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43 Download: 0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역할극 분석 연구

Title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역할극 분석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Role Play Analysis in Korean Textbooks for Foreign Workers
Authors
김효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선희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외국인 근로자 대상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역할극을 비교 및 분석하는 데 있다. 국내 거주 이주민 중 근로자가 수적으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데 그들을 위한 교수-학습 방안을 분석한 연구는 미진했다. 이에 본 연구는 근로자 학습자의 참여를 유도하여 의사소통 능력과 실생활에서의 문제 해결 능력을 향상시켜주는 교육 방안이 '역할극’이라고 보아 이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Ⅰ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힌 후 외국인 근로자, 역할극을 중심으로 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의 핵심 주제어인 ‘외국인 근로자’, ‘역할극’에 대한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였다. 먼저 수도권에 위치한 외국인 근로자센터 9개소에 문의하여 국내 거주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과정을 살폈다. 이어서 역할극의 정의 및 교육학적 의의를 정리했다. 또한 역할극의 구성 요소를 역할, 과제, 활동, 지시문, 그리고 어휘로 분류하고 역할극 학습 적용 단계를 기술하였다. Ⅲ장에서는 역할극의 분석 방법을 기입하였다. 먼저 외국인 근로자를 대상으로 출간되었으며 역할극이 나타난 여섯 권의 교재를 분석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 기준은 학습자의 환경을 고려하여 역할, 과제, 활동, 지시문, 어휘의 구성 요소를 갖추었는지 여부와 역할극 학습 적용 단계에 맞게 구현되었는지 여부로 선정하였다. Ⅳ장에서는 역할극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정리하여 앞서 설정한 연구 문제에 대하여 규명하였다. 연구 문제 1, 역할극의 구성 요소 중 첫째, 역할을 분석한 결과, 동료 관계가 가장 많았으며 면접관-피면접자, 상사, 거래처, 직원-고객이 숙달도와 상관없이 나타났다. 대화 순서 교대는 <비즈니스 한국어 1>에서만 3인이 비순차적인 구조로 대화를 주고받을 뿐 대부분의 대화문이 2인의 순차적인 구조를 갖추고 있었다. 둘째, 과제 분석 결과, 1권은 동료와 경험 말하기(6.66%), 업무 관련 질문 및 지시하기(6.66%), 고객 응대하기(6.66%), 계획 말하기(8%)가 많이 나타났다. 2권은 계획 말하기(6.97%), 제품 소개하기(8.13%), 안부 인사 주고받기(9.30%), 업무 관련 질문 및 지시하기(12.79%)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었다. 셋째, 활동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주어진 대화문의 구조에 상황을 교체하는 역할극이 1권에 28.07%, 2권에 33.33% 나타났다. 주어진 상황에 창의적으로 내용을 구성하는 역할극은 1권에 16.66%, 2권에 14.91% 제시된다. 한편 토론 또는 단서를 바탕으로 하는 역할극은 <비즈니스 한국어>에서만 다뤄지고 있었다. 넷째, 지시문을 분석한 결과, , <비즈니스 한국어 1>의 지시문은 단문으로 구성되어 있고 구체적인 역할을 제시하여 지시문에 대한 접근이 용이했다. 한편 종결 어미의 유형은 초급 교재의 특성상 다양하지 않았으나 과제를 명시적으로 제시하여 지시문에 대한 이해도를 높였다. 다섯째, 어휘를 분석한 결과, 근로자 대상 교재에 맞게 학습자의 특수성을 반영한 어휘가 다수 제시되어 있었다. 한편 역할극 활동 전 단계에서 제시되는 어휘 목록에 비해 역할극 활동 단계에 제시된 어휘와 표현 목록은 그 수가 적었다. 연구 문제 2, 역할극의 학습 적용 단계에 맞게 구현되었는가에 대한 검증을 하기 위해 역할극 전, 역할극 수행, 역할극 후 단계로 분류하여 학습 적용 단계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여섯 권의 교재 모두 역할극 전 단계에서 유용한 표현이나 예시 대화문을 통해 대화의 구조를 익히도록 했으며 역할극 수행 단계에서 지시문에 따라 동료 학습자와 협동적인 역할극을 하도록 유도하고 있었다. 그러나 역할극에서 가장 중요한 역할극 후 단계는 다른 언어 기능의 향상을 위한 활동이 몇몇 교재에 나타날 뿐 역할극 내용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 및 보고를 하는 단계가 구현되어 있지 않았다. Ⅴ장에서는 연구의 결론 및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기술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거주 외국인 근로자가 매년 증가하는 추이를 살펴 근로자 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살폈다. 또한 선행 연구를 통해 근로자 학습자가 필요로 하는 말하기 활동이 소집단 활동임을 확인하고 교재에 나타난 역할극을 분석한 것에 의의가 있다. 한편 분석 대상 교재로 수업을 하여 도출되는 결과를 얻지 못 했다는 점이 한계로 남아 후속 연구가 필요함을 밝히며 논의를 마치고자 한다.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과가 외국인 근로자를 위한 역할극 활용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and analyze the role play shown in Korean textbooks for foreign workers. While foreign workers account for the largest percentage of immigrants living in Korea, there is not much education-related research for th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role plays that improve problem-solving and communication competence in real life by conducting collaborative learning with worker learners. Chapter I describes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is study and reviews previous studies on foreign workers and role play. Chapter II examines the Korean language curriculum for foreign workers and outlines the definition and pedagogical significance of role plays and the components of role plays and the learning application stage. Chapter III describes the research methods used in this study. Six textbooks that showed role-plays targeting foreign workers were analyzed. Taking the learner’s background into consideration, the analysis criteria were selected by considering the components of roles, tasks, activities, directive sentences, vocabulary, and learning application stages. Chapter IV describes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two research questions. Question 1. “How does role-play ‘have the components’ that role-play should have?” Question 2. “Does the components implemented accordingly to the learning application stage of role play?” The results for ‘Research Question 1’ are as follows. Between the two speakers, the roles such as work colleagues, bosses, clients, and customers always appear the most during role-play stage. Furthermore, most of the communication structure was that two people talked in order. The tasks were presented to have conversation experiences or plans and ask and give business directions to an employee. There were also many direction sentences consisting of short sentences, hence this has the advantage for learners to understand the directive sentences easier. The results for ‘Research Question 2’ are as follows. In all six textbooks, the pre-role and role-play performance stages were composed of the learning application stages. However, evaluation and result regarding post-role stage were not included. There is also no opportunity to re-enforce learning on the content of role plays. Chapter V describes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nd the significance and limitations of this study. This study looked at the curriculum of foreign workers' educational institutions in Korea. It is meaningful to analyze the role play shown in the textbook by confirming through prior research that the speaking activity required by the worker learner is a group activity learning. It is expected that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research will contribute to the utilization of role plays for foreign workers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