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홍은아-
dc.contributor.author공채영-
dc.creator공채영-
dc.date.accessioned2020-02-03T16:31:19Z-
dc.date.available2020-02-03T16:31:19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373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373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274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무용치료가 장애아동들의 실제 생활에서 어떤 변화를 불러 일으켰는지 파악하고, 장애아동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켰는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무용치료와 무용공연을 통한 장애아동의 삶의 변화 모습에 초점을 두어 진행하였다. 이를 위해 장애아동의 부모를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실시하여 장애아동들의 실제 삶의 모습에 대한 자료를 수집하였다. 더불어 무용치료사(강사)에게 장애아동들의 공연 및 수업태도에 대해 면담을 요청하였다. 본 연구자는 연구 참여자인 부모로부터 얻은 면담자료를 바탕으로 무용치료실 내에서 장애아동들의 모습을 참여관찰하고, 보다 객관적인 관점으로 장애아동들의 모습을 살펴보았다. 얻어진 결과는 삶의 만족도 평가모델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공연을 통해 장애아동은 자신이 많은 사람들 앞에 서서 공연을 한다는 것에 대해 성취감과 만족감을 드러냈다. 무용치료 과정에서 사용된 음악은 정서적 안정을 불러일으킬 뿐만 아니라 인지적 능력의 향상에 기여하였다. 둘째, 군무활동을 통해 장애아동들은 협동을 배웠다. 또한, 공연활동을 통해 여러 사람들을 만나게 됨으로써 장애아동들은 새로운 사람에 대한 거부감을 줄일 수 있었다. 셋째, 무용치료실에서 또래와 함께 공연소품을 챙기는 습관은 자연스레 장애아동의 일상생활 행동을 변화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넷째, 무용의 아름다움을 통해 장애아동들은 자신도 아름다울 수 있음을 인지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장애아동의 신체의 모습을 변화시키는데 기여하였다. 다섯째, 군무활동을 통해 타인을 인지할 수 있게 되면서 행동의 순화가 일어났다. 또한 무용치료를 통해 한편으로는 자신의 고집을 내세우지 않게 되거나 다른 한편으로는 분명한 자기 의사를 전달할 수 있도록 기여하였다. 본 연구는 무용치료의 긍정적인 효과 및 필요성에 대한 선행연구들을 바탕으로 장애아동들의 실제 생활에서 무용치료가 어떠한 변화를 유발하는지 알아보고, 어떻게 장애아동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고 있는지 알아보는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장애아동들에게 있어 무용치료의 필요성을 인지하고 무용치료가 활성화되어야 할 필요성을 입증하는데 기초적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This study aimed at what kind of behavioral changes had been achieved and whether the quality of life had been increased in the lives of disabled children through dance therapy. To this end, in-depth questions were conducted to parents of disabled children. The results of the study analyzed later how the experience of dance therapy would cause behavioral changes to disabled children according to their circumstances, based on the evaluation model of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presented in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revealed that disabled children feel confidence and satisfaction because they show themselves through dance performance. Secondly, it was shown that they learned the ways to mingle with others through group dance practice. Thirdly, it was shown that habits formed through dance therapy with peers change into their own everyday behavior. Fourthly, it was revealed that they recognize their own beauty through dance. Fifthly, it was shown that they can purify their behavior through group performance and this contributes to clear self-expression. The implications of the research are what kind of behavioral changes had been achieved in the daily lives of disabled children, based on previous researches on the positive effect and necessity of dance therap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4 C. 연구의 제한점 5 D. 용어 정의 5 Ⅱ. 이론적 배경 7 A. 장애아동 7 1. 장애아동의 개념 및 특성 7 2. 발달장애의 특성 9 B. 무용치료 10 1. 무용치료의 개념 10 2. 무용치료의 원리 및 효과 12 C. 장애아동의 무용치료 의의 및 목적 13 D. 삶의 변화 14 1. 삶의 질 14 2. 장애인의 삶의 질 15 Ⅲ. 연구방법 17 A. 연구대상 17 1. 연구 참여자 17 2. 연구 참여 기관 20 B. 연구절차 22 C. 자료수집 23 1. 심층면담 23 2. 참여관찰 26 D. 연구의 분석 틀 28 E. 자료처리 및 분석 방법 30 F. 연구의 신뢰도과 타당도 31 Ⅳ. 연구결과 및 논의 32 A. 삶의 영향요인 32 1. 사회적 자원 32 2. 개인의 자원 33 3. 개인의 능력 34 B. 사건의 과정 35 C. 경험의 흐름 35 1. 심리적 정서의 변화 35 2. 또래와의 상호작용의 변화 37 3. 자립성의 변화 39 4. 신체를 대하는 태도의 변화 41 5. 의사표현의 변화 43 D. 삶의 평가 45 E. 논의 48 Ⅴ. 결론 및 제언 50 A. 결론 50 B. 제언 52 참고문헌 53 부록1. 연구 참여 동의서 59 부록2. 심층면담 질문지 60 ABSTRACT 6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840187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무용치료 경험에서 나타난 장애아동 삶의 변화에 대한 질적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qualitative study on changes in the disabled children's lives in dance therapy experience-
dc.format.pagevii, 61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체육교육전공-
dc.date.awarded2020. 2-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체육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