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9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남시-
dc.contributor.author정재은-
dc.creator정재은-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1:34Z-
dc.date.available2020-08-03T16:31:34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8016-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016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826-
dc.description.abstractToday's era in the 21st century is often referred to as the 'digital era'.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of various digital media and the digital visual images that pour out are scattered around us in so many different forms that we don't even recognize whether they exist. Digital visual images also provide a variety of information and allow viewers to enjoy a variety of aesthetic experiences. But at the same time, it forms a visual culture and has a profound impact on our way of thinking and behavior. In response, the Ministry of Education in Korea recognized that today's world is a "visual culture" society, and mentioned the need for education on visual culture by presenting the "visual communication ability" as a capability in the art curriculum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in which students can correctly understand and critically interpret and communicate the visual culture that affects our way of thinking and behavior. However,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udies of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the need for education on visual culture is constantly emphasized, while not much consideration is given to what visual culture education contents should be presented. Therefore, the educational use of Disney's female characters was considered for the purpose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order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teaching various contents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addition, based on the direction of visual culture and art education, which pursues education linked to the life of learners, a sense of gender equality that has a fundamental impact on the formation of an individual's identity was included in the class. In other words, this study attempted to organize classes linked to the life of learners by enabling critical reading of visual culture through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using Disney female characters and presenting gender equality conten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apply guidelines for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hrough Disney's female character exploration to actual educational sites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classes using Disney's female character exploration affecting teenager's sense of gender equality. To this end, the literature survey and prior research on animation, visual culture, and consciousness of gender equality were theoretically reviewed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use of the subject. In addition, through analysi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extbook analysis on visual culture and animation, a teaching and learning program was developed using the exploration of Disney female characters. The research subjects were selected as a single group of 21 students in the first and second grades of S Girls'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and a total of six period art classes were conducted in October 2019.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es, ‘Korean Gender Egalitarianism Scale for Adolescents: KGES-A’developed by the Korea Women's Development Institute in 2002 was conducted before and after art classes. The results of the pre- and post-test of the positive equality consciousness were analyzed by utiliz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WIN Statistical Program 22.0 and conducting a reliability scale test and a corresponding sample t-test. It also qualitatively analyzed the learner's work, the class result, self and peer review, and interview contents. These various materials were analyzed qualitatively and quantitatively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class and to draw conclusion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has been confirmed that the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hrough the exploration of Disney female characters affects learners' sense of gender equality. According to the data obtained by conducting a shortened test of the KGES-A for youth in advance and after classes, the overall awareness of gender equality has been confirmed to be affected. However, there was only a significant difference in "school life,"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equality scores in "home life," "occupational life" and "social and cultural life." This is presumed to be due to the students' already high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and it seems necessary to utilize test tools suitable for the level of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in today's generation. Second, the qualitative analysis of the results of the class, the learners' self-evaluation, and interviews showed that the learners' sense of gender equality was improved and education was conducted in line with the purpose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terviews showed that the exploration process of Disney's female charac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nse of gender equality, and that critical reading activities were carried out to suit the purpose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n addition, through the analysis of class results and learners' self and peer reviews, we were able to confirm the understanding and educational achievement of animation as a visual culture. In conclusion,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hrough the exploration of Disney female characters showed a significant impact on teenagers' sense of gender equality, and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developed by the researcher was confirmed to be effective in the field of actual education. Therefore, the study concluded that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through the exploration of Disney female character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sense of gender equality among teenager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esents a class that allows learners to enjoy visual culture by recognizing and utilizing the values and roles of various visual cultures on their own in the application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It is also hoped that as stated in the conclusion, it will serve as a precedent for attempting an integrated study of animation, gender equality, visual culture education, etc. in the study of art education, thus helping the various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rt education.;21세기 오늘날의 시대를 흔히 ‘디지털 시대’라고 한다. 다양한 디지털 매체의 기술적 발전과 그로 인해 쏟아져 나오는 디지털 시각 이미지들은 우리 주변에 너무나 다양한 모습으로 산재 해 있어 우리는 그것이 존재하고 있는지 인식조차 못하고 있다. 디지털 시각 이미지들은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기도 하고, 감상자로 하여금 다채로운 미적 경험을 영위하게 해 준다. 그러나 동시에 시각문화를 형성하여 우리의 사고방식과 행동에 지대한 영향을 끼친다. 이에 교육부는 오늘날 우리 세상이 ‘시각문화’사회임을 인식하고, 학생들이 우리의 사고방식과 행동에 영향을 끼치는 시각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비판적으로 해석하여 소통할 수 있는 ‘시각적 소통능력’을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미술교과에서 역량으로 제시하여 시각문화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을 언급하였다. 그러나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연구들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시각문화에 대한 교육의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강조되는 것에 비해 어떠한 시각문화 교육의 내용이 제시되어야 하는가에 대한 것은 그다지 고려되지 않는다. 이에 다양한 내용의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수업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목적에서 디즈니 여성캐릭터의 교육적 활용을 고려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삶과 연계한 교육을 추구하는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방향성에 근거하여 개인의 정체성 형성에 근본적인 영향을 끼치는 양성평등의식을 수업의 내용으로 하였다. 즉, 본 연구는 디즈니 여성캐릭터를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을 통해 시각문화에 대한 비판적 읽기를 가능하게 하고, 양성평등 내용을 제시함으로써 학습자의 삶과 연계한 수업을 구성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디즈니 여성 캐릭터 탐구를 통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지도안을 개발하고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함으로써 디즈니 여성 캐릭터 탐구를 활용한 수업이 청소년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지 그 실효성을 검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애니메이션과 시각문화, 양성평등의식에 대한 문헌조사 및 선행 연구들을 이론적으로 고찰하여 교과 활용 방안에 토대를 마련하였다. 또한 2015 개정 교육과정의 분석, 시각문화와 애니메이션을 다룬 교과서 분석을 통해 디즈니 여성 캐릭터의 탐구를 활용한 교수 ‧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에 소재한 S 여자 고등학교 미술 동아리 1, 2학년 학생 21명을 단일집단으로 선정하였고, 2019년 10월 중에 총 6차시 수업을 실시하였다. 수업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한국여성개발원에서 2002년 개발한 ‘청소년용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 (KGES-A)’의 축약형 검사를 연구 대상에게 사전, 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양성평등의식의 사전, 사후 검사의 결과는 SPSS(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WIN 통계프로그램 22.0을 활용하였으며 신뢰도 척도 검사, 대응표본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학습자의 작품, 활동지 평가, 자기 및 동료평가, 인터뷰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이처럼 다양한 자료를 질적, 양적으로 분석하여 수업의 효과성을 입증하였고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디즈니 여성 캐릭터 탐구를 통한 시각문화미술 수업이 학습자의 양성평등의식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소년용 한국형남녀평등의식검사 (KGES-A)의 축약형 검사를 수업 사전 ‧ 사후에 실시하여 얻은 자료의 결과, 양성평등 의식이 전체적으로 높아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하지만‘학교생활’에서만 유의미한 차이를 보일 뿐, ‘가정생활’, ‘직업생활’, ‘사회문화생활’에서 양성평등의식 점수가 소폭 상승했으나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진 않았다. 이것은 이미 학생들이 높은 수준의 양성평등 의식을 가진 것에 기인한 것으로 추측되며, 요즘 청소년의 양성평등 의식 수준에 적합한 검사도구의 활용이 필요해 보인다. 둘째, 수업의 결과물과 학습자의 자기 및 동료평가, 인터뷰 내용을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 학습자의 양성평등의식이 향상되었으며, 시각문화미술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 교육이 실시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인터뷰를 통해 디즈니 여성 캐릭터의 탐구 과정이 양성평등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알 수 있었으며, 시각문화 미술교육의 목적에 부합하는 비판적 읽기의 활동이 진행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수업 결과물 평가와 학습자의 자기 및 동료 평가의 분석을 통해 시각문화로서 애니메이션에 대한 이해와 교육적 성취를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디즈니 여성 캐릭터의 탐구를 통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이 청소년의 양성평등의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연구자가 개발한 교수 ‧ 학습 프로그램이 실제 교육 현장에서 실효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디즈니 여성 캐릭터의 탐구를 통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이 청소년의 양성평등의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시각문화미술교육의 학교현장의 적용에 있어서 학습자에게 다양한 시각문화의 가치와 역할에 대해 스스로 인지하고 활용하여 시각문화를 향유할 수 있게 하는 수업을 제시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또한 결론에서 밝힌 바와 같이, 미술교육 연구에서 애니메이션, 양성평등, 시각문화교육 등의 통합적 연구를 시도 하는 것의 선례가 되어 미술교육의 다양한 연구와 발전에 도움이 되길 바란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내용 5 Ⅱ. 이론적 배경 6 A. 시각문화미술교육과 애니메이션 6 1. 시각문화미술교육의 이해 6 2. 애니메이션과 시각문화미술교육 14 B. 양성평등 18 1. 양성평등의식과 교육 18 2.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여성 이미지 22 C. 애니메이션을 활용한 시각문화미술교육 33 1. 2015 개정 미술과 고등학교 교육과정 33 2. 애니메이션 여성 캐릭터 고찰을 통한 시각문화미술수업의 실제 39 Ⅲ. 연구방법 53 A. 연구대상 및 절차 53 1. 연구대상 53 2. 연구절차 53 B. 연구 도구 55 1. 수업도구 55 2. 평가도구 70 C. 자료처리 및 분석방법 78 Ⅳ. 연구결과 및 논의 79 A. 연구결과 79 B. 논의 93 Ⅴ. 결론 및 제언 95 참고문헌 98 부록목차 104 ABSTRACT 13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17899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디즈니 여성 캐릭터 탐구를 통한 시각문화미술교육이 청소년의 양성평등의식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Influence of Visual Culture Art Education on teenager's Gender Equality Consciousness through Disney's Women's Character Exploration-
dc.creator.othernameJeung, Jaeeun-
dc.format.pageviii, 140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미술교육전공-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