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5 Download: 0

한ㆍ중 소비자 육류대체식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한 연구

Title
한ㆍ중 소비자 육류대체식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cross-cultural study to compare the influence factors of meat alternatives between Korean and Chinese consumer
Authors
ZHAO, YAXIN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식품영양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조미숙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actors influencing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s. The results of a survey of 589 consumers in Korea (297 people, male 50.5%, female 49.5%) and China (292 people, male 49.7%, female 50.3%) are as follows. Korean consumers'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p<0.01).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also showed the same trend (p<0.001).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males than in females (p<0.05). Korean consumers'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higher in 40s and 50s than in 20s and 30s.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also high in the 40s and 50s (p<0.01). On the other hand,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higher in 20s and 30s than in 40s and 50s (p<0.01).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also showed the same trend (p<0.01). The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lower in Korean consumers than in Chinese consumer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t was found that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was lower in Korean consumers than in Chinese consumers (p<0.01). Korean consumers'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s (p<0.001). Chinese consumers'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also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th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p<0.001). It was shown food technology neophobia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the degree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s (p<0.05). As a result of conducting a cluster analysis with food technology neophobia, the attitude toward sustainability when choosing food, and the attitude toward health when choosing food. Cluster 1 was classified as ‘Dietary low-related group’, which showed a moderate acceptance of new food technology and a low sustainability and health attitude when choosing food. Cluster 2 was classified as ‘Sustainable dietary high-related group’, which showed a low acceptance of new food technology, high sustainability and moderate health attitude when choosing food. Cluster 3 was classified as ‘Novel food technology and dietary high-related group’, which showed a high acceptance of new food technology, high sustainability and health attitude when choosing food. ‘Novel food technology and dietary high-related group’ showed the highest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followed by ‘Sustainable dietary high-related group’ and ‘Dietary low-related group’ (p<0.001). ‘Novel food technology and dietary high-related group’ showed the highest perception of meat substitute foods, followed by ‘Sustainable dietary high-related group’ and ‘Dietary low-related group’ (p<0.001). Therefore, food technology neophobia, the attitude toward sustainability when choosing food, and the attitude toward health when choosing food were also analyzed to affect the perception and purchase intention of meat substitute foods.;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 소비자의 육류대체식품에 대한 인식, 육류에 대한 인식, 새로운 식품 기술에 대한 태도, 식품을 선택할 때 지속가능성에 대한 태도, 식품을 선택할 때 건강에 대한 태도를 조사하여 육류대체식품의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교차 문화적 측면에서 분석하였다. 한국(297명, 남성 50.5%, 여성 49.5%)과 중국(292명, 남성 49.7%, 여성 50.3%)의 소비자 총 589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한국 소비자의 육류대체식품에 대한 인식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았으며(p<0.01). 육류대체식품의 구매의도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p<0.001). 중국 소비자의 육류대체식품에 대한 인식은 남성이 여성에 비해 높았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류대체식품의 구매의도는 남성이 여성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았다(p<0.05). 한국 소비자의 육류대체식품에 대한 인식은 40, 50대가 20, 30대보다 높았고. 육류대체식품의 구매의도도 40, 50대가 높게 나타났다(p<0.01). 반면에 중국 소비자의 육류대체식품에 대한 인식은 20, 30대가 40, 50대에 비해 높았고 (p<0.01). 육류대체식품의 구매의도도 같은 경향을 보였다(p<0.01). 육류대체식품에 대한 인식은 한국 소비자들이 중국 소비자들에 비해 낮은 경향을 보였으나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육류대체식품의 구매의도는 한국 소비자들이 중국 소비자들에 비해 낮았고 유의적인 차이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p<0.01). 한국 소비자에서 육류대체식품에 대한 인식은 육류대체식품의 구매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중국 소비자에서 육류대체식품에 대한 인식은 육류대체식품의 구매의도에 유의적인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1) 새로운 식품 기술에 대한 태도는 육류대체식품의 구매의도에 유의적인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새로운 식품 기술에 대한 태도, 식품을 선택할 때 지속가능성에 대한 태도, 식품을 선택할 때 건강에 대한 태도 3가지 요인으로 군집분석을 실시한 결과, 새로운 식품 기술의 수용도와 식생활의 지속가능성과 건강에 대한 태도가 낮은 그룹을 “식생활 전반적 무관심군”으로, 새로운 식품 기술을 기피하며 높은 지속가능성에 대한 태도를 가진 그룹을 “지속가능한 식생활 관심군”으로, 마지막으로 새로운 식품 기술에 대한 적극 수용하고 높은 지속가능성과 건강을 중요하게 여기는 그룹을 “식품 신기술과 식생활 전반적 관심군”으로 명명하였다. “식생활 전반적 무관심군”은 20대 한국인 남성을, “지속가능한 식생활 관심군”은 50대 중국인 남성을, “식품 신기술과 식생활 전반적 관심군”은 30대 중국인 여성을 위주로 구성되었다. 식품 신기술과 식생활 전반적 관심군은 육류대체식품에 대한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으며 군집간에 유의적으로 차이가 있었다(p<0.001). 육류대체식품의 구매의도도 식품 신기술과 식생활 전반적 관심군, 지속가능한 식생활 관심군, 식생활 전반적 무관심군 순으로 나타났다(p<0.001). 따라서 높은 새로운 식품 기술의 수용도와 식품을 선택할 때 지속가능성에 대한 태도, 식품을 선택할 때 건강에 대한 태도가 육류대체식품에 대한 인식과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에서 육류대체식품에 대해 인식 및 구매의도를 조사한 것으로 향후 아시아의 육류대체식품 시장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향후 한국과 중국의 아시아 국가뿐만 아니라 육류 소비가 많고 및 대체식품 개발에 적극적인 서양의 국가들 간의 비교 연구가 필요하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식품영양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