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8 Download: 0

관계적 자기와 학급환경이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모형분석

Title
관계적 자기와 학급환경이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다층모형분석
Other Titles
Multilevel Analysis of the Effects of Relational Self and the Class Environment on Bystanders’ Reaction towards Bullying
Authors
임영은
Issue Date
2021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인수
Abstract
또래괴롭힘 문제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경험하는 학생들에게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점에서 중요하게 다뤄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와 관련하여 정부기관의 노력과 다양한 연구들이 있었지만, 문제를 해결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이유에는 선행연구에서 가해자와 피해자로 양분화 된 개인의 특성만을 강조했고, 다양한 특성에 대한 이해의 폭이 좁았을 뿐만 아니라, 환경에 대한 고려가 부족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또래괴롭힘 문제의 해결을 위해 가해자와 피해자 중심이 아닌 주변인들의 행동을 살펴보고, 관계적 자기를 통해 변인들의 다양한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자 하였다. 또한, 또래괴롭힘의 집단역동을 반영하고자 학급환경을 살펴보았고, 학생들이 속한 집단의 특성과 개인의 특성을 같은 수준으로 분석하는 것이 아닌 다층모형분석을 통해 각각의 특성 변인들을 모두 분석의 단위로 사용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특별히 본 연구에서 사용한 다층모형분석 방법은 다층자료의 위계적 속성을 반영하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학생 특성 변인과 학급 특성 변인을 모두 분석의 단위로 활용할 수 있고, 이는 본 연구가 지닌 선행연구들과의 차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학생들은 학급에 속해 있는 위계적 구조를 이루는데, 이를 회귀분석과 같은 기존의 단층구조를 위한 통계모형으로 분석하게 되면 측정학적 오류가 나타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관계적 자기에 해당되는 학생 특성 변인들(지지받기, 주도성, 관계의존, 공감배려, 도구성, 관계회피, 타인의식)과, 학급환경에 해당되는 학급 특성 변인들(또래지지, 교사지지, 또래괴롭힘허용도, 교사괴롭힘허용도, 학급규칙, 학급응집성)이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동조행동, 방관행동, 방어행동)에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칠 것임을 가정하였다.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은 개인의 대인관계 양상에 따라 달라지기도 하지만, 주변 환경의 영향을 받을 것이라 판단하였기 때문이다. 관계적 자기는 개인에게 동기를 부여하고 일관된 행동을 선택 및 조절하도록 하는 기제로 작용되기 때문에, 또래괴롭힘 상황 속 주변인들이 서로 다른 행동을 하는 데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였다. 또한 학급환경은 학생들의 생각과 태도, 신념, 행동 등의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발달적 맥락이라는 점에서 함께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학급환경은 그 자체로도 또래괴롭힘에 영향력 있는 보호요인 또는 위험요인이 되기도 하지만, 학생 특성 변인들의 상대적 영향력을 억제하거나 강화시키는 조절변수로서 기능할 수 있을 것으로도 예상했다. 이를 위해, 서울 및 충남 지역 중학교 6개교, 58개 학급의 1~3학년 총 1,170명의 학생들에게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그 중에서 978명(53개 학급)의 자료가 최종 자료 분석에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이후 HLM 6.08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2수준 다층모형분석을 진행함을 통해 관계적 자기에 해당되는 학생 특성 변인들(지지받기, 주도성, 관계의존, 공감배려, 도구성, 관계회피, 타인의식)과, 학급환경에 해당되는 학급 특성 변인들(또래지지, 교사지지, 또래괴롭힘허용도, 교사괴롭힘허용도, 학급규칙, 학급응집성)이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동조행동, 방관행동, 방어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각각 확인하였으며, 아울러 학생 특성 변인이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 학급 특성 변인이 조절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지도 함께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동조행동에 대한 학생 특성 변인들의 총 설명력은 13.81%로 나타났고, 이 가운데 관계의존과 도구성은 동조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지지받기와 공감배려는 동조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조행동에 대한 학급 특성 변인들의 총 설명력은 63.64%로 나타났고, 이 가운데 교사지지와 교사괴롭힘허용도가 동조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별히 동조행동은 상호작용 효과도 확인할 수 있었는데, 학급의 교사지지와 교사괴롭힘허용도가 개인의 도구성과 동조행동간의 관계를 유의하게 조절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일반적으로 도구성과 동조행동의 관계는 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는데, 교사지지와 교사괴롭힘허용도가 낮은 학급에서 그 영향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관행동에 대한 학생 특성 변인들의 총 설명력은 20.24%로 나타났고, 이 가운데 공감배려는 방관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도구성과 타인의식은 방관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방관행동에 대한 학급 특성 변인들의 총 설명력은 35.71%로 나타났고, 이 가운데 교사지지는 방관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또래괴롭힘허용도는 방관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어행동에 대한 학생 특성 변인들의 총 설명력은 15.26%로 나타났고, 이 가운데 관계의존과 공감배려는 방어행동에 유의한 정적 영향을, 도구성과 타인의식은 방어행동에 유의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방어행동에서는 학생 특성 변인들에 따른 영향을 교정한 이후 학급 간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학급 특성 변인들의 영향력을 확인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는 방어행동이 동조행동이나 방관행동과 달리 힘의 불균형을 깨는 시도라는 점에서 학급 특성보다는 학생 개인의 특성에 영향을 더 많이 받기 때문일 것으로 보았다. 이상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은 연구의 의의를 제공한다. 첫째, 다층모형을 통해 각각의 또래괴롭힘 주변인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학생 특성 변인과 학급 특성 변인을 함께 검증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그동안 또래괴롭힘 연구에서 간과되어온 관계적 자기 변인의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것이다. 셋째, 청소년들의 또래괴롭힘 문제가 단순히 학생 개인의 특성에 의해서만 영향을 받는 것이 아니라 학급의 환경 또한 중요한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밝혔다는 것이다. 본 연구를 바탕으로 또래괴롭힘 문제의 포괄적 해결방안을 마련하는 실질적이고 발전적인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보고되기를 기대한다.;It is necessary that bullying needs to be dealt with significantly since it is a serious social problem and influences students who experience it continuously in the long term. Though there have been various efforts by the government organizations and studies on it, they have not solved this problem yet. The reason is that the prior studies only emphasize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divided into bullies and victims, had a shallow understanding of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and lacked the consideration of environmental conditions. Accordingly, this study aimed to enhance understanding of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of the variables through relational self and by placing more emphasis on bystanders’ reaction towards bullying than on bullies and victims. In addition, it looked into the class environments in order to reflect the group dynamics, and rather tha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to which students belonged and the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t the same level, it used all the characteristic variables as units of analysis through multilevel analysis. Since multilevel analysis has the advantage of reflecting the hierarchical nature of multilevel data, both the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the class characteristic variables can be used as the units of analysis, which is why this study is differentiated from the prior studies. In practice, students form a hierarchical structure in class, so analysis of this with the existing statistical methods for single-layered structures such as regression analysis may cause errors. Thus, this study assumed that the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s (perceived support from relation, agency, over-dependency to relation, empathy-care, instrumental reaction, avoidance of relation, consciousness of others) and the class characteristic variables corresponding to the class environment (peer support, teacher support, peer tolerance of class bullying, teacher tolerance of class bullying, class rules, class cohesiveness) would influence bystanders’ reaction towards bullying (assisting behavior, bystanding behavior, defending behavior) differently, which is because this study judged that bystanders’ reaction towards bullying could not only depend on the aspect of personal relations but also be influenced by the surrounding environment. Relational self was expected to influence the surrounding people’s different reactions in the event of bullying since it acts as a mechanism to motivate individuals and make them choose or control their consistent reactions. In addition, it was considered that the class environment needed to be examined together in that it was a developmental context that had an important impact on the formation of students’ thoughts, attitudes, beliefs and behaviors. The class environment is in itself an influential protective or risk factor for bullying, but it was also expected to function as a moderator variable that suppressed or strengthened the relative influence of the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s. For this, the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to a total of 1,170 students in the first to third grades in 58 classes of six middle schools in Seoul and Chungnam, and the data from 978 out of them were used for the final data analysis.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PSS 22.0 program, and two-level multileve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HLM 6.08 program in order to figure out the influences of the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s that corresponded to relational self (perceived support from relation, agency, over-dependency to relation, empathy-care, instrumental reaction, avoidance of relation, consciousness of others) and the class characteristic variables (peer support, teacher support, peer tolerance of class bullying, teacher tolerance of class bullying, class rules, class cohesiveness) on influence bystanders’ reaction towards bullying (assisting behavior, bystanding behavior, defending behavior). Besides, it examined whether the class characteristic variables would have a moderating effect when the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s influenced bystanders’ reaction towards bully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s with regard to assisting behavior in bullying was 13.81%. Among them, over-dependency to relation and instrumental reaction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it while perceived support from relation and empathy-care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i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class characteristic variables with regard to assisting behavior in bullying was 63.64%. Among them, teacher support and teacher tolerance of class bullying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effect on it. In particular, assisting behavior in bullying showed an interactive effect. Teacher support in class and teacher tolerance of class bullying were found to significantly adjust the relation between individual instrumental reaction and assisting behavior in bullying. To put it more concretely, the relation between instrumental reaction and assisting behavior in bullying was found to be positive, and it was more influential in the class with low teacher support and teacher tolerance of class bullying. Seco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s with regard to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was 20.24%. Among them, empathy-care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it while instrumental reaction and consciousness of other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it.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class characteristic variables with regard to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was 35.71%. Among them, teacher support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it while peer tolerance of class bullying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it. Thir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s with regard to defending behavior in bullying was 15.26%. Among them, over-dependency to relation and empathy-care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influence on it while instrumental reaction and consciousness of others had a significantly negative influence on it. With regard to defending behavior in bullying, however, there was no difference between classes after the influence of the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s was corrected, so the influence of the class characteristic variables was not identified. This result may be attributed to the fact that defending behavior in bullying is more influenced by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an by class characteristics in that it is an attempt to break the imbalance in power, unlike assisting behavior in bullying or bystanding behavior in bully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above provide its significance as follow. First, it verified both the student characteristic variables and the class characteristic variables that influenced bystanders’ reaction towards bullying by using multilevel model. Second, it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relational self that had been overlooked in the studies on bullying. Third, it found that the problem of bullying among adolescents was influenced by not only the individu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but also the class environment. Hopefully, practical and advanced studies to come up with comprehensive solutions to bullying based on this study will continue to be publish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