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2 Download: 0

중학생의 안전의식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Title
중학생의 안전의식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Program Development of Safety Awareness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 Focusing on the Unit of Residential Life
Authors
정선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수언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unit of residential life in the safety domai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examined the demands for safety awareness and residential safety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eachers. Also, based on the demands analysis, the study developed a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of residential safety education program in safety awareness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purpose was to raise students' awareness of safety in their homes and to help them recognize the accidents they may face in their residential lives, thereby cultivating their capacity to deal with accident situations. The research contents set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investigated and analyzed the demands for safety awareness and residential safety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Second, the study designed and evaluated the residential safety education program to increase safety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analysis, design, development, and evaluation stages were conducted according to the ADDIE Instructional Design Model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In the analysis stage, first, focusing on the unit of ‘residential life and safety accidents’ in the safety domai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he study performed an morphological analysis using KoNLP on the key education contents of safety education of the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and applied Word Cloud, one of the language network techniques. Thus, it laid the foundation for selecting the learning topic for residential safety education. Second, the study analyzed safety awareness and safety education demands for the development of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of the residential safety education program of safety awareness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 subjects of the analysis included 174 first and second grade students in S middle school in Cheonan. A total of 171 questionnaires, except 3 missing values, were statistically analyzed using the SPSS WIN 21.0 program. The credibility value of Cronbach Alpha was .853, which was significant. Given that a total of 42 in-service teachers also responded to the safety education demands survey, 42 questionnaires were also analyzed. In the design stage, based on the keywords extracted from the unit of residential life of the ‘safety’ domain, the key concept among ‘the residential life’ domain in 12 type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using R-studio and the results from the safety awareness and safety education demands of the middle school student learners in the analysis stage, classroom safety accident prevention and residential safety accident prevention were selected as learning topics, and evaluation criteria were established. In the development stage,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of the residential safety education program was develop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safety awareness education. The learning plan of the program was established by reflecting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presented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unit objectives and achievement criteria for middle school residential as well as the results from the analysis stage. A total of four-session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 relevant evaluation criteria were presented. In the evaluation stage, the developed program was validated by experts. In terms of the expert's verification method, a survey was distributed to one home economics professor and two home economics Ph.D. graduates regarding the overall content selection, organization, and composition of the program, which they reviewed, revised, and supplemented. The results from the residential safety education program developed for middle school students' safety awareness education are as follows. First, using KoNLP of the R-studio program, the study extracted the morphemes of contents from 12 type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visualize them through Word Cloud. As a result, the top five key words were extracted. Therefore, the key contents of education in residential safety were extracted, and the basis for selecting the theme of the residential safety education program was prepared. Second, according to a survey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and the status of safety education, the survey on safety education revealed that more than half of respondents had received safety education in middle school. Furthermore, more than 70% of the respondents said that safety education is needed at school, suggesting that the majority of students feel the necessity of safety education. Third, with regard to the actual situation of residential safety accidents, more than half of the 171 students had experienced safety accidents in residential facilities, which showed that a safety accident can happen to anyone. Also, it was room where the students had experienced safety accidents in residential facilities most frequently. That is, the students were most likely to have an accident in a place where they spent most of their time among residential facilities. Considering that falling down was the most frequent type of safety accident in residential facilities, the patterns of safety accident experiences and accidents in residential facilities surveyed were similar. It indicated that it is effective to conduct safety education by connecting the places of safety accident experiences in residential facilities and their patterns. Fourth, with regard to the daily awareness about safety, the students had a large amount of knowledge and interest in safety about themselves and their families. They also recognized that their surroundings were relatively safe and that they had a safe life in their daily lives, while they acknowledged that a safety accident can happen any time. Fifth, with regard to demands for residential safety education, the students pointed out the safety of school classrooms the most, which confirmed that the demands for classroom safety education was high for classrooms where the students spend a lot of time. The teachers also pointed out the safety of school classroom the most; the teachers’ and students’ safety education demands were consistent, meaning that the necessity of school classroom safety education was confirmed. Drawing from these findings, this study developed a 4-session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of the residential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Since learners applying project learning can set, plan, execute and evaluate their own goals, It is expected that the program would enhance their practical problem-solving skill, one of the subject capability of the home economics curriculum. Along with the newly-organized safety domain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and the growing demands of society and learners for safety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e analysis data of this study and the teaching and learning process plan of the residential safety education program for middle school students’ safety awareness education can play a role in providing a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safety education for future researchers. It can be used as a safety education class material for in-service teachers in the field of education, and the proposed evaluation criteria would enable the process-based evaluation highlighted in 2015. It is hoped that this study can serve as a data for cultivating safety awareness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in the home economics subject, research on safety education is expanded in various areas besides housing safety education.; 본 연구는 2015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 안전영역의 주생활단원을 분석하고, 학습자인 중학생과 중학교 교사를 대상으로 안전의식과 주거 안전교육에 관한 요구사항을 조사하여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요구 분석을 바탕으로 중학생의 안전의식 교육을 위한 주거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과정안을 개발하였다. 주거 안전의식을 높이고 주거 생활에서 직면할 수 있는 안전사고를 인지하여, 사고 상황을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를 수 있도록 함에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생의 안전의식과 주거 안전교육에 대한 요구사항을 조사하고 분석한다. 둘째, 중학생의 안전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주거안전교육 프로그램을 설계 및 평가한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ADDIE 교수 설계 모형에 따라 분석, 설계, 개발, 평가 단계를 거쳤다. 분석 단계에서는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의 ‘안전’ 영역 ‘주생활과 안전사고’단원 분석 대상으로 정하여, 기술·가정 교과서의 안전교육 내용 핵심 교육내용을 KoNLP을 통해 형태소 분석과 언어네트워크 기법 중 하나인 워드클라우드(Word cloud)를 사용하여 분석하여, 주거안전교육 학습주제 선정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둘째, 중학생의 안전의식 교육을 위한 주거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을 위한 안전의식과 안전교육 요구 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 대상으로는 천안에 소재하는 S중학교 1, 2학년 학생 174명을 대상으로 진행되었으며, 결측값 3부를 제외한 총 171부의 설문지를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해 분석하였다. 신뢰도 Cronbach 알파 값은 .853으로 나타나 유의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또한 안전교육에 요구도 조사에서는 현직교사 총 42명이 응답하여, 42부의 설문지를 통해 분석하였다. 설계 단계에서는2015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 12종에서 ‘가정생활’ 분야 중 핵심개념‘안전’영역의 주생활 단원을 R-studio 프로그램을 통해 추출한 키워드와 분석단계에서 진행한 중학생 학습자의 안전의식과 안전교육 요구도 조사결과를 토대로 하여 학습 주제로 교실 안전사고 예방, 주거시설 안전사고 예방을 선정하였으며, 평가기준을 마련하였다. 개발 단계에서는 중학생의 안전의식 교육을 위한 주거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과정안 개발하였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하는 가정 교과의 교육 목표와 중학교 주생활의 단원 목표 및 성취기준에 의거하고, 분석단계의 조사결과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의 학습 계획을 수립하였다. 총 4차시 분량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고, 그에 따른 평가기준을 제시하였다. 평가 단계에서는 개발된 프로그램은 전문가를 대상으로 하여 타당성을 검증받았다. 전문가의 검증 방법은 가정과교수 1명과 가정과교육 박사학위 소지자 2인을 대상으로 하여 프로그램의 내용 선정과 조직, 구성에 대한 전반적인 사항을 설문지지로 작성하여 검토를 받고 수정·보완하였다. 연구에서 개발한 중학생의 안전의식 교육을 위한 주거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 기술·가정 교과서 12종을 R-studio 프로그램 KoNLP을 사용하여 교과서 내용의 형태소를 추출하여 빈도를 분석하였고, 워드클라우드를 통해 시각화하였다. 이를 통해 상위 핵심 단어 5개씩을 추출하였다. 주거 안전에서의 핵심 교육내용을 추출하였고, 주거안전교육 프로그램 주제선정의 기반을 마련하였다. 둘째,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및 안전교육 실태에 관한 설문조사에서 안전교육 실태 조사에서 응답 대상자의 절반 이상의 중학교 학생들이 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었다. 또한 응답 대상자의 70%가 넘는 학생들이 학교에서 안전교육 실시가 필요하다고 응답하여, 대다수의 학생들이 안전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주거 안전사고 경험 실태로는 연구 대상 171명 중 절반이 넘는 학생들이 주거시설 내 안전사고를 경험한 적이 있어, 누구에게나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학생들이 주거시설 내 안전사고를 가장 많이 경험한 장소는 방으로 나타나, 학생들이 주거시설 내에서 가장 많은 시간을 할애하는 곳에서 안전사고를 많이 경험하고 있었다. 주거시설 내 안전사고 경험 유형으로는 넘어짐을 가장 많이 응답하여, 조사한 주거시설 내 안전사고 경험 유형과 사고유형이 서로 유사하게 나타나 주거시설 내 안전사고 경험 장소와 유형을 서로 연결 지어 안전교육을 실시하는 것이 효과적임을 나타내었다. 넷째, 안전에 대한 평소의 생각으로는 학생들은 나와 가족의 안전에 대한 지식과 관심도가 높았다. 또한 나의 주거의 주변 환경을 안전한 편으로 인식하며, 일상에서 안전생활을 실천하고 있다고 생각하고 있지만 한편으로는 안전사고는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다고 느끼고 있었다. 다섯째, 학생들의 주거 안전교육의 요구 내용으로는 학교 교실 안전에서 높은 응답률을 나타내 학교 교실이 학생들이 많은 시간을 생활하는 공간인 만큼 교실안전 교육의 요구도가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교사의 주거 안전교육 요구 내용 또한 교실안전을 가장 많이 응답하여, 교사와 학생의 안전교육 요구 내용이 일치하였고, 학교 교실 안전교육의 필요성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연구결과들을 통해 중학생의 안전의식 교육을 위한 주거안전교육 프로그램 교수학습 과정안 4차시를 개발하였다. 프로젝트 학습을 적용하여 학습자가 스스로 목표설정, 계획, 실행, 평가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가정교과 역량 중 하나인 실천적 문제해결능력을 기를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안전 영역이 신설되고, 안전교육에 대한 사회와 학습자의 요구가 커지고 있는 만큼 본 연구 분석 자료와 개발된 중학생의 안전의식 교육을 위한 주거안전교육 프로그램의 교수학습 과정안이 후속 연구자들에게 안전교육의 개발 방향을 제시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교육 현장에서도 현장 교사들의 주거안전교육 수업 자료로 활용할 수 있으며, 평가기준안을 제시하여 2015에서 강조하는 과정중심평가 또한 진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가 중학교 학생들의 안전의식 함양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하며, 가정교과에서도 주거안전교육 이외에도 여러 영역에서 안전교육의 연구로 확대되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