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55 Download: 0

독일 대학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연구

Title
독일 대학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요구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Needs Analysis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Curriculum for Students Majoring in Korean Studies at German Universities
Authors
Koehn, Sarah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해영
Abstract
본 연구는 독일 대학 한국학 전공자를 대상으로 요구 분석을 실시하여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최근 독일 대학에서 한국학을 전공이나 부전공으로 선택하는 학생들이 지속적으로 늘고 있는 상황에서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 역시 높아지고 있다. 특히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는 한국학 전공자로서 원활한 의사소통 능력을 갖춰야 할 뿐만 아니라 성공적인 학업 수행을 위해 한국 문헌을 한국어로 이해하고 자신의 학문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독일 대학에서 운영되고 있는 한국어 교육과정에서는 중급 수준 이상의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또한 한국학 전공과의 내용적 연계가 부족하므로 학습자의 교육적 요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독일 대학 학문 목적 학습자의 특수한 요구를 반영한 차별화된 한국어 교육과정이 필요하나 현재 한국어교육 분야에서 독일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는 아직 충분히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차별화된 한국어 교육과정을 설계하기에 앞서 독일 대학 한국학과에서의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에 대해 살피고 한국학 전공자 대상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기초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에 본고는 독일 대학의 한국학 전공자들이 학업을 수행하는 데 우선적으로 필요한 학습 기술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우선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힌 후 독일을 포함한 유럽 지역 대학의 한국어 교육과정 현황 및 문제점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2장에서는 본격적인 연구에 앞서 이론적 배경을 정리하였다. 먼저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의 개념과 주요 교수 내용에 대해 기술하고 한국학 전공의 특징을 밝힌 뒤, 한국학 전공자 대상 한국어 교육에서 내용 중심 교수법의 효율성을 확인하였다. 이어 독일 대학의 외국어 교육 정책과 한국학과 내 한국어 교육의 현황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피고, 본 연구의 연구 방법인 요구 분석의 개념과 유형에 대해 알아보았다. 3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사용한 연구 방법과 도구에 대해 기술하였다. 먼저 독일 대학의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교육적 요구를 파악하기 위해 학문 목적 한국어 능력, 한국학 전공 지식 함양을 위한 한국어 학습 내용, 한국어・한국학 연계 과목, 세 영역을 살펴보았다. 총 24개 항목으로 구성된 설문지를 작성하였고 한국학 전공자 및 부전공자 90명 대상으로 요구 조사를 실시하였다. 4장에서는 조사 결과에 대한 분석 및 해석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연구 문제 1에서는 독일 대학 한국학 전공자들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에 있어 우선적으로 요구하는 교수 내용을 확인하였다. 분석 결과 한국학 전공자는 한국어 중급 단계에서 우선적으로 작문형 글쓰기, 발표하기, 한국어 매체 언어 읽고 이해하기와 같이 간단한 수준의 학문 목적 한국어 능력과 관련 학습을 요구하였으며, 고급 단계에서는 학문적 글 읽고 이해하기, 한국어 매체 언어 듣고 이해하기와 같이 특히 수용적 기술 향상을 위한 학습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한국학 전공 지식 함양을 위한 학습 내용에 대한 요구 분석 결과, 학습자 숙달도와 상관없이 한국어 발음과 억양에 대한 학습이 가장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외에는 한국학 관련 텍스트와 어휘, 비교문화적 내용에 대한 요구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 문제 2에서는 한국학 전공자와 부전공자의 교육적 요구를 비교하여 차이점을 밝혔다. 분석 결과, 한국학 부전공자는 한국어 매체 언어 이해 능력 향상과 관련된 학습을 가장 중요하게 인식하였고 전공 관련 학업을 수행하는 데 한국학 전공자에 비해 비교적 낮은 수준의 학문 목적 한국어 능력을 요구하고 있었다. 이처럼 한국학 전공자와 부전공자 간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한 요구에 있어 다소 차이가 있기 때문에 독일 대학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 시에 두 집단의 요구 간 균형을 찾아 학습자의 만족도가 향상될 수 있도록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할 것이다. 연구 문제 3에서는 독일 대학에서 한국어로 진행되는 한국학 수업이 제공되어야 한다는 관점에서 한국 사회, 역사, 정치, 경제, 문학, 번역학, 한국어학 등 한국학의 주요 연구 분야를 중심으로 한국어・한국학 연계 과목에 대한 요구를 알아보았다. 분석 결과, 한국학 전공자는 한국 사회와 한국어학과 관련된 수업에 큰 관심을 보인 반면 한국학 부전공자는 한국어 번역학과 한국 사회와 관련된 수업에 대한 관심이 가장 컸다. 다만 한국학 부전공자의 한국어・한국학 연계 수업에 대한 요구는 전공자에 비해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독일 대학 한국학과에 한국어로 진행되는 한국학 수업을 개설한다면 전공자와 부전공자가 공통적으로 요구한 한국 사회와 관련 수업 개설을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이다. 5장에서는 연구 결과를 정리한 뒤,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히고 후속 연구에 대한 제안을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독일 대학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과정 개발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가치가 있으며, 독일어권 한국어교육 및 한국학 발전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Along with the recent surge in German students choosing Korean Studies as their major in university,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Academic Purposes (KAP) in German universities has been rapidly increasing. As Korean Studies majors need a high level of proficiency in Korean to carry out their studies and conduct Korea-related research, it is important that the language curriculum is tailored to meet the students’ educational needs. However, while German universities provide a comprehensive curriculum for elementary- and intermediate-level learners of Korean, they do not fully meet the needs of more advanced KAP learners. As only little research has been conducted on German learners of Korean language, basic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their educational needs and to suggest directions for the development of a differentiated, needs-based KAP curriculum. The composition of this study is as follows: Chapter 1 reviews prior research related to the Korean language program at European universities and outlin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Chapter 2 summarizes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cluding relevant concepts of curriculum design related to Korean for Academic Purposes and Korean Studies. Also, in order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t German universities, the Korean language curricula of seven universities offering Korean Studies as a degree subject are analyzed in detail. Then, emphasizing the importance of needs assessment and gap analysis in foreign language curriculum design, the Borich Needs Assessment Model and the Locus for Focus Model are introduced as the main research methods of this study. Chapter 3 introduces the design of the survey, incorporating a total of 24 items in three research areas related to KAP language skills,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s and Korean Studies seminars provided in Korean language. The survey was conducted on 90 students at German universities with Korean Studies as their major or minor subject.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presented and analyzed in Chapter 4. The results are as follows: Research question 1 identified specific educational content that should be primarily considered when designing a KAP curriculum. Analyzing the participants’ needs in academic Korean language skills, general academic skills such as essay writing, presentation and understanding Korean media language were most required by intermediate-level learners, while advanced-level learners showed a high demand for reading comprehension skills of academic texts. Regarding Korean language learning content, Korean pronunciation and intonation were demanded the most across all learning levels, followed by major-related texts. Research Question 2 revealed the differences in the educational needs between Korean Studies majors and minors: While Korean Studies majors required academic language skills and content specifically related to their major, minors focused more on the comprehension of Korean media language and culture-related content. Research Question 3 then examined the demand for Korean Studies seminars conducted in Korean language, including the topic areas of Korean society, history, politics, economics, literature, translation, and linguistics. According to the results, Korean Studies majors showed great interest in seminars on Korean society and Korean linguistics, while Korean Studies minors expressed a relatively low demand for such seminars in general, but were overall interested in Korean seminars on translation and Korean society. Chapter 5 concludes this study by providing a short summary of the main findings and by outlining its significance and its limitations. Broadening the understanding of the educational needs of German KAP learners, this study provides a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a needs-based KAP curriculum at German universities and contributes to the future development of Korean Studies and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German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