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579 Download: 0

스마트교육에 기초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이 시각적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

Title
스마트교육에 기초한 시각문화 미술교육이 시각적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Influence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ased on Smart Education on Visual Literacy : Focus on First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김나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미경
Abstract
코로나19로 인해 전 세계적으로 힘든 시기를 겪고 있는 요즘 사회적으로 다양한 분야에서 제한적인 상황들이 나타나고 있고, 이는 교육환경에까지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교육부는 전국의 유·초·중등학교의 신학기 개학일을 2020년 3월 9일로 미뤘지만 급속도로 퍼지는 코로나19 바이러스로 인하여 추가적으로 개학일이 연기되면서 3월 둘째 주 부터는 온라인 학급방(위두랑, EBS, 클래스팅, e학습터, SNS 단체방 등)등을 통해 수업이 진행 될 수 있도록 학사 운영 및 지원방안에 대하여 발표하였다(교육부, 2020). 사회적 거리두기 및 생활 속 거리두기로 인해 학생들의 학습 환경은 온라인 수업부터 분할 수업으로 다양하게 변화되었다. 하지만 이러한 재난 상황이 갑작스럽고 빠르게 퍼짐에 따라 온라인 수업 환경이 제대로 구축되지 못한 상태로 진행되었고, 학생 및 교사들의 학습 환경에 있어 혼란이 야기되었다. 2011년 교육과학기술부가 정의하고 2012년에 시행된 스마트교육은 그 활용 방법과 필요성에 대하여 지속적으로 선행연구가 진행되어오며 온라인 수업이 활성화 되고 있는 요즘 그 중요성이 부각 되고 있다. 코로나19 재난 속에 수업을 이어나가는 초·중들 학생들은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세대이다. 태어나는 순간부터 일상 속에서 디지털 매체를 접하며 활발하게 사용하는 디지털 네이티브(Digital Native) 세대인 현 시대 학습자들은 스마트 교육 환경을 주도적으로 이끌어나갈 수 있는 역량이 점점 커져가고 있지만(이다희, 김미남, 2018), 그에 따른 올바른 매체 활용 및 시각이미지 창작 방법에 대한 교육 개발은 미미한 실정이다(박기홍, 2013). 스마트교육의 특징 중 자기 주도적 특징은 개인의 학습 방식과 수준, 흥미에 따른 다양한 정보와 이미지를 선택하여 작품에 적용하고 창작하는 맞춤교육을 지향한다(김재생, 2018). 이러한 스마트교육의 자기 주도적 특징은 자칫 잘못된 정보나 이미지로 작품을 표현하여 그 작품을 접한 이미지 소비자들이 잘못된 정보를 얻는 등의 2차적인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스마트교육의 한계점은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 강조하는 시각적 문해력에 대한 이해와 적용을 바탕으로 학습자가 올바른 시각 이미지를 창작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강인애, 이재경, 남미진, 2014). 상호작용적인 특징과 공간의 제약이 없는 특성을 가진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시각 이미지를 올바르게 표현하여 이미지를 읽고 쓰는 것이 중요한 가장 큰 이유 중 하나는 고도로 연결된 사회에서 시공간의 제약을 뛰어 넘어 학습자들이 전 세계 사람들과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다는 점이다(최숙영, 2013). 특히 코로나19와 같이 전 세계적인 사회현상에 대한 한 가지 주제에 관해서는 다양한 사회적 상황 및 문제점 등에 관하여 공감하며 소통할 수 있다. 미술의 사회적 역할은 일상 및 사회적인 현상을 많은 사람과 공유하며 참여하는 현상이 많아지며 그 어느 때 보다 강조되고 있다(강주희, 이성은, 2014), 또한 시각문화미술교육에서는 사회적 문제에 관한 관심을 강조하고 있다. 이는 동시대의 다양한 사회, 정치적 메시지를 담거나 사회 공동체와의 연대적 관계를 필요로 하는 미술형태인 사회참여미술의 의미와 연결 지어 볼 때, 스마트교육 환경에서 학습자들이 더 다양한 문화와 입장을 반영하여 수업할 수 있도록 하는 사회적 참여와 실천까지로 확장하기에 적절한 이론적 근거가 될 수 있다(이현민, 강인애, 2016). 이에 본 연구자는 학습자들이 다양한 스마트 도구를 활용할 수 있는 온라인 교육환경에서 올바른 시각 이미지 표현을 위해 시각적 문해력의 역량을 함양시켜줄 수 있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한 교육적 시도의 필요성을 인식하였으며, 이를 위해 온라인 학습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학습 환경에서 현재 코로나19상황을 반영한 사회참여미술수업 프로그램으로 총 8차시의 학교 수업 프로그램으로 개발하고 운영하였다. 또한 학생들이 많은 사람들과 영향을 주고받을 수 있는 온라인 환경에서 올바른 정보가 담긴 시각 이미지를 생산해내야 한다는 관점에서 시작하였으며, 코로나19로 인한 사회적인 상황이 학생들이 사회참여미술을 이해하기에 적절하다는 관점에서 연구를 진행 하였다. 이에 따라 ‘일상을 되찾기 위한 시각적 움직임’수업을 통해 코로나19로 인해 바뀐 일상과 사회적 현상을 관찰하고, 미술활동을 통해 많은 사람들이 공감할 수 있는 올바른 시각 이미지를 생산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중학생을 중심으로 스마트교육에 기초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을 통해 시각적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할 수 있는 수업설계를 함으로써 스마트 교육의 활용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으며 사회참여미술 내용이 포함된 시각문화미술교육이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의 시각적 문해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했다. 이에 대한 연구 방법과 절차의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해 스마트교육, 시각문화미술교육과 시각적 문해력의 개념과 특징 및 교육적 가치를 고찰하고 중학교 미술과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과 교과서에서의 사회참여미술의 연관성을 분석하여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이론화 하였다. 둘째, 수업 설계 단계에서는 스마트 교육을 적용한 시각문화수업을 위해 현 코로나19의 사회적 현상을 배경을 제시하여 미술을 통한 사회참여방안을 탐구하는‘일상을 되찾기 위한 시각적 움직임’을 수업의 주제로 설정하였다. 셋째, 김미용, 배영권(2013)이 개발한 ‘스마트교육 수업’ 설계 모형 과 창의적 문제 해결법을 바탕으로 학습목표 및 평가 계획을 수립하였다. 이에 대한 내용은 EBS 온라인 클래스, 카카오톡 오픈채팅, 클래스팅을 활용한 수업환경에서 이비스 페인트, 웹기반 Artivive 증강현실 구현 프로그램 등을 스마트폰 어플을 표현 도구로 활용하는 것으로 교수-학습 과정의 흐름도와 차시별 세부 교수-학습 지도안을 작성하였다. 넷째, 수업실행에서는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중학교 1학년의 단일 학급을 대상으로 선정하여 시각적 문해력을 측정하기 위해 최기호(2012)가 개발한 시각적 문해력의 역량울 참고하여 검사지를 만들어 검사도구로 사전검사를 실시하고 스마트교육에 기초한 시각문화미술교육 수업을 진행한 후, 동일한 집단의 사후 검사를 실행하였다. 다섯째, 사전·사후로 수집된 시각적 문해력 검사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SPSS Ver 21.0)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test로 검증 및 분석을 통해 본 연구목적에 있어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여섯째, 수업만족도에서도 긍정적인 결과를 얻어 본 연구에 대한 효과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과정을 통한 연구에 대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교육에 기초한 시각문화미술교육 수업에 참여한 학습자의 시각적 문해력의 사전·사후 검사 결과 전체점수에서 유의미한 변화를 보였고, 대응표본 t-test 결과 통계상에서 유의미한 효과성을 검증할 수 있었다. 둘째, 집단 내 시각적 문해력 역량의 하위영역 사전·사후 검사에 있어서도 각 영역별 유의미한 향상을 보였다. 하위영역인 ‘관습적 시각 표현과 소통 방식의 이해’ 다음으로는 ‘시각적 의미구성’, ‘시각적 서사의 탐구와 발견’순으로 향상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스마트교육에 기초한 시각문화미술교육 수업이 중학교 1학년의 시각적 문해력에서 전체영역과 하위항목에 대한 사후 검사결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생들이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현시대의 사회적 현상을 맥락적, 비판적으로 이해하고 문제 상황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며 시각적 문해력에 대한 이해를 통해 올바른 방법으로 작품표현 및 적극적 참여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를 통해 본 연구 수업이 사회참여미술을 학문적으로만 접근하고 이해하는 것이 아닌 일상 및 사회적 현상에 관심을 갖고 참여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하는 매개로써 작용하기를 기대해본다. 또한 스마트교육에 기초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을 통해 일상 및 사회현상에 대한 경험을 반영한 사회참여미술로서의 수업이 다양한 교육적 사례들로서 실행되어 청소년들의 시각적 문해력을 함양시키며, 더 나아가 스마트교육을 활성화시키고 완전한 온라인 수업을 위한 후속 연구에 보탬이 되기를 기대해본다.;Nowadays the world is going through a difficult time due to Corona 19 that limits various fields and situations and its effect has extended to the educational environment. The Ministry of Education delayed the starting date of the new semester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nationwide to the 9th of March, 2020, but in the second week of the month it announced its plans to conduct classes through online class rooms (Wedorang, EBS, Classting, e-hakseupteo, SNS group chats etc.) due to the rapid spread of the Corona 19 virus. The social distancing and distancing in daily life has changed the students learning environment from online classes to divided classes. However, the sudden and rapid spread has led to the poor establishment of the online classrooms and caused a disorder between the students and teachers in their learning environment. The Ministry of Education, Science and Technology has defined “smart education” in 2011 and implemented it in 2012 and has conducted prior research on the necessity and methods of carrying out online classes and their importance can be seen today.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students who are continuing their classes among the Corona 19 crisis are the Digital Native generation. Even if today’s Digital Native generation has been actively using digital media daily since birth and is increasingly capable of conducting smart education (Lee Dahee, Kim Minam 2018), there has been a lack of development on how to utilize the right media or how to create visual images (Park Geehong, 2013). One of the characteristics of smart education is the feature that it can create customized education by selecting various information and images based on the individual learning methods, levels and interests (Kim Jaesaeng, 2018). The self-governed characteristics of smart education can cause secondary problems such as the creation of work using the wrong information or images, which can lead to the acquisition of wrong information by consumers, who have encountered the said work. These limitations of smart education are related to the understanding and the application of visual literacy emphasized by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which allows the learners to create the right visual images ( Gang Inae, Lee Jaegyung, Nam Mijin, 2014). One of the most important reasons to express, read and write visual images correctly in the smart educational environment with interactive and space-constrained characteristics is that in this highly connected society the learners can go beyond the limits of time and space and interact with people from around the world. (Choi Sookyong, 2013). In particular, a worldwide social phenomenon such as Corona 19 and its various social situations and problems can be discussed and sympathized with. The role of art is to share daily and social phenomena and engage with people which has become more important than ever as there are more such phenomena (Gang Joohee, 2014) and another role is to increase the interest in social problems in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his theoretical basis can be related to social participation and practice, which allows the learners to experience different cultures and opinions while studying in a smart educational environment when linked to the meaning of the Social Participation Art, an art form which contains diverse social and political messages of the contemporary era or requires solidarity with the social community (Lee Hyunmin, Gang Inae, 2016). This research recognizes the need for specific ways to develop visual literacy skills in an online educational environment where learners can work with a variety of smart tools to create the right visual images. Based on this and the current educational environment of online education due to Corona 19, the Social Participation Art Class Program was developed and conducted as a program with a total of 8 school classes. It also originates from the view that students should be able to create visual images with the right information in an online environment where they can interact with many people, and the study was made with the idea that the social situation of Corona 19 is appropriate for students to understand the Social Participation Art. The focus is on observing the daily and social phenomena caused by Corona 19 examined in the class “Visual Movement to Regain Daily Life” and creating the right visual images that many people can sympathize and engage with through art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ways to use smart education to design classes for developing visual literacy through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ased on smart education with a focus on middle school students, and to investigate the impact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cluding Social Participation Art on the visual literacy of first-yea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tudy methods and procedures are as follows. First,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e research had been theorized after a careful review of the concept, characteristics and educational values of smart educati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and visual literacy through a literature survey and conducting an analysis on the connection with Social Participation Art described in the curriculum and the student books of 2015 middle school classes. Second, during the class design stage the current social phenomenon of Corona 19 was presented as a background to apply smart education to visual culture classes and the topic of the classes was set as “Visual Movement to Regain Daily Life” to explore ways to participate in society through art. Third, the “Smart Education Class” design model developed by Kim Miyong and Bae Youngkwon (2013) and learning goals and evaluation were set based on the creative problem-solving method. The flow chart of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and detailed teaching-learning guidance was prepared based on the use as smartphone applications versions of the EBS online classes, Kakao Talk Open Chat and the programs used in Classting such as Ibis Paint, a web-based Artvive program and others. Fourth, to conduct the class a single class of first year middle school located in Seoul was selected and in order to measure the visual literacy of the students a test sheet was made based on the test developed by Choi Geeho (2012), then a preliminary examination with inspection tools was held and after conducting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classes based on smart education, follow-up examinations of the same group were held. Fifth, the visual literacy test data collected before and after the study was verified and analyzed with a response sample t-test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Ver 21.0) to confirm significant results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Sixth, there was a positive result in the class satisfaction rate, which allows u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The result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the preliminary and post-class results of the visual literacy of the learners who participated in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class based on smart education show significant changes in the overall score and the significant effectiveness is verified by the statistics of the corresponding sample t-test results.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improvements in each area in the pre- and post-class examination of the visual literacy capabilities of the group. Changes were noticed in the sub-area “understanding conventional visual expressions and communication style”, next is “visual meaning composition” and there was high improvement in “exploration and discovery of visual narratives”. A comprehensive look a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s that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classes based on smart education have significantly improved the statistics of the visual literacy of first year middle school students as an overall and in specific areas, based on the pre- and post- test data. The study has allowed the students to express their works and actively participate in an online learning environment correctly and understand the current social phenomena in a contextual and critical way in order to seek ways to overcome the problem through an understanding of visual literacy. This research class does not only approach and explain the Social Participation Art academically, but also hopes to act as a medium to bring more interest to this social phenomena and more participation in everyday life. In addition, this research hopes that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based on smart education and classes such as Social Participation Art, which reflect our experiences in daily life and social phenomena, will be implemented as various educational cases to foster visual literacy among teenagers and to promote further smart education and contribute to follow-up research on complete online class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