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4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승하-
dc.contributor.author정다희-
dc.creator정다희-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28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28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08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08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788-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거꾸로 수업(Flipped Learning)을 초등학교 무용 수업에 적용하여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무용표현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거꾸로 수업의 디딤 영상의 방식에 따라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무용표현력에 차이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울시 S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돌봄교실 저학년 학생들을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8주 동안 무용 수업을 진행하였다. 연구의 집단은 거꾸로 수업에서 국악동요 디딤 영상을 본 집단 19명, 거꾸로 수업에서 선생님의 창작안무가 들어간 디딤 영상을 본 집단 14명, 그리고 전통적 수업을 진행한 비교집단 12명 총 45명의 학생들을 3개의 집단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를 위한 분석방법으로는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도분석 그리고 측정시기에 따라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무용표현력의 차이를 규명하기 위하여 반복측정이원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two-way ANOVA)을 사용하였다. 이에 보충자료로 거꾸로 수업집단의 심층면담을 실시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수업 방식별 자기주도 학습능력에서 학습계획은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거꾸로 수업A: 국악동요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향상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무용수업 방식별 무용표현력에서 창의적 표현사고력과 표현열정, 외적표출능력은 시점과 집단 간의 상호작용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표현열정과 외적표출능력에서 거꾸로 수업A: 국악동요 집단이 다른 집단보다 향상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거꾸로 수업의 디딤 영상 방식에 따른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무용표현력의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습계획, 표현열정, 외적표출능력에서는 거꾸로 수업A: 국악동요 집단이 창의적 표현사고력에서는 거꾸로 수업B: 율동시범 집단이 향상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심층면담은 유목적 표집방법으로 집단별 면담을 진행하였으며, 학생들은 디딤 영상의 재미와 다양성 그리고 아이돌가요를 접목한 무용 수업을 요구하였다. 이에 대한 결과는 무용교육의 발전에 의미 있는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investigate the impact of an elementary school dance class applying flipped learning o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dance expressiveness. And whether there is a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dance expressiveness according to method of a prior learning video; which is important in flipped learning. To this purpose, the low-grade students (1st to 3rd graders) in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Seoul were divided into three groups and participated in a dance class for eight weeks. A total of 45 students were categorized into three groups in the study. Group A was comprised of 19 people who saw a prior learning video of traditional Korean children’s songs in flipped classroom. Group B was comprised of 14 people who saw a prior learning video of a teacher’s creative choreography in flipped classroom. A comparative group was comprised of 12 people who took normal class. In a post-examination, a two-way ANOVA was applied to investigate if there is a differenc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dance expressiveness according to the measurement timing of method of dance class also applied to analyse an interaction effect. In-depth student interviews were conducted as supplementary material, and the summarized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learning pla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a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ccording to method of dance class. Second, creative expressive ability and external expressive capability, passion for express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dance expressiveness according to dance class. Further, an analysis of effectiveness of flipped learning group and normal learning group suggested that flipped learning achieved higher improvement rate of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dance expressiveness than normal learning. As of flipped learning according to Group A achieved higher improvement rat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and dance expressiveness than flipped learning Group B. A total of four students whose Group A were selected through statistics results as the interviewees of an in-depth interview. also a total of three students whose Group B were selected as interviewees. The required factors most frequently mentioned by the students throughout the in-depth interview were a desire that an idol’s song and an amusement of a prior learning video could draw interest of people, and a diversity of a prior learning video.-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의 문제 3 C. 연구의 가설 4 D. 연구의 제한점 4 E. 용어의 정의 5 1. 거꾸로 수업 5 2. 전통적 수업 5 3. 초등학교 무용수업 6 4. 자기주도 학습능력 6 5. 무용표현력 6 Ⅱ. 이론적 배경 8 A. 거꾸로 수업 8 1. 거꾸로 수업의 개념 8 2. 거꾸로 수업의 특징 10 3. 거꾸로 수업을 위한 수업설계 12 B. 초등학교에서의 무용교육 14 C. 자기주도 학습능력 16 1.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개념 16 2.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특징 16 D. 무용표현력 18 1. 무용표현력의 개념 18 2. 무용표현력의 구성요소 18 Ⅲ. 연구방법 20 A. 연구대상 20 B. 연구 설계 및 절차 22 C. 수업 설계 24 D. 조사 도구 26 1. 자기주도 학습능력 설문지 26 2. 무용표현력 설문지 27 3. 심층면담 28 E. 자료 분석 29 Ⅳ. 연구결과 30 A. 무용수업 방식별 자기주도 학습능력 및 무용표현력의 변화 30 1. 무용수업 방식별 자기주도 학습능력의 변화 30 2. 무용수업 방식별 무용표현력의 변화 34 B. 심층면담 42 1. 디딤 영상의 재미와 디딤 영상의 다양성 42 2. 아이돌 가요를 접목한 무용수업 43 3. 학생과 교사간의 상호작용 43 4. 조별활동의 한계점 44 Ⅴ. 논의 45 Ⅵ. 결론 및 제언 48 A. 결론 48 B. 제언 49 참고문헌 50 부록 1. 설문지 56 부록 2. 거꾸로 수업의 세부지도안 63 부록 3. 거꾸로수업의 디딤 영상자료 71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987972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거꾸로 수업을 적용한 초등학교 무용 수업이 자기주도 학습능력과 무용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The Effects of Flipped Learning in Creative Expression Classes on Self-directed Learning and Dance Expressivenes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dc.format.pagev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