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18 Download: 0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자기표현 미술수업 질적 연구

Title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한 자기표현 미술수업 질적 연구
Other Titles
A Qualitative Study of Self-expressing Art Class for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in adolescence : Focused on the 3rd grade of middle school
Authors
박현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by reconstructing the self-expressing art education program considering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and thus phenomenologically examined the processes and changes experienced by the third graders of middle school. Most of the classes related to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in adolescence are conducted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bu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revealing the meaning of self-expression art classes by in-depth exploration of changes in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through the process of self-understanding and self-expression.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two middle school seniors, who conducted a total of 12 self-identity art programs from May to June 2020. Classes were conducted directly by the researcher, and individual and in-depth interviews were conducted at the end of each class, including pre- and post-interviews. The interview method was implemented by applying a semi-structured interview method. Class and in-depth interview data were transcribed after recording, and in addition, class observation journals, activity journals, work photo data, and in-depth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to analyze the research results. Among the qualitative analysis methods, the three-stage research procedure of Wolcott was applied to the analysis method of description,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e collected data was categorized by open coding, and then the subject was analyzed to arrive at interpretat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it was divided into 4 upper categories, 5 middle categories, and 13 lower categories. The contents of the categories that appear when middle school third graders experience self-expressing art classes using various media are as follows. First, the lower categories based on personal self-identity, which are the top categories were ‘self-understanding’, ‘self-expression’, and ‘self-reflection and recognition’. Secondly, the lower categories of psychological and social self-identity were ‘understanding and trust in family’, ‘closeness to others’ and ‘respecting opinions with others’. Third, the sub-categories of total self-identity were derived as ‘goal-oriented’, ‘positive confidence in the future’, ‘leadership’, and ‘confidence and self-confidence’. Finally, the sub categories of art expression were 'Pleasure of Expression', 'achievement' and 'interest in art'.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on the formation of self-identity of the third graders in middle school through self-expressing art classes are as follows. First, participants in the study showed changes in relation to "self-acceptance attitude" and "subjectivity" based on their exploration of themselves and interaction with peer participants and researchers. Participants experienced the stage of exploring and understanding their inner side in various ways and expressing it in symbolic language and image during the 12 calsses. Through this process, participants began to actively participate in activities by accepting their strengths and weaknesses, specialties, tendencies and values as they were. It was possible to observe participants respecting and accepting other people's opinions based on their understanding and respect for themselves and communicating independently with other participants of their age. Based on this, it was also possible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self-accepting attitude and subjectivity and self-identity through sufficient self-discovery process. Second, self-expression art class activities using various media have been a factor that has promoted the enjoyment of expression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positively changed their interest in art subjects. Participants in the study experienced a sense of interest and achievement in expression by completing their works through various expressions by using a smartphone as an expression medium. This has led to expectations and positive perceptions of art education. Third, in order to form a sense of self-identity in adolescence, it is important to form positive relationships and interact with others. As the class progresses, the participants gradually showed their activeness to reveal themselves as they are, recognizing their relationship with their families, their high intimacy with friends, the sincere attitude of the professor toward them and concrete feedback. In addition, they gradually showed respect for both themselves and other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harmonious relationship with family and others had a more positive effect on forming respect for others and self-identity. Summarizing these conclusion, it can be confirmed that self-expression art classes in adolescence have improved self-acceptance attitudes and self-reliance based on understanding and exploration of oneself, as well as had a positive effect on self-identity formation by respecting others and interacting harmoniously. In addition, the importance of using various media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learners was confirmed. Therefore, the researcher would like to suggest the need for self-expression art classes in which learners can experience the process of recognition and acceptance of themselves based on harmonious interactions with peers, family members and researchers, and can participate independently in classes using various media.;본 연구는 자아정체감 형성을 고려한 자기표현 미술교육 프로그램을 재구성하여 실시하였으며, 이에 중학교 3학년이 경험하는 과정과 변화에 대해 현상학적으로 살펴보았다. 청소년기 자아정체감 형성과 관련된 수업이 대부분 양적 연구로 진행되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가 자기 이해 및 자기 표현의 과정을 통해 자아정체감 형성에 어떠한 변화가 나타나는지 심도 있게 탐색함으로써 자기표현 미술 수업의 의미를 밝히는 데 의의가 있다. 연구의 참여자는 중학교 3학년 학생 2명으로, 2020년 5월부터 6월까지 총 12차시에 해당하는 자아정체감 미술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수업은 연구자가 직접 진행하였으며, 사전 · 사후면담을 포함하여 매 차시가 종료되는 시점에 개인별 심층 면담을 진행하였고 면담 방법은 반 구조화된 면담방식을 적용하여 시행되었다. 수업과 심층 면담 자료는 녹음 후 전사하였고, 이 외에도 수업 관찰일지, 활동지, 작품사진 자료, 심층면담 자료를 수집하여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질적 분석방법 중에서도 윌코트(Wolcott)의 3단계 연구 절차인 기술 · 분석 · 해석의 단계를 적용하였으며, 수집한 자료를 개방 코딩 작업하여 범주화한 후 주제를 분석하여 해석에 도달하였다. 수집한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 총 4개의 상위범주와 5개의 중범주, 13개의 하위범주로 나뉘어 도출되었다. 중학교 3학년 학생이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자기표현 미술 수업을 경험했을 때 나타나는 각 범주의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위범주인 개인적 자아정체감에 따른 하위범주로는 ‘자기이해’, ‘자기표현’, ‘자아 성찰 및 인정’으로 나타났으며, 심리 사회적 자아정체감에 따른 하위범주는 ‘가정에 대한 이해와 신뢰’, ‘타인과의 친밀감’, ‘타인과의 의견 존중’으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총체적 자아정체감에 따른 하위범주는 ‘목표 지향’, ‘미래에 대한 긍정적 확신’, ‘주도성’, ‘자신감과 자기 신뢰’로 도출되었다. 마지막으로 미술표현에 대한 인식 변화에 따른 하위범주로는 ‘표현의 즐거움’, ‘성취감’, ‘미술에 대한 흥미’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를 바탕으로 자기표현 미술 수업을 통한 중학교 3학년 학생의 자아정체감 형성에 대한 연구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에 대한 탐색과 또래 참여자 및 연구자와의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자기 수용적 태도” 및 “주체성”과 관련하여 변화된 모습을 보였다. 참여자들은 총 12차시 동안 차시의 흐름에 따라 자신의 내면을 다방면으로 탐색 및 이해하고 이를 상징적인 언어와 이미지로 표현하는 단계를 경험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거치며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의 장·단점, 특기, 성향, 가치관 등을 있는 그대로 수용하며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는 태도를 보이기 시작하였다. 또한, 참여자들이 자신에 대한 이해와 존중을 바탕으로 타인의 의견을 존중하고 수용하며 또래 참여자와 주체적으로 소통하는 모습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를 바탕으로 충분한 자기 탐색 과정을 통한 자기 수용적 태도 및 주체성과 자아정체감의 관계성에 대해 고찰할 수 있었다. 둘째, 다양한 매체를 활용한 자기표현 미술 수업 활동은 연구 참여자들의 표현에 대한 즐거움을 증진시키고 미술 교과에 대한 흥미도를 긍정적으로 변화시킨 요인으로 작용했다. 연구 참여자들은 일반적인 표현 매체 이외에도 자신들에게 친숙한 스마트폰을 표현 매체로 활용하여 다양한 표현을 통해 작품을 완성해봄으로써 표현에 대한 흥미와 성취감을 경험하였고, 이는 미술교육에 대한 기대감과 인식의 변화까지 나아갔다. 즉, 청소년기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미술 표현 매체의 선정은 학습자의 수업 참여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의 자아정체감 형성을 위해서는 가정 · 타인과의 긍정적인 관계 형성과 상호작용이 중요하다. 수업을 진행하며 연구 참여자들은 자신과 가족 구성원들 간 유대감, 타인과의 높은 친밀감, 자신을 대하는 교수자의 진정성 있는 태도와 구체적인 피드백 등을 인식하며 점차 자신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는 적극성과 자신과 타인 모두를 존중하는 태도를 보였다. 즉, 가정 및 타인과의 조화로운 관계는 자아존중감 향상은 물론 타인에 대한 존중감과 자아정체감을 형성하는 데 보다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을 종합해보면, 자기표현 미술 수업은 청소년기 중학생이 자신에 대한 이해와 탐구를 바탕으로 자기 수용적인 태도와 주체성을 갖고 자아존중감이 증대되도록 하며, 더불어 타인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조화로운 관계 속에서 상호작용함으로써 자아정체감 형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학습자의 특성과 미술 표현력을 고려한 풍부한 매체 활용의 필요성에 대해서도 살펴볼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자가 또래 친구, 가족, 교수자와의 조화로운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스스로에 대한 인식과 수용의 과정을 경험할 수 있도록 하며, 일반 표현 매체 이외에도 다양한 매체를 활용하여 학습자가 자신의 특성에 맞게 주체적인 표현 활동을 할 수 있도록 돕는 자기표현 미술 수업의 필요성을 제언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