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4 Download: 0

한국어 조사 ‘이/가’, ‘은/는’ 사용 양상 연구

Title
한국어 조사 ‘이/가’, ‘은/는’ 사용 양상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Usage of Korean Postposition 'i/ga' and 'eun/neun' : Focused on the composition of Dutch learners
Authors
이샛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한국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연구는 네덜란드인 초․중급 한국어 학습자의 작문에 나타난 한국어 조사 ‘이/가’와 ‘은/는’의 사용 양상을 중간언어 관점으로 분석하여 조사 사용 양상을 밝히고자 한다.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네덜란드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없으므로 점차 다양해지는 학습자를 교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를 구축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국내에서 유학하는 외국인 유학생뿐만 아니라 국외에서 한국과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의 수도 증가하고 있다. 한국국제교류재단 통계 자료에 따르면 2017년 기준, 전 세계 105개국 1,368개의 대학에서 한국학 강의를 개설하여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특히 유럽과 아메리카는 한국과의 접근성이 떨어져 직접 국내로 유학을 오는 비율은 낮지만, 자국에서 한국학을 개설한 대학의 비율이 높다. 그러나 현재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육 연구를 살펴보면 그 대상이 한국 내에서 유학하고 있는 학습자가 대부분이며 그 국적이 동북아시아와 동남아시아에 편중되어 있다. 한국어 학습자가 다양해지는 만큼 다양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조사를 다루는 연구가 많은데 그 이유는 한국어가 교착어이기 때문일 것이다. 실질적 의미가 있는 어간에 문법적 기능을 가진 요소들이 결합하는 언어이기 때문에 모국어가 교착어가 아닌 학습자들은 조사 사용에 어려움을 겪을 수밖에 없다. 심지어 같은 교착어인 일본어, 터키어, 헝가리어가 모국어인 학습자들도 마찬가지이다. 이에 본고에서 모국어가 교착어가 아닌 네덜란드인 학습자들의 조사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한다. 모국어가 아닌 외국어, 제2 언어를 배우는 학습자는 그 언어를 습득하는 동안 수많은 음성 언어와 문자 언어를 생산해 내는데 그 안에는 실수와 오류들이 뒤섞여 있다. 1970년대에 중간언어 가설(interlanguage hypothesis)이 등장하였는데 여기에서는 목표어를 학습하는 과정이 각 학습자들만의 독특한 체계가 만들어지는 창조적인 과정이라고 보았고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오류는 수정되어야 하는 잘못된 것이 아니라 그 체계를 이해하는 중요한 단서라고 보았다. 이에 본고에서 중간언어 관점으로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의 조사 사용 양상을 살펴보고 중간언어 이론의 중요한 원리인 독자성, 체계성, 보편성, 변화성, 안정성 가운데 보편성에 초점을 맞춰 네덜란드인 학습자의 조사 사용 양상이 선행 연구의 다른 언어권의 양상과 어떤 점이 부합하는지, 혹은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한국어 조사 중 초급 학습자부터 고급 학습자에 이르기까지 꾸준히 혼동을 일으키는 조사 ‘이/가’와 ‘은/는’을 대상으로 삼고 그 의미적 특성과 기능을 알아본 후 선행 연구를 통해 학습자의 중간언어를 보는 관점과 이를 분석하는 기준 등을 고찰하였다. 분석 대상은 네덜란드 레이던 대학교 한국학과 초․중급 학생 26명으로 이들이 산출한 한국어 작문 총 104개, 22,519어절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행 주어와 후행 서술어에 따라 학습자들이 ‘이/가’와 ‘은/는’ 중 선택하는 경향이 달라지는 것을 확인하였다. 항목별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선행 주어가 한정적 명사구, 유정물 명사인 경우 ‘은/는’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정적 명사구 중 그 특징이 두드러지는 대명사와 지시적 명사구를 분리하여 분석한 결과 대명사가 주어인 경우에는 더 현저한 차이로 ‘은/는’을 많이 사용했지만, 지시적 명사구가 주어인 경우에는 선행 연구를 통해 예측한 것과 달리 ‘이/가’를 더 사용하는 모습을 보였다. 또한, 수식어를 가지는 주어의 경우는 수식어의 유무에 따라 특정한 양상을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후행 서술어에 따른 조사 사용 양상을 살펴보면, 서술어가 ‘동사, 형용사, 있다, 없다’인 경우 ‘이/가’를, ‘지정사’인 경우 ‘은/는’을 더 많이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동사의 경우를 제외하고 선행 연구와 일치하는 양상이다. 그 원인을 고찰한 바, 서술어가 동사인 경우 각 차시별 양상이 주어가 유정물일 때의 각 차시별 양상과 부합하는 것으로 보아 서술어가 동사인 경우에는 네덜란드인 한국어 학습자들이 서술어보다 주어의 유정성에 주목하여 조사 ‘이/가’와 ‘은/는’을 선택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국외에서 한국과 한국어를 공부하는 외국인의 수가 증가하고 있고 특히, 한국어 교육 분야에서 네덜란드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가 없으므로 이 연구가 다양한 학습자를 교수하는 데 도움이 되는 자료가 되길 기대해 본다.;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usage of Korean postposition, 'i/ga' and 'eun/neun' by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beginner and intermediate Dutch learners from the perspective of interlanguage. There is no research on Dutch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so this study can build data to help teach a growing number of various learners. The number of foreign students studying Korea and its language is increasing internal and external. According to the statistics from Korea Foundation(KF), 1,368 universities in 105 countries around the world have opened and operated the lectures on Korean studies. Europe and America, in particular, have a low rate of learners coming to Korea to study due to their lack of accessibility to Korea, but the high rate of universities has opened Korean studies. However, the current stud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a foreign language shows that most of the students are studying in Korea, and their nationalities concentrate in Northeast Asia and Southeast Asia. As Korean learners become more diverse, there is a need for research to target them. Many studies deal with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robably because Korean is an agglutinative language. Since elements with grammatical functions are combined in the language that has practical meaning,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is not agglutinative would have difficulty using the postposition. Even for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is agglutinative: Japanese, Turkish, and Hungarian have difficulties. This study will look at the usage of research by Dutch learners whose native language is not agglutinative. Learners produce numerous spoken/written words while they acquire the language, which includes mistakes and errors. In the 1970s, an interlanguage hypothesis that seen learning a language as a creative process that creates the learner's unique system, and the errors that occurred in this process are not wrong but important clues to understanding the system. Therefore, this study will examine Dutch learners using Korean from an interlanguage perspective. Focusing on universality among the important principles of interlanguage - identity, systemicity, universality, variability, and stability, this study finds out how the Dutch learner's use of postposition conforms to or differs from the other aspects of the prior studies.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i/ga' and 'eun/neun' that beginner and intermediate Dutch learners constantly confuse among the Korean postposition. After searching some semantic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of these postpositions, the study examined the perspectives of learners on interlanguage and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m through the prior studies. The targets of analysis, the 26 beginner and intermediate students whose major in Koreanology of Leiden University produced 104 Korean compositions and 22,519 syllables are analyzed in total. As a result, the tendency of learners to choose between 'i/ga' and 'eun/neun' varies depending on the prior subject and subsequent predicate. Researching the aspects in which each postposition is used: It has been shown that the postposition more 'i/ga' was used if the prior subject is a definite noun phrase or animate noun. According to the analysis the pronoun and the demonstrative noun phrase which has distinctive features among the determinative noun phrase, 'eun/neun' was significantly used more as when the pronounce was given as a subject. However, 'i/ga' was used more than 'i/ga' when the demonstrative noun phrase was given as a subject, which is different from the prediction of the prior studies. Besides, it has been shown that the subject of the modifier does not show a particular aspect depending on the modifier's presence. Next, the aspect of the postposition usage according to the following predicate, it was found that more 'i/ga' was used when the predicate is a verb, an adjective, or 'itta' and 'eoptta,' and more 'i/ga' was used when the predicate is a copula. This matches the prior studies except for the case of the verb predicate. Given the reasons, it is thought that Dutch learners choose 'i/ga' and 'eun/neun' consider the animacy of the subject more than predicate when the predicate is a verb as each occasion matches with the animacy of the subject. As the number of foreigners studying Korean internal and external is increasing, and there is no research in the field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especially on Dutch people, hope that his study will help to teach various learner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한국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