상 논문이 선정되었다. 넷째, 최종 선정된 분석대상 논문을 연구시기, 연구대상, 연구주제, 연구방법별로 분석기준에 근거한 분석틀에 따라 빈도분석과 교차분석을 실시하여 전체적인 연구동향을 파악하였다. 미술과 교육에서의 인성교육 연구동향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연구시기에 따른 결과, 미술과 인성교육 관련 연구는 2013년을 기점으로 크게 증가하다가 2017년에 다시 감소하는 추세를 보였다. 둘째, 연구대상에 따른 결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초등학생이 중학생과 1편의 차이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즉, 미술과 인성교육 연구는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셋째, 연구주제에 따른 결과,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가 전체의 80% 이상을 차지하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넷째, 연구방법에 따른 결과, 문헌연구의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혼합연구, 질적연구의 순으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도출한 결론은 첫째, 미술과 인성교육 관련 연구는 2012년‘학교폭력근절종합대책’2015년‘인성교육진흥법’,‘2015 개정 교육과정’의 영향으로 해당 시기에 연구가 급증한 것으로 판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성교육에 대한 높은 사회적 관심과 요구는 미술과 인성교육 관련 연구의 급격한 증가를 가져온 원동력이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둘째, 학업과 입시 위주의 고등학생보다 미술교육을 더욱 자유롭고 다양하게 경험할 수 있는 교육 환경에 노출된 초·중학생을 대상으로 연구가 집중된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앞으로 미술과 인성교육의 전체적인 균형적 발전을 위하여 고등학생뿐만 아니라 미술과 인성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문헌까지 관심을 갖고 연구되어져야 함을 시사한다. 셋째,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것은 미술과 인성교육의 방향 제시와 함께 실천적인 논의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음을 보여주는 것이며, 특히 미술과 인성교육이 실제 학교 현장에서 상당한 관심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결과로 볼 수 있다. 하지만 향후에는 프로그램 개발·적용 연구뿐만 아니라 이론·내용분석, 교육과정 및 교육정책, 실태·현황 등 미술과 인성교육 전반에 관련된 연구주제를 보다 다변화하여 미술과 인성교육의 기반을 내실화할 수 있는 기초연구가 더욱 활발하게 진행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넷째, 미술과 인성교육 관련 연구가 문헌, 혼합연구에 집중된 것은 프로그램 개발·적용 연구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한 결과와 연결되며, 인성교육의 특성상 양적연구만으로는 인성교육의 효과를 분석하기 어렵기 때문에 집중된 것으로 여겨진다. 이에 따라 향후에는 미술과 인성교육의 발전과 현장 적용을 위한 보다 넓은 범주에서 분류될 수 있는 다양한 연구방법을 모색하여 새롭게 접근하는 효율적인 방법이 연구되어져야 한다. 지금까지 이루어진 미술과 교육에서의 인성교육 연구는 국가 교육정책의 핵심과제와 함께 활발하게 이루어진 것에 비해, 전반적인 연구동향을 분석하거나 제시된 연구는 찾아보기 쉽지 않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에서 수행한 미술과 인성교육 연구동향 분석은 향후 미술교육에서 이루어져야 하는 인성교육의 방향과 논의에 대해서 기초자료를 제시할 수 있으며, 앞으로 있을 미술과 인성교육의 연구뿐만 아니라 미술교육 전반에 걸쳐 의미 있는 작업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With the spread of the global COVID-19 pandemic, significant changes have occurred in the fields of society, economy, and education. Especially at schools, where students still have to rely on online learning, concerns are being raised regarding the lack of community lives and the absence of character education. For this reason, the researcher decided to focus on character education, as it is believed that, with the coming of a new era in the post-COVID world, now is the time when critical education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s it can help protect and restore human dignity, instead of the kind of education where the students are forced into ruthless competi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rend of studies on character education in art education, with a view to estimating the future direction of the studies on character education in art. Character education in South Korea was named as one of the essential objectives of the education policy of the country. Starting with the practice-based character education introduced during the 5-31 Education Reform in 1995, character education in South Korea became more and more important, with the subsequent programs such as the‘Creativity and Character Education’in the 2009 Curriculum Revision, the School Violence Prevention Measures of 2012, and the enactment of the‘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of 2015. Especially, the Ministry of Education(2015) emphasized the need for character education through the art subject in school and specified art as the essential subject which is capable of training creative talents with cultivating sound characters and cultural enrichment. According to the Ministry, art activities can help a person understand his/her own feelings and communicate with others using visual images as the medium, which will naturally result in the cultivation of characters. Based on these notions, the researcher analyzed the overall trend of the studies on character education in art by analyzing the research papers on this topic published in South Korea from 1996, when the term‘character education’was first introduced, to August 2020. These study papers were classified into journal publications and dissertation/thesis. As the process to fulfill the study purpose, firstly, the researcher studied the concept of character education and the history of character education in the South Korean education curriculum. Also, the researcher analyzed the meaning of character education in art and preceding studies in order to set the criteria to analyze the trend in this study. Second, the researcher set the criteria for the targets of analysis to study the character education in art over the period from 1996 to 2020 and used the keywords ‘character, character education, art education for character enrichment, and art education for art subject’to search the database for the articles to be analyzed. Third, the study materials were gathered through the RISS and KISS databases. Finally, a total of 54 dissertations and theses, as well as 16 journal articles, totaling 70 articles, were selected and included in the analysis. Fourth, the researcher conducted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in accordance with the analysis framework that is based on the criteria for analysis by the time of the study, study targets, study themes, and study methods on the study materials that were finally selected. With this, the researcher identified the overall trend of studies. To summarize the analysis result on the study trends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art, first, by the study periods, the studies on character education in art started to increase rapidly from 2013, until it started to dwindle in numbers in 2017. Second, the results by the targets of the studies showed that the studies targeted middle school students were the largest in numbers. This was closely followed by the studies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hich came short by only a single study. That is, the studies of character education in art were mostly composed of the studies targeted elementary school students or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by the themes of the studies, more than 80% of the studies were about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programs, which was the highest in proportion. Fourth, by study methods, the literature review was the highest in number, followed by mixed studies and qualitative studie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the researcher reached the following conclusion; first, the studies on character education in art increased dramatically in numbers when they announced the‘School Violence Prevention Measures’in 2012, the enactment of the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of 2015, and the revised curriculum of 2015. Such heightened social attention and demands could be seen a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drastic increase in the number of character education. Second, it is believed that study efforts were focused o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were at more liberty in experiencing a wider variety of art education compared to high school students, whose art education is more focused on college entrance. This implies that, for the balanced development of character education and art in general, the studies that cover not only high school students but also other articles that could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character education in art must be studied more thoroughly. Third, the fact that the largest number of studies was about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s showed not only the direction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art but also practical discussions for them are taking place frequently. Especially, it can be seen as proof that a lot of attention is being paid to character education in schools. However, It implies that future studies would have to cover not only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but also the analysis of the contents, curriculum and education policy, current status and practices, in an attempt to diversify the study topics so that more efforts could be invested in the basic researches, which can strengthen the basis of character education in art. Fourth, the fact that the studies on character education in the art are focused on literature reviews or mixed studies is connected to the fact that the largest number of these studies were about program development and application. At the same time, it is believed that the concentration is because of the characteristics of character education, which makes it possible to analyze the results of character education only using a quantitative study. As such, more study methods would have to be studied to apply a wider range of categorization, which shall be approached in a new way. While the studies on character education in art education so far were carried out with passion along with the key tasks of the national educational policy. However, it is rather difficult to provide or suggest the overall study tends. Therefore, the study trend of the character education in art herein can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character education and its discussions. Also, it is expected that such a study may be effective in art education in general, in addition to the study of character education in art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