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3 Download: 0

웹툰을 활용한 종결 기능 연결 어미 교육 연구

Title
웹툰을 활용한 종결 기능 연결 어미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structional Methods for Connective Endings with the Function as Final Endings of Korean Using Webtoon : Focused on Taiwanese Learners
Authors
Kao, Yinju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analyze the difference between Korean learners in Taiwan and the native Korean speakers when using the connective endings with the function as final endings. The author then proposes the idea of using webtoon as the tool to teach this grammar effectively. To begin with, Native speakers usually put connective endings at the end of the sentence, while Taiwanese learners rarely put it this way. Instead, we often talk in a polite, formal style. This is due to a lack of teaching this kind of grammar in the classes, especially when there are no final endings in Chinese (Taiwanese mother Language). Even worse, not every connective endings can be placed at the end of the sentences, and the same structure might have different meanings in different situations. Therefore, this can be a problematic part for Taiwanese when learning Korean. In this research, we find out that it is so hard to understand this concept without systematic learning. Consequently, the study will be the focus on how to use the connective endings in the correct way for Taiwanese learners. The first Chapter contains the research purpose, the necessity of this research, and a brief introduction of each Chapter. The second Chapter will start by defining the concept of the connective endings with the function as the final endings and the webtoon. The top ten most commonly used connective ends with the role as ends are ‘-go’, ‘-eoseo’, ‘-nikka’, ‘-ryeogo’, ‘-geodeun’, ‘-neunde’, ‘-dago’, ‘-danikka’, ‘-damyeonseo’, ‘-ge’, which refers to the corpus in the National Institute of the Korean Language and the previous papers. Next, we will pick five popular educational webtoons and show how it works. The following are two research problems to deal with: First, what are the differences between Taiwanese learners and native Korean speakers when using the connective endings with the function as final endings? Second, how to use the webtoon to teach the connective endings with the function as final endings appropriately? In the third Chapter, we will discuss the details of the research methods, including the subjects, materials, procedures, and data analysis. The participants of the research include intermediate Taiwanese learners of Korean, advanced Taiwanese learners of Korean, and native Korean speakers. Each of the group contains 35 people, age between 20~39y/o with both genders. There will be 19 short essay questions. In Chapter Four, we analyze the test result and verify the research problems. We will discuss the differences between Taiwanese learners and Korean speakers when using conjunctions at the end of a sentence. Taiwanese learners tend to utilize formal, polite style conjunction no matter the proficiency of the language. The test result for intermediate learners and advanced learners is quite similar. Therefore, there is still space for the teacher to teach more in terms of connective endings with the function as final endings. As for our second experiment, Taiwanese learners cannot correctly differentiate the meaning of a sentence with similar grammar. That said, we should pay more attention to teaching this area, such as making comparisons with the same syntax. According to the outcome of some questionnaires and on-site interviews, although learners in Taiwan know the concept of placing conjunction at the end of a sentence, they do not use it a lot because their instructors never teach them. Hence, students should be able to pick up this knowledge more quickly by applying the in the daily conversation. In Chapter five, we will use webtoon to serve as our learning materials, objectives, and proposals. On top of that, we will make several examples, including ‘-dago’, ‘–danika’, ‘-damyeonseo’. These are the most difficult things to learn for foreigners. In the final Chapter, we will reiterate the essence of the research. That is, to bring out both the upside and downside of our research as well as what can be done in the future. This is the first research that makes good use of connective endings from the webtoon to teach Korean, which is a milestone. Looking forward, we hope other practitioners can take advantage of our research and put it into the real world. Also, the prevalence of webtoon, TV shows, or movies sometimes gets ideas from webtoon. In other words, if we could teach students by webtoon along with TV shows or films adapted from webtoon, it certainly will be another breakthrough. We hope to witness more original research in the future. ;본 연구의 목적은 대만인 한국어 학습자와 한국어 모어 화자의 종결 기능 연결 어미 사용 양상에서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내고, 나아가 웹툰을 활용해서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구성해 보는 것이다. 본 연구가 종결 기능 연결 어미에 주목한 이유는 한국인의 일상 대화에서는 자주 사용하지만 한국어 수업에서는 다루지 않아 학습자 대부분이 격식체 ‘-아/어요’에 지나치게 의지하는 경향이 있기 때문이다. 특히 대만인 학습자의 모국어인 중국어에서는 종결 어미가 발달하지 않았으므로 한국어를 공부하는 데에 있어 가장 어려운 부분이라 할 수 있다. 게다가 모든 연결 어미가 다 종결 어미로 쓰일 수 있는 것도 아니고 상황에 따라 의미와 기능도 다르기 때문에 자세한 설명과 교육 없이는 학습자가 이해하기 힘들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대만인 학습자가 한국어 종결 기능 연결 어미를 정확하게 사용하여 원어민처럼 자신의 감정과 태도를 표현할 수 있는 데에 목적이 있다. Ⅰ장에서 본 연구의 연구 목적 및 필요성을 밝히고 전반적인 논문의 구성을 기술하였다. Ⅱ장에서 먼저 웹툰과 종결 기능 연결 어미의 개념을 정의하고 본 연구의 목적에 맞는 웹툰 목록과 교육용 종결 기능 연결 어미 항목을 선정하였다. 그 다음에 웹툰을 활용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선행 연구와 종결 기능 연결 어미에 관한 기존 선행 연구를 살펴보며 본 연구의 연구 문제와 연구 가설을 설정하였다. Ⅲ장에서 본 연구의 연구 참여자 정보, 실험 도구 설계, 실험 진행 절차와 자료 분석 방법에 대해서 자세히 기술하였다. Ⅳ장에서 실험 결과를 가지고 한국어 모어 화자와 대만인 한국어 학습자의 종결 기능 연결 어미의 사용 양상을 분석하고 어떤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 내고 Ⅱ장에서 제시한 연구 문제를 확인하였다. 그리고 학습자의 인식 조사와 사후 인터뷰를 통해 종결 기능 연결 어미의 의미와 기능을 어느 정도 이해 가능하지만 제대로 배우지 않아서 잘 사용하지 못한다는 피드백을 얻었다. 연구 문제 1에 대한 답으로 대만인 한국어 학습자들과 한국어 모어 화자들의 종결 기능 연결 어미 사용에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그러나 대만인 고급 학습자와 중급 학습자 두 집단 간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즉, 숙달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을 보면 종결 기능 연결 어미의 교육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연구 문제 2에 대한 답으로 학습자들은 유사한 종결 기능 연결 어미 항목을 묶는 등의 자발적인 과제 해결을 통해 종결 어미의 의미와 기능, 그리고 유사한 항목 간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알아내었다. 따라서 다음 Ⅴ장에서 학습자들이 주도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직소 모형을 적용한 수업을 구성해 보고자 하였다. Ⅴ장에서 대만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웹툰을 활용한 종결 어미 연결 어미의 교육 목표, 교육 내용, 교수 학습 모형을 제시한 후 그에 따른 효과적인 교육 방안을 제시해 보았다. 교육 방안은 실험 결과에서 학습자와 모어 화자 간 차이가 가장 나는 항목 ‘-다고’, ‘-다니까’, ‘-다면서’를 예시로 제시하였다. 마지막 Ⅵ장에서 본 연구의 결과를 간략하게 다시 정리하고 본 연구가 지니는 의의와 한계를 논의하였다. 본 연구는 웹툰을 활용한 종결 기능 연결 어미의 교육 연구이며, 웹툰은 수업 자료로 삼아 한국어 구어체 문법을 교육하는 데 의의를 지닌다. 하지만 실제 교실 수업을 진행해서 효과를 확인하지 못한 점에서 아쉬움이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를 실제 수업에서 적용하고 효과적인 종결 기능 연결 어미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