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447 Download: 0

스마트TV 기반의 증강현실(AR) 활용 학습이 유아의 학습몰입과 기본운동능력 및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Title
스마트TV 기반의 증강현실(AR) 활용 학습이 유아의 학습몰입과 기본운동능력 및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 of Smart TV-based Augmented Reality on children’s Immersive Learning, Basic Exercise Ability, and Physical Self-Concepts
Authors
최지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공학·HRD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소효정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스마트TV 기반인 증강현실(AR) 활용학습이 유아의 학습몰입도에는 어떤 차이가 있고, 유아의 기본운동능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에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목적 하에 각 변인 별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3가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스마트TV 기반 증강현실(AR) 활용 수업 유무에 따라 유아의 학습몰입도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스마트TV 기반 증강현실(AR) 활용 수업 유무에 따라 유아의 기본운동능력에 미치는 차이가 있는가? 연구문제 3. 스마트TV 기반 증강현실(AR) 활용 수업 유무에 따라 유아의 신체적 자아개념에 미치는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를 실시하기 위해 서울시에 위치한 태권도학원의 만 4,5세 유아 30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실험집단으로는 4시부의 15명에게 본 연구인 스마트TV 기반의 증강현실(AR)을 이용한 신체활동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으로는 5시 30분부 15명에게 스마트TV 기반의 증강현실(AR)을 사용하지 않고 신체활동을 진행하여 연구를 실시하였다. 2019년 8월 19일부터 9월 6일까지 3주에 걸쳐 총 10회를 실시하였다. 유아의 학습몰입에 두 집단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Jackson과 Marsh(1996)가 개발하고 증강현실 학습환경에서 몰입을 측정하기 위해 수정·보완한 계보경(2007)의 몰입 상태 척도(Flow State Scale:FSS)를 사용하였다. 유아의 기본운동능력을 검사하기 위해 지성애(2007)가 개발하고 오세경(2012)이 수정 및 보완한 유아운동능력검사척도 (Motor Proficiency Test for Young Children : MPTYC)를 사용하였다(오세경, 2012). 또한, 신체저 자아개념을 검사하기 위해 Marsh 와 Richards (1994)의 신체적 자아개념 질문지를 번안하여 사용한 황순각(2001)과 김병준(2001)이 개발한 측정 도구를 중심으로 재구성한 윤은영(2005)의 ‘신체적 자아개념 검사’를 사용하였다. 측정한 자료를 이용해 통계프로그램인 SPSS 18.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학습몰입의 경우 두 집단간에 평균 비교를 위해 t-검증을 실시하였다. 기본운동능력과 신체적 자아개념의 경우 실험처지 전 사전검사에서 두 집단간에 동질성 검사에서 두 집단이 동일하다고 나타났으나. 평균과 표준편차에서 오차가 나타나 더 정확한 분석을 위해 사전검사를 공변으로 통제하고 공분산분석(ANCOVA)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을 통해 얻어진 결과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스마트TV 기반의 증강현실(AR)을 활용 유무에 따라 두 집단 간의 차이를 보기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을 비교 분석한 결과 학습몰입의 전체 합에서 실험집단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음을 나타냈다. 하위영역에서 통제감을 제외한 시간감각 왜곡, 자기 목적적 경험, 당면과제에 대한 집중, 행위와 의식의 통합 부분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하게 높음을 나타냈다. 둘째, 스마트TV 기반의 증강현실(AR)을 활용해 신체활동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일반 신체활동을 진행한 통제집단의 비해 기본운동능력의 전체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하위 영역인 비이동운동능력의 경우 두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이동운동영역에서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한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스마트TV 기반의 증강현실(AR)을 활용해 신체활동을 진행한 실험집단이 일반 신체활동을 진행한 통제집단의 비해 신체적 자아개념의 전체 점수가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하위영역에선 외모, 운동 유능감, 체력에서는 실험집단이 통제집단보다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나타냈지만, 건강영역에서는 두 집단 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없음이 나타났다.;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difference of learning immersive of augmented reality (AR), smart TV base and how it affects the basic motoring skills and physical self-concepts of infants. In this study, three research questions were set 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the spokespersons and special circumstances of each group. Research question 1. Depend on usage of using smart TV augmented reality (AR) in class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degree of learning immersion? Research question 2. Depend whether smart TV-based augmented reality (AR) utilization class Is there a difference in the basic motor skills of infants? Research question 3. Depend on smart TV infrastructure augmented reality (AR) utilization class Are there differences in the infant's physical self-concept? In order to carry out this study, we’ve targeted 30 children aged 4 to 5 years at Taekwondo Academy in Seoul. In the experimental group, 15 people at 4 o'clock conducted physical activities using the smart TV-based augmented reality (AR) in this study, as a comparison group 5:30 15 people augmented with smart TV-based augmented reality (AR) was not used and physical activity was promoted and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ugust 19th to September 6th, 2019, a total of 10 sessions were held over 3 weeks. In order to investigat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learning immersion of infants, Gyebogyon (developed and supplemented by Jackson and Marsh (1996) to measure immersiveness in an augmented reality learning environment (2007) Flow State Scale (FSS) was used. In order to test the basic motor skills of infants, we used the Motor Proficiency Test for Young Children (MPTYC) developed by Ji-Sung (2007) and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Oh Se Kyung (2012), Seguyon, 2012). In addition, in order to examine the physical self-ego concept, the measurement tool developed by Hwang Seung-gak (2001) and Kim Byung-joon (2001), who adapted the physical ego concept and questionnaire of Marsh & Richards (1994), was used. The reconstitution of Yun Eun-yeon (2005) in the center was used. The measured data was used for analysis using SPSS 23.0, a statistical program. In the case of learning immersion, t-validation was performed for average comparison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case of basic motor ability and physical ego concept, two groups showed the same in homogeneity test between two groups in the pre-test before the experimental procedure. An error appeared in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nd the preliminary inspection was controlled with a blank valve for more accurate analysis, and analyzed using the official variance analysis (ANCOVA). The conclusions from the results obtained from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comparing and analyzing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mparative group in order to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depending on whether smart TV-based augmented reality (AR) is used or not, the experimental group is statistically calculated based on the total learning immersion. The height was shown to be meaningful. It was shown that the experimental group was significantly higher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sub-region, in terms of temporal sense distortion excluding control, self-purpose experience, concentration on the task at hand, and the integration of action and consciousness. Second,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romoted physical activity using augmented reality (AR) based on smart TV showed a high overall basic motorial ability score of the comparative group that promoted general physical activity. In the case of non-moving motor ability, which is a sub-region, no significant difference appeared between the two groups, but it was found that the experimental group improved more than the comparative group in the moving motor region. Third, usage of the smart TV-based augmented reality (AR), the experimental group that performed physical activity had a higher overall score for the physical ego concept than comparative group which performed general physical activity. However,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improvement over the comparison group in appearance, motor competence, and physical strength in the sub-region, it was reveale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in the healthy reg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공학·HRD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