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16 Download: 0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위한 중학교 가정과 의생활 영역 수업 모듈 연구

Title
학습자들의 능동적 참여를 위한 중학교 가정과 의생활 영역 수업 모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instruction module of clothing life in middle school home economics for learners’ active participation
Authors
이진솔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가정과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주수언
Abstract
4차 산업혁명은 인간의 삶을 빠르게 유용하게 변화시키고 있다. 특히 우리 생활에 유용한 형태로 활용되는 인공지능, 빅 데이터와 같은 다양한 지식정보 기술의 발전은 거스를 수 없는 사회적 흐름이 되고 있다. 이러한 지식정보 기술은 사물과 사물, 인간과 사물이 연결되는 초 연결 사회에 필요한 많은 역량을 요구하고 있다. 이와 같이 사회 패러다임의 변화는 지식과 인간 사이의 관계 변화 또한 요구하고 있으며, 학습자들이 지식을 보다 능동적으로 활용하며, 창조하고 융합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하도록 요구하고 있다. 이러한 맥락에서 현재 시행되고 있는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새로운 지식 창조와 다양한 지식 융합을 통해 학습자들의 능동적인 참여는 물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할 수 있는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적으로 교수․학습 방법에서도 학습자 중심 및 학생 주도형 수업 활동을 추구하고 있다(교육부, 2015). 본 연구는 이러한 배경을 바탕으로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위해 2015 개정 가정과 교육과정의 의생활 영역을 중점으로 하여 학습자 중심을 기반으로 한 수업 모듈을 개발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연구 목적에 부합하는 합리적 가치결과를 얻기 위해 계획, 분석, 설계 및 개발, 평가, 개선의 단계로 수행하였다. 첫째, 계획 단계에서는 연구주제와 연구내용 및 범위를 설정하였다. 연구 주제는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를 위한 학습자 중심을 기반으로 한 수업 모듈 연구이다. 연구내용 및 범위는 2015 개정 교육과정 중학교 가정 교과의 의생활 관련 단원의 성취기준 및 내용체계와 기술․가정 교과서 총12종의 의생활 단원의 활동과제 분석과 수업 모듈 개발이다. 둘째, 분석 단계에서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자 중심의 수업 모듈 개발을 위해 선행연구와 이론적 고찰을 병행하였다. 특히, 이론적 고찰에서는 의생활교육의 역사적 배경 분석과 학습자중심교육과 관련한 이론을 중점적으로 고찰하였다. 또한, 2015 개정 중학교 기술․가정 의생활 단원의 교육과정 및 성취기준을 분석하고,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가 이루어지는 수업 동향 파악을 위해 총 210개의 활동과제를 추출하여 분석하였다. 활동과제는 학습요소, 집단의 규모, 과제 유형 3개의 분류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셋째, 설계 및 개발 단계에서는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의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의생활 단원의 내용요소와 및 학습요소를 선정하였다. 또한 이를 활용하여 LT협동학습, 써클맵, 토론, 비주얼 씽킹, 윈도우패닝, 뱅글북, 프로젝트학습과 같이 다양한 학습 활동을 선정하여 학습자 중심 수업을 유도하였으며, 학습자들의 참여를 높일 수 있도록 수업 모듈의 목표 및 내용의 구성, 차시별 활동 및 학습 내용, 학생용 활동과제 자료 및 교사용 학생 자료, 학생평가자료를 설계하였다. 설계 내용을 바탕으로 의생활 단원의 ‘옷차림과 의복 마련’내용요소를 학습할 수 있도록 학습자 중심을 기반으로 한 수업 모형을 적용한 총 10차시의 수업 모듈을 개발하였으며, 수행과제, 서술식 평가 척도, 학습경험과 수업 모듈 자료, 개인 활동지, 모둠활동지, 동기유발 자료 등을 개발하였다. 넷째, 평가 단계에서는 설정한 평가항목을 활용하여 타당도 평가를 실시하였다. 이를 위해 가정교육학 교수 1인과 박사학위를 소지한 현장교사 2인에게 평가를 수행하여 수정 및 보완의 과정을 통해 수업 모듈을 최종 완성하였다. 평가항목은 학습목표 진술의 적절성, 활동과 관련한 교과 학습내용 선정의 적절성, 학습내용 조직의 적절성, 학습 내용의 관련 지식 통합의 적절성, 학습자 수준의 적절성, 시간구성의 적절성, 기타 의견으로 구성하였다. 전문가 의견을 바탕으로 학습자 중심을 기반으로 한 수업 모듈을 수정하였으며, 개별 활동지 및 모둠 활동지를 다시 개발하고 조직화하였다. 본 연구는, 현재 시행중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부합하는 중학교 의생활과 관련한 학습자 중심 교육에 관한 전문적 연구가 미비함에 따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학습자 중심의 의생활 수업 모듈 개발을 통하여 가정교과를 학습하는 중학교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를 증진시키고자 하는 데 그 의의를 두고 있다. 이에 학생들의 능동적인 수업 참여를 높여 올바른 의생활을 영위하며, 후속 연구자들에게 학습자 중심의 수업 모듈 개발의 방향을 제시하고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현장 교사들이 실제 수업을 진행할 때 도움이 되도록 실행력에도 중점을 두었다.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학습자 중심의 의생활 교육에 기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고등학교 수업에도 적용할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의생활 교육을 위해 다양한 학습자 중심의 모형과 활동을 적용한 수업 모듈이 현장 교사들과 교육과정 개발자에게 유익한 자료로 활용되고, 나아가 앞으로 교육 현장에서 학습자 중심의 의생활 수업 모듈의 설계가 확대되기를 기대한다.; Along with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various knowledge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such as artificial intelligence and big data, which are useful for human life, are appearing in our society. Such knowledge and information technologies are leading the change toward a hyper-connected society where objects and objects, and humans and objects are interconnected. Such transformation in the social paradigm also requires changes in the relationships between knowledge and humans, and therefore, it is necessary for learners to cultivate their capacity to acquire, use, create and fuse knowledge in a more proactive manner. In this context, the teaching and learning plan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urrently in effect, which aims at fostering creative convergent talents who can create new values as well as encouraging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through new knowledge creation and fusion of diverse knowledge, seeks learner-centered and student-led class activities (The Ministry of Education, 2015). In this regard,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learner-centered instruction module, focusing on the clothing life domain of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In order to achieve reasonable value results consistent with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study was conducted in the stages of planning, analysis, design and development, evaluation, and improvement. First, at the plan stage, the research topic, contents and scope were set. The research topic was the study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module for the active participation of learners. The contents and scope of the study included the achievement criteria and content system of the clothing life unit of the 2015 revised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e analysis of activity tasks and the development of instruction module of the clothing life unit of a total of 12 kinds of technology and home economics textbooks. Second, in the analysis stage, the existing studies and theories were reviewed to develop a learner-centered instruction module targeting middle school students. In particular, the historical background of clothing life education and theories on learner-centered education were examined. Moreover, the curriculum and achievement criteria of the clothing life unit of the 2015 revised home economics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were analyzed, and a total of 210 activity tasks were extracted and analyzed to identify trends of classes in which students actively participated. The activity tasks were classified according to three categories of learning factor, group size, and task type. Third, in the design and development stage, the contents and learning elements of clothing life unit were selected to realize the learner-centered education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Accordingly, a variety of learning activities were selected such as LT collaborative learning, circle map, discussion, visual thinking, window panning, bangle book, and project learning to facilitate learner-centered classes. In order to improve the learners’ participation, the instruction module objectives and contents organization, activities and activity contents for each session, students’ activity task materials and teachers’ materials, and students’ evaluation materials were designed. Based on the designed contents, a total of 10-session instruction module was developed to apply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model for the 'dressing and clothing' content elements of the clothing life unit. The activity tasks, narrative assessment scales, materials for learning experience and instruction module, individual worksheets, group worksheets, and motivational materials were also developed. Fourth, in the evaluation stage, the validity evaluation using the set evaluation items was carried out.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by one home economics professor and two in-service teachers with a Ph.D. degree. After a course of modification and supplementation, the instruction module was finalized. The evaluation items consisted of the relevance of the statement of learning objectives, the relevance of the selection of curriculum contents related to the activities, the relevance of the organization of the learning contents, the relevance of the integration of related knowledge of the learning contents, the relevance of the learners’ level, the relevance of the time frame, and other opinions. By adding the experts’ input, the learner-centered instruction module was revised, and the individual worksheets and group worksheets were redeveloped and reorganized. Given the lack of specialized research on learner-centered education related to middle school students’ clothing life that corresponds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currently in effec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learner-centered clothing life instruction module for middle school students, thereby promoting active participat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learning the subject of home economics. Thus, the study attempted to raise the students' active participation in class so that they can have a proper clothing life and to be used as a basic data that suggests the direction of learner-centered instruction module development to future researchers. Moreover, the study emphasized its practical applicability to be applied to actual classes of in-service teachers. This study not only contributes to the learner-centered clothing life education for middle school students but also can be utilized as a basic data in high school. Also, it is hoped that the instruction module, which employed various learner-centered models and activities for the clothing life education, would be used as a useful material for in-service teachers and curriculum developers, and further, the design of learner-centered clothing life instruction modules would be expanded in the field of educa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가정과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