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45 Download: 0

중학교 교사의 효능감 영향 요인 및 잠재프로파일 분석

Title
중학교 교사의 효능감 영향 요인 및 잠재프로파일 분석
Other Titles
An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of Teachers' Self-efficacy and Latent Profile in Lower Secondary Schools: Focusing on TALIS 2018 Korea and Japan Result
Authors
장선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정제영
Abstract
교사는 학생의 전인적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학교의 중요한 인적 자원이면서 교육 정책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는지를 결정하는 핵심적인 존재이다.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 여러 국가에서도 이러한 교사의 중요성에 인식을 같이하며 교원정책을 중요한 국가적 정책 의제로 다루고 있다. 최근에는 지능정보사회로의 진전에 따라 교사 역할의 변화에 대한 사회적 요구가 증가하고 있는 한편, 학교 현장에서는 교직을 수행하는 데에 어려움을 토로하는 교사들이 종종 목격된다. 이러한 상황에 적절하게 대응하기 위해 교사의 효능감을 증진시키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다. 교사 효능감(Teachers’ self-efficacy)은 ‘교사에게 부여된 업무를 수행하는 데에 요구되는 능력에 대한 교사 스스로의 신념 또는 확신’으로 교사의 교직생활 전반에 걸쳐 교사의 직무만족도, 헌신 등에 영향을 미치며 학생의 성취와 학교조직의 효과성 등에도 영향을 미친다. 최근 수년간 한국과 일본 중학교 교사의 자기효능감 수준이 매우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 방안의 마련이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과 일본 중학교 교사의 효능감과 효능감의 하위 구성 요인인 학생참여 효능감, 교수학습 효능감, 그리고 학급경영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하였고, 효능감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살펴보았으며, 교사 효능감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이 분류되는 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한국과 일본의 교원정책 수립에 유의미한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분석 자료는 TALIS 2018의 한국과 일본 중학교 교사 및 학교장 설문 결과를 활용하였으며, 분석방법은 위계적 선형모형(Hierarchical Linear Model; HLM)과 다층 잠재프로파일 분석(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MLP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나타난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과 일본 중학교 교사의 효능감 및 효능감의 하위 구성 요인(학생참여 효능감, 교수학습 효능감, 학급경영 효능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위계적 선형모형(HLM)을 적용하여 분석한 결과, 한국과 일본 중학교 교사의 효능감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교사의 ‘성별’, ‘교직준비 정도’, ‘교직선택 동기(사회적 유용성)’, ‘학생과의 관계’, ‘교사협력 정도’, ‘멘토링(멘토 경험)’ 변수가 나타났다. 교사 성별은 한국과 일본 모두 여교사에 비해 남교사의 효능감이 높은 수준으로 나타났고, 교직선택 동기(사회적 유용성), 학생과의 관계, 교사협력 정도, 멘토링(멘토 경험)은 교사의 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한국과 일본 중학교 교사의 효능감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이 어떻게 구분되는지 살펴보고,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기 위해 다층 잠재프로파일 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국 중학교 교사의 효능감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은 ‘중하집단(13.3%)’, ‘중상집단(60.9%)’, ‘최상집단(25.8%)’으로 나타났고, 일본은 ‘하집단(42.3%)’, ‘중상집단(43.3%)’, ‘상집단(14.4%)’ 등으로 나타나 한국과 일본 모두 교사의 효능감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이 세 가지로 분류되었다. 셋째, 한국과 일본 교사의 효능감 수준이 낮은 집단 대비 높은 집단에 속할 가능성에 공통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교직준비 정도’, ‘교직선택 동기(사회적 유용성)’, ‘학생과의 관계’, ‘교사협력 정도’ 변수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도출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이 예비교사가 갖추어야 할 역량을 충분히 함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에 대한 전반적인 검토 및 보완이 필요하다. 예비교사가 교사로서의 전문성과 바람직한 태도를 형성하는 데에 교원양성기관에서의 교육적 경험은 매우 중요하다. 예비교사가 경험하는 학습 기회의 질은 궁극적으로 학생의 학습 경험과 성과에 영향을 미치게 된다는 점을 고려할 때, 현행 교원양성기관의 교육과정이 예비교사들에게 교사 전문성을 갖출 수 있도록 기여하는지에 대한 검토가 필요하다. 둘째, 교원 선발 및 채용 시에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를 심층적으로 살펴볼 수 있는 방식으로의 개선이 필요하다. 외재적 동기에 따라 교직을 선택한 교사들은 교사 효능감뿐만 아니라 직무만족도, 수업헌신도 등이 낮은 수준으로 나타나며, 내재적 동기가 높은 교사일수록 교사 효능감이 높게 나타났다. 교사의 교직선택 동기는 교사의 교직생활 전반에 걸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많으므로 교원 선발 및 채용 과정에서 예비교사들의 교직선택 동기를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를 교원 선발 및 채용 결과에 반영하는 방안을 검토할 수 있을 것이다. 셋째, 예비교사와 현직 교사의 학생 상담 및 생활지도 역량 강화를 위한 지원 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 교사와 학생과의 관계를 친밀하게 형성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교사들이 학생들을 배려하는 풍토가 중요하며, 이러한 배려적 풍토는 교사와 학생과의 잦은 대화와 소통을 통해서 형성된다. 이를 위해 예비교사 및 현직 교사 모두 학생 상담과 생활지도 역량을 함양하는 것이 중요하므로 이러한 역량을 강화하는 데에 도움을 제공할 수 있는 연수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제공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넷째, 교사가 전문적 협력 활동에 참여할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협력 활동에 참여하는 교사들은 수업을 개선하거나 학급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하는 데에 서로 도움을 주고받을 수도 있으며 이러한 경험을 통해 효능감도 높일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교사 협력 활동의 빈도만 늘리는 것이 아닌 교사 전문성 신장을 유발할 수 있는 전문적 협력 활동에 교사가 참여할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이와 함께 단위학교 및 교육청 차원에서는 전문적 협력 활동이 충실하게 운영될 수 있도록 행·재정적 지원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일본은 단위학교 차원에서 교사가 의사결정에 참여할 기회와 영역을 확대해야 한다. 교사는 전문성과 자율성을 바탕으로 교수활동을 조정하는 능동적 존재이다. 따라서 교수학습 활동과 학생 생활지도를 포함한 일상업무 등 전반에서 교사에게 의사결정권을 부여하고 확대해나가는 방향으로 학교풍토를 조성 및 유지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한다. 여섯째, 한국은 학교와 지역사회 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한 종합적인 협력 체계를 구축할 필요가 있다. 학교와 지역사회가 긴밀하게 협력하는 과정에서 교사가 긍정적인 경험을 하는 것은 교사의 효능감을 높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교와 지역사회를 중심으로 한 체계적인 협력 시스템을 구축하여 학교와 지역사회 간 연계를 활발하게 추진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교사의 학위취득을 위한 대학원 진학 지원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 교사의 대학원 진학은 교사가 현장 교육을 통해 경험한 실제를 이론과 결합하여 전문성과 효능감을 향상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한국과 일본 정부는 대학원에 진학할 의사가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학습연구년제 등의 연수프로그램을 지속적으로 제공하되, 대학원 진학 지원 제도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노력도 병행할 필요가 있다. 여덟째, 일본 교육 당국은 교사의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방안을 마련하는 것을 교원정책의 우선순위로 둘 필요가 있다. 일본 교사의 효능감 수준에 따른 잠재프로파일에는 최상집단이 존재하지 않고, 하집단의 비율이 상당한 수준으로 나타났으므로 일본 교육 당국은 교사의 효능감 수준이 낮게 나타나는 원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교사의 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정책을 마련하는 것을 중요한 정책 의제로 다룰 필요가 있을 것이다.;A teacher is an important human resource of the school who has an impact on cognitive and affective growth of the students and is the key to determining whether education policies can be successfully implemented. It appears that not only Korea but also many countries around the world share the importance of teachers and treat teacher policies as an important national policy agenda. Recently, while social demands for the role of teachers are increasing in line with the advancement of Artificial Intelligence in Society, teachers are often seen complaining of difficulties in teaching at school. To respond properly to this situation, plans for promoting Teachers' self-efficacy can be considered. Teachers' self-efficacy, a belief in the various abilities required to perform the work assigned to a teacher, has been reported to be a factor which influences teachers'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over the teaching career and also students' achievement and effectiveness of school organization. In recent years, as the level of Teachers' self-efficacy of Korean and Japan lower secondary school teachers is very low, it is required to come up with measures to improve them. In this study, significant implications for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al teacher policy are derived by analyzing which latent profile of teachers' self-efficacy levels of lower secondary school in Korea and Japan are divided, and deriving factors that affect the classification of latent profile of self-efficacy. Data from Korean and Japanese lower secondary school teachers and school leaders of TALIS 2018 were used, and Hierarchical Linear Model (HLM) and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MLPA) were used as analysis methods. Following are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factors that affect teachers' self-efficacy (teacher self-efficacy in student engagement, teacher self-efficacy in instruction, teacher self-efficacy in classroom management) in Korea and Japan using Hierarchical Linear Mode (HLM), the common factors which affect teachers' self-efficacy are gender, teaching preparedness, motivation to select teaching profession, teacher-student relations, teacher cooperation, and mentoring (experience of being a mentor). In genders of teachers, male teachers have higher levels of self-efficacy than female counterparts in Korea and Japan. In addition, it was revealed that motivation to select teaching profession, teacher-student relations, teacher cooperation, and mentoring have a positive effect on teachers' self-efficacy. Second, as a result of conducting Multilevel Latent Profile Analysis (MLPA) to verify latent profile and influencing factors of teachers' self-efficacy in Korean, and Japanese lower secondary school, there are three latent profiles; lower middle level group (13.3%), upper middle level group (60.9%), and top level group (25.8%) in Korea. In Japan there are three; low level group (42.3%), upper middle level group (43.3%), and high level group (14.4%). Third, Factors that commonly affect the possibility of belonging to a higher group compared to groups with lower self-efficacy levels of lower secondary schools in different countries were found to be teaching preparedness, motivation to select teaching profession, teacher-student relations, and teacher cooperation. Following are the conclusions drawn based on the findings. First, overall review and improvement on whether curriculum of teacher preparation institutions are composed to sufficiently develop teacher's profession of pre-service teachers are needed. In pre-service teachers forming professionalism and desirable attitude as a teacher, educational experience in teacher preparation institutions is significant. Given that the quality of opportunities to learn that pre-service teachers experience ultimately affects experience of learning and achievement of students, the overall review on whether curriculum of current teacher preparation institutions contribute to pre-service teachers being equipped with the professionalism as a teacher is needed and therefore the complement is required. Second, improvements are needed in a way that allows in-depth examination of teachers' motivation to select teaching profession in teacher selection and recruitment. It is reported that teachers who select teaching profession with external motivation like personal utility motivation have lower level of teachers' self-efficacy as well as job satisfaction and commitment and that teachers who have high level of social utility motivation have higher level of teachers' self-efficacy. As motivation to select teaching profession is likely to have an effect over teaching career, motivation to select teaching profession of pre-service teachers is closely examined in teacher selection and recruitment and plans to reflect this in teacher selection and recruitment will be able to be reviewed. Third, a support plan to reinforce competencies in providing school counseling and competencies of teachers of guidance of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secondary teachers needs to be arranged. To form and maintain intimate teacher-student relations, caring educational climate is important and it is created through frequent conversation and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students. For this, since it is important that both pre-service and in-service teachers cultivate competencies in providing school counseling and competencies of teachers of guidance,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provide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grams to help teachers reinforce those two competencies. Fourth, opportunities to teachers taking part in teacher professional collaboration activities have to be expanded. Teachers who take part in teacher professional collaboration activities exchange help with improvement in teaching and class problem solving and improve teachers' self-efficacy through this experience. Therefore, opportunities to get involved in teacher professional collaboration activities which provoke teachers' professional development not merely increasing the frequency of teacher collaboration activities are needed to be expanded. Besides, at school and metropolitan and provincial office of education level,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support should be provided to ensure that teacher professional collaboration activities operate in good faith. Fifth, the Japanese schools should expand opportunities and scope for teachers to participate in decision-making. As teachers are not passive beings who teacher based on given curriculum but active ones who adjust teaching instructions with high level of professionalism and autonomy, schools have to strive to improve school climate toward offering teachers rights to make decisions on teaching instructions and students guidance and expending it. Sixth, Korea needs to establish a comprehensive cooperative system to strengthen links between schools and communities. Teachers self-efficacy is reported to increase through positive experience when collaboration between school and community is closely connected. For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systematic promotion system centered on schools and communities. Seventh, it is necessary to improve a support system for graduate school entrance for obtain a teacher's degree. Teachers' advance to graduate school combines the experience accumulated by teachers through field training with theory to internalize field-oriented expertise. Therefore, the Korean and Japanese governments should continue to provide training programs such as a teacher research sabbatical for teachers willing to go to graduate schools, but efforts should also be made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the support system for graduate school entrance. Eighth, the Japanese government needs to put a priority on its teacher policy to come up with measures to enhance teachers' self-efficacy. As a result of the study, the latent profile based on the level of efficacy of lower secondary school teachers in Japan showed that there are no top groups and the proportion of lower groups was high, so the Japanese government will have to analyze the causes for the lower level of lower secondary school teachers' self-efficacy in depth and deal with setting up policies to enhance lower secondary school teachers' self-efficacy as an important policy agend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